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시기 유학의 재정립을 위한 중산(中山) 박장현(朴章鉉:1908~1940)의 현실인식과 대응논리- ‘경경위사(經經緯史)’와 ‘인시창설(因時倡說)’ - = Recognition of the reality and the response logic to re-establish the confucianism of colonial period of Park Jang-hyun -'gyeonggyeongwisa(經經緯史)‘ and ‘insichangseol(因時倡說)’-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6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박장현은 식민지시기 유교개혁을 통해 우리가 처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한 유학자이다. 그는 학문이 현실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보았고, 조선의 유학자들은 성리론에 대한 논쟁에만...

      박장현은 식민지시기 유교개혁을 통해 우리가 처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한 유학자이다. 그는 학문이 현실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보았고, 조선의 유학자들은 성리론에 대한 논쟁에만 집중했으므로 시폐(時弊)를 구제하지 못하고 국권을 상실하는 데까지 이르렀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그것은 유학 말류의 폐단일 뿐, 난국에 처한 조선을 구제하고 공리(功利) 위주의 서양문명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여전히 유학이라고 확신하였다. 그러므로 유학의 개혁을 통해 유학의 근본가치인 도덕과 인의를 되살리고, 대중에게 전파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교개혁을 위한 박장현의 논리는 ‘경경위사(經經緯史)’와 ‘인시창설(因時倡說)’로 정리될 수 있다. ‘경경위사’는 유학의 경전과 우리 역사를 날줄과 씨줄로 삼아야 한다는 것으로, 박장현의 이러한 주장은 그의 『삼경수록』, 『논어유집』, 『맹자유집』, 『해동춘추』, 『반도서경』 등의 저술로 실현되었다. ‘인시창설’은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지 않는 학설은 의미가 없다는 것으로 학문은 시폐를 구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에 따라 경전연구와 역사서술에 새로운 시도를 하고, 유교 종교화에 관심을 두며, 서양철학을 연구하는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또 ‘훈민정음’을 우리 민족의 정신으로 평가하며, 경전을 한글로 번역하여 대중에 보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장현의 사상과 활동은 민족적인 수난기이자 격변기에 유학과 유학자의 의미를 되묻는 계기가 되었으며, 전통유학과 현대유학을 잇는 다리와 같은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k Jang-hyeon(朴章鉉) was a Confucian reformist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He received regular education in Boseong school and learned orthodox Dohak(道學) from Cho Keung-seob(曺兢燮) who was a Confucianist of the school of Ye...

      Park Jang-hyeon(朴章鉉) was a Confucian reformist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He received regular education in Boseong school and learned orthodox Dohak(道學) from Cho Keung-seob(曺兢燮) who was a Confucianist of the school of Yeongnam(嶺南). After that even if he was confident in value of Confucianism, he thought it was necessary to reform it. By reforming Confucianism, he tried to respond to the axiom of Western civilization through his ethics and morals. The methods to reform Confucianism which Park Jang-hyeon chose were ‘Kyeongkyeongwisa(經經緯史)’ and ‘Insichangseol(因時倡說)’. ‘Kyeongkyeongwisa’ means to take Confucian scriptures and history as two axes. ‘Insichangseol’ means to insist on a theory suitable for the times. He considered the Confucian scriptures as important, but he thought that they could be interpreted freely.
      ‘Samkyeonsurok(三經隨錄)’, ‘Noneoyujib(論語類集)’ and ‘Maengjayujib(孟子類集)’ were books he wrote according to his beliefs. ‘Haedongchunchu(海東春秋)’ and ‘Bandoseokyeong(半島書經)’ were books that compiled the history of our nation in the form of Confucian scriptures. These books showed his spirit of Kyeongkyeongwisa and Insichangseol. And he insisted to translate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historical books into Korean and distribute that to the public. Park Jang-hyeon wanted to live a life faithful to the role of the intellectual, but he failed to realize his beliefs, and left to be desired by dying early at the age of 3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재소, "한국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돌베개 2005

      2 문철영, "한국사학논총 下" 탐구당 1992

      3 송재소, "중산박장현 연구 시론" 국사편찬위원회 37 : 1992

      4 금장태, "유학근백년" 한국학술정보 2004

      5 박영석, "국역 중산전서 1~8" 도서출판 선인 2014

      6 "中山全書 上, 下" 중산전서간행회, 보경문화사 1983

      7 김순석, "中山 朴章鉉의 유교개혁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5) : 207-238, 2015

      8 정병석, "中山 朴章鉉의 自尊哲學" 한국학연구원 (70) : 207-236, 2018

      9 정병석, "中山 朴章鉉의 儒學觀 - 返本改新의 儒學振興策과 孔敎觀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49) : 141-169, 2011

      10 문철영, "中山 朴章鉉 硏究 -日帝下 民族主義 史學者" 민족문화사 1994

      1 송재소, "한국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돌베개 2005

      2 문철영, "한국사학논총 下" 탐구당 1992

      3 송재소, "중산박장현 연구 시론" 국사편찬위원회 37 : 1992

      4 금장태, "유학근백년" 한국학술정보 2004

      5 박영석, "국역 중산전서 1~8" 도서출판 선인 2014

      6 "中山全書 上, 下" 중산전서간행회, 보경문화사 1983

      7 김순석, "中山 朴章鉉의 유교개혁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5) : 207-238, 2015

      8 정병석, "中山 朴章鉉의 自尊哲學" 한국학연구원 (70) : 207-236, 2018

      9 정병석, "中山 朴章鉉의 儒學觀 - 返本改新의 儒學振興策과 孔敎觀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49) : 141-169, 2011

      10 문철영, "中山 朴章鉉 硏究 -日帝下 民族主義 史學者" 민족문화사 1994

      11 금장태, "『중산 박장현 연구』-일제하 민족주의 사학자" 민족문화사 1994

      12 금장태, "『경전과 시대』-한국유학의 경전활용" 도서출판 지식과 교양 2012

      13 박환, "1930년대 朴章鉉의 근대사서술 -『海東春秋』를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34) : 413-442,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