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20세기 평안도 安州 刺繡의 盛衰와 그 의미 = The Rise and Fall of Anju Embroidery in the19th and 20th Centu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07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history of the rise and fall of Anju embroidery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ile discussing the history of the imperial family ordering it and the colonial government reviving it. For...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history of the rise and fall of Anju embroidery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ile discussing the history of the imperial family ordering it and the colonial government reviving it. For this,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history of the royal family ordering Anju embroidery, a specialty of Py ŏngan-do province, instead of traditional royal embroidery made by court ladies. Second, it was discussed that it was possible through the opening of the railway and the operation of the train that the royal family could order embroidery to Anju in North Korea, not Seoul. Third, it was possible to illuminate the use of embroidery as a new medium and new topics in the task of creating a representation of a modern monarch during the Korean Empire. Fourth, by discuss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gnificance of the emperor Sunjong's tour to the northwest, the reason for the rediscovery of Anju embroidery was examined. Fifth,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history of the decline again after Anju embroidery became popular nationwide after going through Pyŏngyang and Seoul. Through this study, it is discussed why embroidery was used by the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the meaning of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zation that it embra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세기부터 20세기 전반까지 安州 자수가 크게 부상했던 역사를 조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 이왕실이 안주 자수를 주문한 역사를 검토하였으...

      본 연구는 19세기부터 20세기 전반까지 安州 자수가 크게 부상했던 역사를 조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 이왕실이 안주 자수를 주문한 역사를 검토하였으며, 다시 일제강점기에 총독부가 이를 부흥하려 한 역사를 논의했다. 본 논고는 이를 위해 첫째, 대한제국 황실이 전통적인 궁수를 대신하여 평안도 특산인 안주 자수를 경성으로 주문한 역사를 검토했다. 둘째, 왕실이 서울 아닌 평안도에 있는 안주까지 자수를 주문할 수 있었던 것이 철도의 개통과 기차의 운행을 통해 가능했음을 논의했다. 셋째, 대한제국기에 근대 군주의 표상을 만들어야 하는 시대적 과제 안에서 자수라는 매체와 새로운 화제가 사용된 역사를 조명할 수 있었다. 넷째, 황제의 서북 순행이 가졌던 정치적・경제적 의미를 논의함으로써 안주 자수가 재발견될 수 있었던 배경을 검토했다. 다섯째 안주 자수가 평양과 경성을 거쳐 전국적으로 유행한 후에 다시 쇠퇴하게 되는 역사를 조명했다. 본 연구를 통해 19~20세기에 대한제국 황실에서 왜 자수라는 매체를 활용했으며, 그것이 품고 있는 근대화・산업화・자본화의 의미에 대해 밝힐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繡林苑, "李朝의 刺繡" 昌震社 1974

      2 김태자, "활옷과 병풍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자수의 재조명" 한국복식학회 58 (58): 134-152, 2008

      3 끌라르 보티에, "프랑스 외교관이 본 개화기 조선" 태학사 2002

      4 강문종, "조선잡사" 민음사 2020

      5 홍순민, "조선시대 국왕의 복식" 역사문제연구소 (73) : 351-379, 2005

      6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 2017

      7 양수정, "조선 17세기 자수그림의 전승과 이행" 미술사학연구회 (48) : 37-63, 2017

      8 허우긍, "일제강점기의 철도 수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9 서정민, "석연 양기훈(石然 楊基薰) 노안도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9) : 107-134, 2015

      10 수원박물관, "병풍 속 글씨와 그림의 멋" 수원박물관 2011

      1 繡林苑, "李朝의 刺繡" 昌震社 1974

      2 김태자, "활옷과 병풍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자수의 재조명" 한국복식학회 58 (58): 134-152, 2008

      3 끌라르 보티에, "프랑스 외교관이 본 개화기 조선" 태학사 2002

      4 강문종, "조선잡사" 민음사 2020

      5 홍순민, "조선시대 국왕의 복식" 역사문제연구소 (73) : 351-379, 2005

      6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 2017

      7 양수정, "조선 17세기 자수그림의 전승과 이행" 미술사학연구회 (48) : 37-63, 2017

      8 허우긍, "일제강점기의 철도 수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9 서정민, "석연 양기훈(石然 楊基薰) 노안도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9) : 107-134, 2015

