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전통도시 읍치의 공간구성 =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ity ‘Eupchi’ through the Old Map of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61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common tendenci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Eupchi, the regional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Joseon Dynasty, centering on the 『1872 Regional Map』. First, I tried to construct the “spatial central axis” of Eupchi throug...

      This study explored common tendenci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Eupchi, the regional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Joseon Dynasty, centering on the 『1872 Regional Map』. First, I tried to construct the “spatial central axis” of Eupchi through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landscape and the human landscape represented on the old map.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he central axis of the spatial composition from Jinsan and Jusan in the backside of Eupchi to Dongheon as the core facility of Eupchi. Next, the spatial assemblage of administrative facilities and ritual facilities constituting Eupchi was examined. Among administrative facilities in Eupchi, Dongheon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case of ritual facilities, Hyanggyo and Sajikdan were mostly dominated by the general Confucian disposition principle, and most ritual facilities were located on mountain in the hinterland of Eupchi. Lastly, I looked at the fengshui ‘bibo’ as the positive environmental response that composes the Eupchi space. Various types of fengshui bibo such as forests, artificial mountains, and ponds were built inside or outside the open stream or river in the front of Eupch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872년 지방지도』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지역의 행정중심지인 읍치의 공간구성 상 공통된 경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지도 상 재현된 자연경관으로서 진산·주�...

      본 연구에서는 『1872년 지방지도』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지역의 행정중심지인 읍치의 공간구성 상 공통된 경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지도 상 재현된 자연경관으로서 진산·주산, 인문경관으로서 동헌·객사의 배치관계를 통해 읍치공간을 구성하는 ‘중심축’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읍치의 배후산세인 진산·주산으로부터 동헌으로 이어지는 공간구성의 중심축을 설정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읍치를 구성하는 행정시설과 제의시설의 배치관계를 살펴보았다. 읍치 내 행정시설 중 가장 핵심적 요소인 동헌-객사 간 배치관계는 우-좌 배치가 좌-우 배치관계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의시설의 경우 문묘를 모신 향교와 사직단은 보통 좌묘우사로 표현되는 유교적배치원리가 지배적이었고 성황사나 여단은 대부분 읍치 후면의 배후산지에 위치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읍치공간을 풍수 명당국면으로 구성하는 풍수 비보에 대해 살펴보았다. 숲, 조산, 제언, 형국, 연지 등 다양한 종류의 풍수비보가 대부분 군·현 읍치의 개방된 수구처 안쪽이나 바깥쪽에 조성되어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송호, "향교와 서원의 입지 및 외부공간 분석을 통한 한국적 교육환경 모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2 "해동지도"

      3 "해동여지도"

      4 길지혜, "한성부 내 연지(蓮池)연구 : 동지, 서지, 남지, 어의동지, 경모궁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5 권선정, "한국의 전통지리 풍수의 재현물로서 고지도"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36-49, 2011

      6 권선정, "한국의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세종시의 지역역사지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9 (29): 59-77, 2017

      7 권선정,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I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85-110, 2017

      8 장동수, "한국 전통도시숲(邑藪)의 分布, 類型, 機能, 林相에 관한 연구" 29 (29): 249-260, 1994

      9 김학범, "한국 고도읍에 출현된 읍수의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13 (13): 13-26, 1995

      10 장동수, "한국 傳統都市숲의 立地的特性과 類型에 관한 硏究" 29 (29): 201-217, 1994

      1 노송호, "향교와 서원의 입지 및 외부공간 분석을 통한 한국적 교육환경 모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2 "해동지도"

      3 "해동여지도"

      4 길지혜, "한성부 내 연지(蓮池)연구 : 동지, 서지, 남지, 어의동지, 경모궁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5 권선정, "한국의 전통지리 풍수의 재현물로서 고지도"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36-49, 2011

      6 권선정, "한국의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세종시의 지역역사지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9 (29): 59-77, 2017

      7 권선정, "한국문화자원의 이해 I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85-110, 2017

      8 장동수, "한국 전통도시숲(邑藪)의 分布, 類型, 機能, 林相에 관한 연구" 29 (29): 249-260, 1994

      9 김학범, "한국 고도읍에 출현된 읍수의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13 (13): 13-26, 1995

