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헌을 통해 본 고혼의례 물질문화의 역사적 배경 - 여제와 수륙재의 고혼대상과 상징물이 무속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aterial Culture of the Ritual for Gohon(lonely soul)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subjects and Symbols of Yeoje and Suryukjae on Shama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0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무속 고혼의례의 물질문화 중 고혼대상과 상징물을 논의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 배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무속의 고혼의례는 조선시대 여제(厲祭)와 수륙재(水陸齋)...

      본 연구는 무속 고혼의례의 물질문화 중 고혼대상과 상징물을 논의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적 배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무속의 고혼의례는 조선시대 여제(厲祭)와 수륙재(水陸齋)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가정하여 전존(傳存)하는 조선시대부터 1930년대까지 문헌의 전거(典據)를 연구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고혼(孤魂)이란 불가항력적으로 비정상적인 죽음을 맞이한 사자(死者)를 말한다. 조선시대 고혼은 재해와 역병(疫病)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여겨져 국가에서는 여제와 수륙재를 거행해 고혼을 위로하였다. 여제는 전국에 조성된 여단(厲壇)의 신좌(神坐)에 신주목(神主木)으로 표상된 성황패(城隍牌)와 무사귀신패(無祀鬼神牌)를 세워 지냈는데, 여제 전 성황에게 발고제(發告祭)를 먼저 지냈다. 조선중기 무사귀의 위수(位數)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이는 조선의 가치관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조선전기 수륙재는 여제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 국행수륙재로 거행되어 성황단이 배치되었으나, 조선후기 성황단은 생략되었다. 이는 수륙재에서 성황의 비중이 낮아졌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수륙재의 고혼대상은 여제의 무사귀에 근심걱정이 죽음의 원인이거나 사회적 불평등에 희생된 고혼 등을 추가하여 감로탱에 도상으로 표상하였다.
      조선시대 일부 지역에서는 여단과 성황사를 합쳐 여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빈번한 역병 창궐로 인한 별여제 거행으로 조선 후기 들어 여제와 여단이 마을제의와 성소(聖所)로 수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무속의 고혼대상은 의례의 종반부에 잡귀잡신의 범주 안에서 걸립・성황・영산・상문・수비 등이 초대된다. 이 중 여제의 무사귀는 영산으로 초대되며, 여제의 용례(用例)처럼 영산을 청하기 직전에 성황을 놀린다. 이 때 성황의 비중은 높지 않으며 이는 수륙재의 영향으로 이해된다. 무속의 고혼은 무사귀의 틀 안에서 시대적・사회적 상황을 반영하여 인격화・전물・헌물・신위 등으로 다양하게 표상된다.
      여제와 수륙재 그리고 무속의 고혼의례는 모두 해원의례로서의 성격을 띤다. 여제가 고혼을 위로하여 상서롭지 못한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수륙재와 무속은 고혼의 타계 천도까지도 염원한다. 그런데 무속의 고혼의례에서는 천도의례를 하지는 않는다. 단지, 고혼의 한을 풀어줌으로써 고혼이 현세에서의 미련을 더 이상 갖지 않고 영원회귀의 순환체계 속으로 재 편입되기를 바라는 의도가 함의되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엽, "호남지역 무당굿놀이의 연행양상과 의미" 한국무속학회 (21) : 179-209, 2010

      2 송현동, "현대 한국의 장례의식에 나타난 죽음관" 한국종교학회 (43) : 139-166, 2006

      3 송현동, "현대 한국 원혼의례의 양상과 특징" 한국종교학회 (61) : 131-151, 2010

      4 한국교회사연구소, "한국천주교회사 3" 2017

      5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권1" 집문당 1986

      6 조흥윤, "한국의 샤머니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7 서영대, "한국과 중국의 성황신앙 비교" 중국사학회 12 : 173-225, 2001

      8 연제영, "한국 수륙재의 의례와 설행양상" 고려대학교 2014

      9 황루시, "퇴송굿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 한국샤머니즘학회 2 : 103-126, 2000

      10 이광규, "친족집단과 조상숭배" 한국문화인류학회 9 : 1-24, 1977

      1 이경엽, "호남지역 무당굿놀이의 연행양상과 의미" 한국무속학회 (21) : 179-209, 2010

      2 송현동, "현대 한국의 장례의식에 나타난 죽음관" 한국종교학회 (43) : 139-166, 2006

      3 송현동, "현대 한국 원혼의례의 양상과 특징" 한국종교학회 (61) : 131-151, 2010

      4 한국교회사연구소, "한국천주교회사 3" 2017

      5 윤이흠, "한국종교연구 권1" 집문당 1986

      6 조흥윤, "한국의 샤머니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7 서영대, "한국과 중국의 성황신앙 비교" 중국사학회 12 : 173-225, 2001

      8 연제영, "한국 수륙재의 의례와 설행양상" 고려대학교 2014

      9 황루시, "퇴송굿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 한국샤머니즘학회 2 : 103-126, 2000

      10 이광규, "친족집단과 조상숭배" 한국문화인류학회 9 : 1-24, 1977

      11 지환, "천지명양수륙재의 범음산보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12 "진군청"

      13 G.프르너, "중국의 신령" 정음사 1984

      14 갈조광, "중국의 도교문화" 동문선 1993

      15 박호원, "중국 성황의 사적 전개와 신앙성격" 국립민속박물관 3 : 85-121, 1996

      16 이용범, "죽음의례 죽음 한국사회" 도서출판모시는 사람들 2015

      17 구미래, "종교와 일생의례" 민속원 109-140, 2006

      18 김헌선, "종교와 그림" 민속원 99-143, 2008

      19 이규근, "조선후기 질병사 연구: 조선왕조실록의 전염병 발생 기록을 중심으로" 국사편찬위원회 96 : 1-42, 2001

      20 남희숙, "조선후기 불서간행 연구 : 진언집과 불교의식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1 이욱, "조선전기 원혼을 위한 제사의 변화와 그 의미: 수륙재와 여제를 중심으로" 한신인문학연구소 3 : 169-187, 2001

