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동궁의 구조와 범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9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궁은 차기 왕위 계승자인 태자가 거처하는 독립된 영역이자 전각을 이르는 말이다. 신라의 동궁은 문무왕 19년에 창조되었다. 유교적 예제와 관련하여 장자상속을 공고히 하려는 조치로 ...

      동궁은 차기 왕위 계승자인 태자가 거처하는 독립된 영역이자 전각을 이르는 말이다. 신라의 동궁은 문무왕 19년에 창조되었다. 유교적 예제와 관련하여 장자상속을 공고히 하려는 조치로 보인다. 그간 동궁의 영역을 월지 일대로 보는 데는 이견이 없었다. 그런데 발굴조사가 진전됨에 따라 임해전을 동궁이 아니라고 하거나 경주박물관 남측 부지에 비정하는 견해가 제출되었다. 임해전은 온실전에 비견되는 국왕의 영역이므로 동궁이 될 수 없다. 그런데 동궁 산하의 관부 가운데 월지악전, 월지전이 배치된 것을 보면 동궁은 월지 일대에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이와 관련하여 월지 동편 일대의 발굴 성과가 주목된다. (가) 지구에서는 月臺를 갖춘 건물지 2동이 확인되었다. 1호 건물지로 명명된 공간은 담장으로 격절 되어 있다. 궁역의 모퉁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186번 목간에 보이는 ‘隅宮’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7호 건물지 남서편 (나) 지구로 이어지는 공간에 月臺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나) 지구의 발굴이 이루어지면 그 면모가 드러나겠지만, 이 건물은 1호 건물의 규모를 압도하는 가장 권위적인 공간이다. 따라서 태자가 정무를 보면서 후계자 교육을 받는 공적 공간일 가능성이 높다.
      동궁의 범위는 동편은 남북 대로에 의해 구획되며 출입시설로 동문이 조영되어 있다. 서편은 월지와 건물군 사이를 격절하는 담장으로 구획되었을 것이고, 월지 방면으로 소통하기 위한 서문이 조영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남편은 (나) 지구의 월대를 갖춘 건물 앞까지로 추정된다. 북편은 발천이 자연 경계면을 형성하며, 그리 멀지 않은 공간에 흥륜사-황룡사로 이어지는 도로가 조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ast Palace (Donggung) refers to an independent area and royal palace where the crown prince, the next successor to the throne, resides. The East Palace of the Silla Dynasty was established in the 19<SUP>th</SUP> year of King Munmu’s...

      The East Palace (Donggung) refers to an independent area and royal palace where the crown prince, the next successor to the throne, resides. The East Palace of the Silla Dynasty was established in the 19<SUP>th</SUP> year of King Munmu’s reign. It seems to be a measure for strengthening primogeniture, concerning the Confucian ritual protocol. Until now, there has been no opinion against the consideration of the Wolji Pond area as the East Palace area. And yet, with the progress of the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some had an opinion that Imhaejeon might not be the East Palace or that it was located at the southern site of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Imhaejeon is the King’s realm compared to Onsiljeon. From the placement of Woljiakjeon and Woljijeon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under the East Palace, it is certain that the East Palace was in the Wolji Pond area. Concerning this, the result of excavation at the east side of Wolji Pond attracts attention. In District Ga(가), two Woldae-style building sites were found. The space named Building Site No. 1 is isolated by the wall. Since it is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palace district, it is assumed to be ‘Ugung Palace’ seen in Wooden Tablet No. 186. Also, in the space connected to District B, part of Woldae is exposed on the south side of Building Site No. 7. If District Na(나) is excavated, the appearance would be revealed, but this building is the most authoritative space that overwhelm the scale of Building No. 1. On the east side of Wolji Pond, this building is very likely to be the public space where the crown prince receives successor education, managing political affairs.
      As for the scope of the East Palace, the east side is partitioned by Nambuk-daero, and the west side is partitioned by the fence built on the Wolji Pond. The south side is assumed to be in front of the building with the Woldae District Na(나) reaches. It is hard to know the northern border, Balcheon is the border, and it is possible that the road leading to Heungryunsa Temple-Hwangnyongsa Temple was constructed in a not far sp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I. 머리말
      • II. 동궁의 위치 비정 동향
      • III. 동궁의 구조
      • IV. 동궁의 추정 범위
      • 국문 초록
      • I. 머리말
      • II. 동궁의 위치 비정 동향
      • III. 동궁의 구조
      • IV. 동궁의 추정 범위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2 전덕재,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역사산책 2018