      10 수원박물관, "병풍 속 글씨와 그림의 멋" 수원박물관 2011

      11 피터 애디, "모빌리티 이론" 앨피 2019

      12 한스 알렉산더 크나이더, "독일인의 발자취를 따라: 한독 관계 초창기부터 1910년까지" 일조각 2013

      13 이왕무, "대한제국기 순종의 西巡幸 연구 - 『西巡幸日記』를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31) : 285-318, 2011

      14 이왕무, "대한제국기 純宗의 南巡幸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59-88, 2007

      15 에밀 부르다레,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 글항아리 2009

      16 김수진, "근대 전환기 조선 왕실에 유입된 일본 자수 병풍" 한국미술연구소 (36) : 91-116, 2013

      17 김우경, "근대 刺繡千手觀音菩薩圖의 양상과 조성배경"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9 : 219-242, 2020

      18 "西巡幸日記"

      19 繡林苑, "胸背 : 展示圖錄" 知慧社 1979

      20 五味聖, "美術染織の精華‐織・染・繍による明治の室内装飾" 宮内庁 2011

      21 太田彩, "美術染織の精華‐織・染・繍による明治の室内装飾" 宮内庁 2011

      22 宮内庁三の丸尚蔵館, "美術染織の精華‐織・染・繍による明治の室内装飾" 宮内庁 2011

      23 한상수, "繡佛 : 불교수상과 도장장엄" 수림원 1983

      24 서정민, "石然 楊基薰의 繪畵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3

      25 太田彩, "明治の宮中デザイン: 和中洋の融和の美を求めて" 財團法人 菊葉文化協會 2003

      26 "安州牧邑誌"

      27 韓國精神文化硏究院, "古文書集成十二: 藏書閣篇 Ⅲ"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4

      28 韓國精神文化硏究院, "古文書集成十三: 藏書閣篇 Ⅳ"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4

      29 "內閣日記"

      30 佐藤道信, "〈日本美術〉誕生: 近代日本の「ことば」と戦略" 講談社 1996

      31 Mori, Katsumi, "Threads of Silk and Gold: Ornamental Textiles from Meiji Japan" Ashmolean Museum 2012

      32 McDermott, Hiroko T., "Threads of Silk and Gold: Ornamental Textiles from Meiji Japan" Ashmolean Museum 2012

      33 McDermott, Hiroko T., "Threads of Silk and Gold: Ornamental Textiles from Meiji Japan" Ashmolean Museum 2012

      34 McDermott, Hiroko T., "Threads of Silk and Gold: Ornamental Textiles from Meiji Japan" Ashmolean Museum 2012

      35 McNamara, Dennis L., "Textiles and Industrial Transition in Japa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36 Parker, Rozsika, "Subversive Stitch: Embroidery and the Making of the Feminine" L.B. Tauris 2010

      37 Vollmer, John E., "Re-envisioning Japan: Meiji fine art textiles" Harry N. Abrams 2016

      38 Sapin, Julia, "Merchandising Art and Identity in Meiji Japan: Kyoto Artists' Designs for Takashimaya Department Store, 1868~1912" 17 (17): 2004

      39 McDermott, Hiroko T., "Meiji Kyoto Textile Art and Takashimaya" 65 (65): 2010

      40 Staniland, Kay, "Medieval Craftsmen seri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1

      41 Ko, Dorothy, "Looking Modern: East Asian Visual Culture from Treaty Ports to World War II" Art Media Resources and Center for the Art of East Asia, University of Chicago 2009

      42 장경희, "20세기 초 양기훈 필 <자수매화병풍> 연구" 한국예술연구소 (35) : 213-239, 2022

      43 정혜인, "1920년대 『朝鮮文 朝鮮』의 “副業” 기사에 나타난 조선총독부의 의도와 현실" 숭실사학회 (43) : 227-252, 2019

      44 황정연, "19-20세기 초 조선 궁녀의침선 활동과 궁중 자수서화병풍의 제작"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6) : 7-39, 2013

      45 김수진, "19-20세기 병풍차(屛風次)의 제작과 유통"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1) : 40-71, 2018

      46 양수정, "18세기 이후 자수(刺繡)와 제작가(製作家)에 관한 제(諸)면모" 미술사학연구회 (54) : 95-123, 2020

      47 林洋子, "(明治神宮鎮座70年記念) 甦る明治の巨匠展-珠玉の絵画・彫刻・工芸" 産経新聞社 1990

      48 전통예술원, "(國譯)憲宗戊申進饌儀軌 3권" 민속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