      22 심효섭, "조선전기 수륙재의 설행과 의례" 40 : 219-246, 2004

      23 이욱, "조선시대 국가사전과 예제" 한국종교학회 19 : 149-168, 2000

      24 이욱, "조선 전기 유교국가의 성립과 국가제사의 변화" 한국사연구회 (118) : 6-194, 2002

      25 이성운, "전통수륙의문의 재차와 그 미학" 한국정토학회 (25) : 145-197, 2016

      26 조흥윤, "잡귀잡신 연구" 서강대학교 비교사상연구원 1 : 79-93, 1988

      27 Bell, Catherine M., "의례의 이해" 한신대학교출판부 2009

      28 금장태, "유교와 무속의 상관관계" 서울대학교종교학연구회 43-51, 1981

      29 장철수, "옛무덤의 사회사" 도서출판 웅진 1995

      30 月渚道安, "영가천혼범어집" 토방 1994

      31 서영대, "시흥군자봉 성황제" 시흥문화원 55-113, 2005

      32 홍태한, "수륙재 <하단>에 보이는 죽음 형상의 보편성" 남도민속학회 (24) : 199-226, 2012

      33 구미래, "불교의례 재물(齋物)의 중층적 의미― 천도재를 중심으로 ―" 한국종교학회 (44) : 199-223, 2006

      34 무라야마 지쥰, "부락제" 민속원 2016

      35 황루시, "무속의 관점에서 보는 사회적 약자의 존재성–뒷전의 인물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51) : 5-35, 2018

      36 천태현, "마을신앙의 변화와 전승: 구리시 사노동 산치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한국민속학 25-35, 2017

      37 황루시, "뒷전의 주인공" 지식의 날개 2021

      38 최진아, "넋건지기굿 무구의 의례적 기능과 상징 -군산지역 강신보살의 사례를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45) : 169-207, 2015

      39 김형근, "남해안지역 굿놀이의 양상과 비교" 한국무속학회 (21) : 211-248, 2010

      40 김미영, "관혼상제에 투영된 유교적 세계관" 비교민속학회 (39) : 331-360, 2009

      41 김갑동, "고려시대의 성황신앙과 지방통치" 한국사연구회 74 : 1-24, 1991

      42 윤동환, "거리굿의 전형성과 특징" 한국민속학회 53 : 75-100, 2011

      43 "강진일보"

      44 강우방, "감로탱" 예경출판사 1989

      45 윤동환, "감로도에 나타난 수륙재의 장엄 설단과 구성" 남도민속학회 (30) : 253-284, 2015

      46 연제영, "감로도상의 조성배경과 천도대상의 변화" 고려대학교 2003

      47 "鶴峯先生文集"

      48 "高麗史"

      49 秋葉隆, "韓國巫俗論集" 旿晟社 1983

      50 "靑莊館全書"

      51 "雲水壇"

      52 "銀臺條例"

      53 村山智順, "部落祭" 朝鮮總督府 1937

      54 "輿地圖書"

      55 "經國大典"

      56 "竹陰集"

      57 "禮記"

      58 "眞言勸供(언해)"

      59 "牧民心書"

      60 "洪武禮制"

      61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62 "沙溪全書"

      63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64 "梅月堂集"

      65 "東文選"

      66 "東國李相國集"

      67 "東國輿地備考"

      68 박성규, "朱子의 厲鬼論"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6) : 151-168, 2003

      69 "朱子語類"

      70 "朝鮮王朝實錄"

      71 赤松智城, "朝鮮巫俗의 硏究(下)" 동문선 1991

      72 赤松智城, "朝鮮巫俗의 硏究(上)" 동문선 1991

      73 秋葉隆, "朝鮮巫俗文化圈" (239) : 1935

      74 赤松智城, "朝鮮巫俗の硏究(下)" 大阪屋號書店 1938

      75 "春官通考"

      76 "春官志"

      77 "星湖僿說"

      78 "日省錄"

      79 "新增東國輿地勝覽"

      80 "弘齋全書"

      81 "寒岡集"

      82 "宮中撥記"

      83 "宋子大全"

      84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85 "大刹四明日迎魂施食儀文"

      86 "國朝五禮通編"

      87 "國朝五禮儀"

      88 "厲祭謄錄"

      89 "南史"

      90 馬書田, "冥間鬼神" 風格司 2012

      91 연제영, "儀禮的 관점에서 甘露幀畵와 水陸畵의 內容 비교" 불교학연구회 16 : 265-297, 2007

      92 "五種梵音集"

      93 "五洲衍文長箋散稿"

      94 "亂中雜錄"

      95 "三國遺事"

      96 "三國史記"

      97 안유경,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유교문화연구소 1 (1): 63-96, 2010

      98 김명숙, "‘좋은 죽음’과 유학의 죽음관" 동양사회사상학회 (19) : 165-198, 2009

      99 구미래, "‘일생’에 대한 불교적 관념과 불교 일생의례의 특성" 비교민속학회 (39) : 225-257, 2009

      100 구미래, "‘옷’을 매개로 한 불교 상례의 의례구조와 특성" 한국민속학회 45 : 37-63, 2007

      101 이경엽, "<설양굿>의 연극적 구조와 기능" 남도민속학회 (4) : 29-55, 1997

      102 이욱, "17세기 여제의 대상에 관한 연구" 한국역사민속학회 9 : 315-347,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9 0.732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