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종 연간(1863~1907) 제작 어보(御寶) 연구 =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Royal Seals during the Reign of King (Emperor) Gojong (r. 1863-1907)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ign of King (later Emperor) Gojong of the Joseon dynasty (later the Korean Empire), which lasted from 1863 to 1907, was a period of turmoil caused by political and social instability at home and military incursions by foreign powers. It was also...

      The reign of King (later Emperor) Gojong of the Joseon dynasty (later the Korean Empire), which lasted from
      1863 to 1907, was a period of turmoil caused by political and social instability at home and military incursions by
      foreign powers. It was also a period in which Joseon was proclaimed as the Korean Empire and, accordingly, the
      royal seals of the dynasty underwent a major change.
      Records show that some 135 seals were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Gojong. The present study of the makers
      and styles of the royal seals aims to reveal a wealth of information on the seals, which typically had handles in the
      shape of either a turtle or dragon.
      Among the seal makers of this era, Jeon Heung-gil was particularly highly regarded as a Golden Royal Seal
      Artisan (Geumbojang) because he was highly skilled at making both turtle and dragon handles. Kim Eun-seok,
      a master Jade Royal Seal Artisan (Okbojang), also excelled in the production of turtle and dragon handles for his
      jade seals. Another master Jade Royal Seal Artisan, Yi Jung-ryeo, is noteworthy because he developed a new style
      of jade royal seals, which eventually became the dominant style after 1890, when Kim Eun-seok was not active.
      Furthermore, after the 1890s, his style was also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he gold royal seals and developed as
      the dominant style.
      Regarding the dragon handles adopted after the proclamation of the Korean Empire, both the golden and the
      jade royal seals were made in the same style by the same artisans in the service of the Joseon dynasty. They adopted
      the style of Chinese imperial seals when they began making seals with dragon handles for the Korean Empire,
      although the basic shapes of both handle and dragon were copied from those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As a ceremonial object symbolizing the authority and legitimacy of the royal or imperial family, the style of the
      royal seals was influenced mainly by changes in the political situation at home and abroad. As Gojong’s reign was a
      period in which more royal seals were made than in the reign of any other ruler, the seals originating from his reign
      constitute a richer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efforts of the dynasty to preserve the tradition while effectively
      dealing with the changes of the new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종이 집권했던 1863년부터 1907년은 불안한 국내 정세와 열강의 침입으로 혼란한 시기였지만, 조선 왕실과 대 한제국의 전환기로 왕(황)실의 어보(御寶) 제작에 있어 중요한 변화를 맞이하는...

      고종이 집권했던 1863년부터 1907년은 불안한 국내 정세와 열강의 침입으로 혼란한 시기였지만, 조선 왕실과 대
      한제국의 전환기로 왕(황)실의 어보(御寶) 제작에 있어 중요한 변화를 맞이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고종 연간 제작된 보인(寶印)은 대략 138과로 거북뉴(龜鈕)와 용뉴(龍鈕) 어보의 제작 장인, 조형을 분석하면 이
      시기 보인 전반을 이해할 수 있다. 고종 연간 활동했던 대표적인 금보장(金寶匠) 전흥길(全興吉)은 왕실에서 다양한 금
      속공예품을 제작하며 실력을 인정받아 활동했던 장인으로, 거북뉴 금보(金寶)와 용뉴 금보를 모두 제작할 수 있었던
      뛰어난 장인이었다. 옥각수(玉刻手)·옥보장(玉寶匠)으로 활동한 김은석(金殷錫)도 전흥길과 마찬가지로 거북뉴 옥보
      (玉寶)와 용뉴 옥보를 모두 제작할 수 있었던 장인이었다. 또한 옥보장 이중려(李仲呂)의 활동도 주목되는데, 김은석
      이 활동하지 않는 동안 옥보의 새로운 양식을 창출했을 뿐 아니라 이 양식이 금보에도 적용되어 고종 연간 후반기인
      1890년 이후 주요한 양식으로 자리하게 된다.
      대한제국 수립 이후 제작된 용뉴의 경우 금보와 옥보가 유사한 양식을 공유하는데, 당시 『대례의궤(大禮儀軌)』에
      기록된 장인들은 전흥길, 김은석 등 고종 연간 계속 활동해온 금보장, 옥보장이었다. 이들은 처음 용뉴의 어보를 제작
      해야 할 때 문헌이나 기록 등으로 중국의 용뉴 인장 형식을 차용하였지만, 용뉴 형태와 용 모습은 당시 조선시대부터
      제작되어온 용 조각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어보는 왕실과 황실의 정통성과 권위를 상징하는 의물로, 국내외 정세에 따른 변화를 가장 많이 반영하는 공예품
      이다. 고종 연간은 역대 왕들의 재위 기간 중 어보가 가장 많이 만들어진 시기로 기존의 어보 제작 전통을 지키면서도
      새로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