      10 장동수, "한국 傳統都市숲의 立地的特性과 類型에 관한 硏究" 29 (29): 201-217, 1994

      11 권선정, "풍수 진산·주산의 정상화와 타자화 - 조선시대 군·현 읍치를 사례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8 (28): 51-68, 2016

      12 권선정, "텍스트로서의 풍수경관 읽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1 (21): 117-134, 2009

      13 지영학, "청주향교와 읍성의 입지에 대한 풍수지리적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 28 (28): 1-11, 2018

      14 정요근, "진도의 옛 읍치 유적" 62 : 280-298, 2016

      15 "지승"

      16 "지방지도"

      17 "증보문헌비고"

      18 김기덕, "조선후기 충청도 지방 읍치의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12 (12): 43-57, 2003

      19 여상진, "조선후기 천안군(天安郡) 읍치시설(邑治施設) 고찰 - 지리지(地理誌) 및 읍지류(邑誌類) 분석을 중심으로 -" 건설환경연구소 6 (6): 132-142, 2011

      20 유훈조, "조선후기 주현사직단의 입지와 조영방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21 전종한, "조선후기 전주부 읍치경관의 일반성과 고유성 - 상징적 경관과 장소로 ʻ도읍(都邑)ʼ을 담아낸 읍치 -" 기전문화연구소 41 (41): 63-93, 2020

      22 "조선후기 읍지류"

      23 성창환, "조선후기 영천읍치의 복원에 관한기초적 연구" 25 (25): 311-314, 2005

      24 권선정, "조선후기 부평부(富平府) 읍치의 풍수적 공간구성" 기전문화연구소 40 (40): 33-50, 2019

      25 전종한, "조선후기 부평도호부 읍치경관의 복원 - 역사도시경관의 진정성과 완전성 관점에서 -" 기전문화연구소 40 (40): 71-96, 2019

      26 전종한, "조선후기 군현지도에 재현된 공간인식과 공간의식" 20 (20): 112-126, 2008

      27 이재환, "조선시대후기 경상도읍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지역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28 최원석, "조선시대 해남(海南) 읍치(邑治) 경관의역사지리학적 고찰 및 복원" 29 : 271-306, 2008

      29 강인애, "조선시대 충청지방 읍치공간의 수체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30 정다은, "조선시대 춘천읍치의 구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16

      31 최원석, "조선시대 지방도시의 풍수적 입지분석과 경관유형- 경상도 71개 읍치를 대상으로 -" 대한지리학회 42 (42): 540-559, 2007

      32 김헌규, "조선시대 지방도시 읍치의 성립과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6 (16): 119-136, 2007

      33 이수진, "조선시대 지방객사의 구조변화에 대한 일고찰 : 나주객사유적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34 권선정, "조선시대 읍치의 진산과 주산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2 (22): 50-72, 2010

      35 김석태, "조선시대 읍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영천군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36 이재환, "조선시대 읍치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지역(칠곡· 청도)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37 예명해,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칠곡도호부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7-24, 2002

      38 장혜진, "조선시대 양산의 읍치경관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9 김광원, "조선시대 안동읍치의 경관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40 송연아, "조선시대 대흥읍성의 배치 및 건축계획 특성"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2

      41 이기봉,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 입지의 전형성과권위 표현의 상징성" 27 : 321-326, 2006

      42 이기봉,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 입지의 다양성과 전형성-고려말 이후 입지 경향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3 (13): 321-340, 2007

      43 이기봉,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 입지의 다양성과 전형성: 고려말 이후 입지 경향의 변화를 중심으로" 28 : 7-40, 2007

      44 성재만, "조선시대 객사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조경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45 도도로키히로시, "조선시대 邑治와 관도의 연결 유형에 따른 교통로의 상징성 - 경상도의 사례연구 -"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351-366, 2005

      46 이은옥, "조선시대 邑治際儀 운영과 변화"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4

      47 김덕현, "조선시대 邑治景觀독해" 157-162, 2003

      48 삽곡진명, "조선말기 군현도의 표현방법에 나타난 풍수지리적 지형인식" 10 : 103-114, 1998

      49 김기혁, "조선-일제강정기 동래읍성 경관변화 연구" 대한지리학회 37 (37): 317-336, 2002

      50 이수진, "조선 초 읍성 축조에 대한 일고찰" 호남고고학회 62 : 94-127, 2019

      51 권선정, "전통지리 풍수의 지역인문학적 의미 - 인천의 부평(富平) 지역을 사례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30): 34-53, 2018

      52 권선정, "전통도시 읍치(邑治)를 통해 본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 충남 예산군을 사례로 -" 기전문화연구소 38 (38): 41-66, 2017

      53 강병기, "전통공간사상에 관한 연구(2)" 31 (31): 9-25, 1996

      54 김두규, "전통 읍(邑)의 풍수적 공간구성" 217 : 56-60, 1999

      55 조정규, "일제강점기 전주 읍치의 토지이용과 도시 공간 변화 - 중앙동 1가~4가를 중심으로 -" 기전문화연구소 41 (41): 3-24, 2020

      56 한재수, "일제 강점기 조선시대 강원도 邑治의 중심 原州와 江原監營 일대 도시구조와 역사경관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179-188, 2007

      57 이기태, "읍치 성황제 주제집단의 변화와 제의 전통의 창출 :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6

      58 김덕현, "유교적 세계의 공간적 표상-읍치경관" 80 : 1-3, 2003

      59 이준선, "영동지역 읍치의 입지와 경관 - 강릉과 삼척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2 (22): 60-76, 2010

      60 최원석, "영남의 읍치경관요소에서 진산의 지리적 의미 고찰" 14 (14): 106-109, 2002

      61 "여지도서"

      62 국사편찬위원회, "여지도서"

      63 "신증동국여지승람"

      64 이영재, "순흥(順興) 치성황제(邑治城隍祭)의 형성과 변화" 국립민속박물관 (23) : 31-55, 2008

      65 박종필, "수원화성의 풍수지리적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2017

      66 "세종실록지리지"

      67 김선범, "성곽의 도시원형적 해석 : 조선시대 읍성을 중심으로" 2 (2): 17-27, 1999

      68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9 윤동환, "삼척 읍치성황제의 지속과 변화" 실천민속학회 16 : 429-464, 2010

      70 박용수, "산경표" 푸른산 1990

      71 "비변사인방안지도"

      72 "동국여지지"

      73 "동국여지승람(지도)"

      74 전종한, "내포지역 읍성 원형과 읍치경관의 근대적 변형 - 읍성취락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근대화 -" 대한지리학회 39 (39): 321-343, 2004

      75 황의천, "남포현 치소의 이동에 관하여" 웅진사학회 3·4 합 : 407-443, 1999

      76 김민옥, "낙안읍성의 역사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77 최진성, "근대이행기 전주 읍치의 종교적 장소성 변화 - 읍성의 해체와 종교경관을 중심으로 -" 기전문화연구소 41 (41): 25-44, 2020

      78 조정규,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토지이용과 소유의 변화" 기전문화연구소 40 (40): 51-70, 2019

      79 최진성,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도로망 특성과 변천" 기전문화연구소 40 (40): 3-31, 2019

      80 김헌규, "근대 한국에 있어 일본제국에 의한 철도건설과 읍치의 변화에 관한 역사적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7 (17): 29-44, 2008

      81 민족문화추진위원회, "국역 신증동국여지승람" 1969

      82 "국사편찬위원회"

      83 "국립중앙도서관"

      84 "광여도"

      85 이기봉, "고려시대 양주의 읍치 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91-103, 2011

      86 정요근, "고려 시대 전통 대읍 읍치 공간의 실증적 검토와 산성읍치설 비판" 한국중세고고학회 (6) : 5-39, 2019

      87 장동수, "경주, 포항시 전통도시숲(읍수(邑藪), 임수(林藪))의 보존과 관리, 활용방안에관한 연구" 15 : 1-15, 1997

      88 양보경, "경상북도 永川邑城의 空間構造와 그 變化"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45-64, 2004

      89 김덕현, "경상도 군현의 형성과 변화 과정"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7 (17): 1-21, 2005

      90 최원석, "경상도 邑治 경관의 역사지리학적 복원에 관한 연구: 南海邑을 사례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19-44, 2004

      91 최원석, "경상도 邑治 景觀의 鎭山에 관한 고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5 (15): 119-136, 2003

      92 이종찬, "경기지역 향교, 서원의 廟, 學공간간 건축적 위계성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4

      93 권선정, "경관 텍스트로서의 지도 읽기 - 錦山의 옛 지도를 포함하여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5 (15): 61-82, 2003

      94 김도현, "강원도지역 읍치 성황사 고찰" 14 : 133-159, 2005

      95 황경순, "邑治城隍祭主宰集團의 지속과 변화" 13 : 179-199, 2001

      96 이상동, "淸道 鎭山과 邑治의 景觀 構成" 한국학연구원 (45) : 287-314, 2011

      97 최창조, "朝鮮朝邑聚落의 立地類型과 立地要因에 관한 硏究 : 公州, 全州, 尙州을 中心으로" 8 : 21-30, 1982

      98 예명해, "朝鮮時代邑治의 空間構成에 關한 연구 -朝鮮時代永川郡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8 (18): 141-151, 2002

      99 이동훈, "朝鮮時代仁同邑治의 風水立地硏究" 대구한의대학교 2015

      100 이재환, "朝鮮時代 軍威邑治의 空間構成에 關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139-147, 2004

      101 예명해, "朝鮮時代 星州邑治의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22 (22): 165-172, 2006

      102 김기덕, "朝鮮時代 地方 邑治의 造營規範에 관한 硏究-朝鮮後期 史料에 나타난 忠淸道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20 (20): 111-118, 2004

      103 이훈상, "朝鮮後期邑治社會의 構造와 祭儀: 鄕吏集團의 正體性혼란과 邑治祭儀의 遊戲化" 147 : 47-94, 1995

      104 김희정, "朝鮮後期洪州牧邑治의 都市構成特性에 關한 硏究" 충남대학교 2014

      105 권내현, "朝鮮後期 邑治와 그 居住民 構成에 관한 一考察" 고려사학회 (3) : 345-365, 1998

      106 이규대, "朝鮮前期 邑治 城隍祭와 主導勢力- 嶺東地域 事例를 中心으로 -" 한국역사민속학회 17 : 2003

      107 이강국, "星州邑成의 空間構成에 關한 硏究" 한국주거학회 15 (15): 31-42, 2004

      108 장동수, "慶州邑藪의 變遷에 관한 硏究" 31 (31): 37-49, 1996

      109 김성용, "慶山地域 鄕校와 書院의 風水立地 比較 硏究"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110 강성복, "大興 蘇都督祠와 邑治 城隍祠" 백제연구소 (49) : 97-122, 2009

      111 김병주, "『포쇄일기』를 통해 본 읍치의 풍경" 한국동양예술학회 (35) : 91-118, 2017

      112 신상섭,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읍치(邑治)의 공간구조와 관아(官衙) 조경 -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을 중심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소 49 (49): 86-103, 2016

      113 한은정, "『김해부내지도』에 나타난 김해부 읍치의 역사 지리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4 권선정, "ʻ왕실본향ʼ으로서 전주의 장소성과 풍수적 배치" 기전문화연구소 41 (41): 45-62, 2020

      115 국토연구원, "2016 산지이용실태조사를 위한산지 역사문화 조사 및 공간정보 구축" 2016

      116 이훈상, "19세기 후반 향리 출신 노년 연령집단과 읍치의 제의 그리고 포퓰러 문화의 확산" 국립민속박물관 (27) : 5-34, 2010

      117 백효진, "1901년 『충청남도연산군양안』을 활용한 연산현 읍치의 계층별 주민분포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도시설계학회 20 (20): 111-124, 2019

      118 박기현, "1872년 지방지도를 통해 본 익산의 역사지리 : 읍치, 취락, 하천 경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0.9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