      3 김수태, "통일신라시대의 洗宅 재론" 영남문화연구원 (73) : 193-235, 2020

      4 뤼징, "죽간·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5 이용현, "안압지와 東宮 庖典" (창간) : 2007

      6 이문기, "안압지 출토 木簡으로 본 新羅의 洗宅" 한국고대사학회 (65) : 159-201, 2012

      7 고경희, "안압지" 대원사 1989

      8 김병곤, "신라의 태자 책봉제 수용 과정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64) : 405-438, 2011

      9 윤무병, "신라왕궁고" 대한민국학술원 49 (49): 2010

      10 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1984

      1 "禮記"

      2 전덕재, "한국과 동아시아 동궁 연구" 역사산책 2018

      3 김수태, "통일신라시대의 洗宅 재론" 영남문화연구원 (73) : 193-235, 2020

      4 뤼징, "죽간·목간에 담긴 고대 동아시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5 이용현, "안압지와 東宮 庖典" (창간) : 2007

      6 이문기, "안압지 출토 木簡으로 본 新羅의 洗宅" 한국고대사학회 (65) : 159-201, 2012

      7 고경희, "안압지" 대원사 1989

      8 김병곤, "신라의 태자 책봉제 수용 과정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64) : 405-438, 2011

      9 윤무병, "신라왕궁고" 대한민국학술원 49 (49): 2010

      10 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1984

      11 이민형, "신라 황룡사 대지조성공법과 범위"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8

      12 김병곤, "신라 헌덕왕대의 副君 秀宗의 정체성과 太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5) : 183-223, 2013

      13 李泳鎬, "신라 중대의 정치와 권력구조" 지식산업사 2014

      14 김병곤, "신라 東宮의 역할과 영역 - 임해전 및 안압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 : 75-107, 2015

      15 홍승우, "신라 副君과 月池宮" 동양학연구원 (70) : 63-84, 2018

      16 최순조, "국립경주박물관 남측부지 유적 출토 신명문자료 : 東宮衙銘 호 및 辛番(?)東宮洗宅銘 청동접시" 한국목간학회 10 : 2013

      17 김차정, "경주지역 출토 나말여초 地鎭容器의 검토" 대구사학회 92 : 169-192, 2008

      18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인왕동 왕경유적2" 2014

      19 李成市, "韓國出土の木簡について" 19 : 1997

      20 김병곤, "雁鴨池의 月池 改名에 대한 再考" 한국역사민속학회 (43) : 7-37, 2013

      21 이문기, "雁鴨池 출토 木簡으로 본 新羅의 宮廷業務 -宮中雜役의 遂行과 宮廷警備 관련 木簡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9) : 157-207, 2005

      22 하시모토 시게루, "雁鴨池 木簡 判讀文의 再檢討" (창간) : 2007

      23 韓炳三, "雁鴨池 名稱에 대하여" 153 : 1982

      24 윤선태, "雁鴨池 出土 門號木簡 과 新羅 東宮의 警備" 한국고대사학회 (44) : 269-296, 2006

      25 "聖住寺 朗慧和尙 白月葆光塔碑"

      26 신라문화유산연구원, "皇龍寺 廣場과 都市Ⅱ" 2020

      27 신라문화유산연구원, "皇龍寺 廣場과 都市Ⅰ" 2018

      28 "漢書"

      29 최영성, "月池宮 관련 자료 재검토 — 東宮은 太子宮이 아니다 —" 동양고전학회 (55) : 173-192, 2014

      30 "春秋左傳"

      31 金羲滿, "新羅의 王權과 官職制" 신라문화연구소 (22) : 288-308, 2003

      32 이승현, "新羅의 東宮制度" 한국고대사학회 (55) : 213-251, 2009

      33 이재환, "新羅의 宦官 官府에 대한 試論 -洗宅(중사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한국목간학회 (21) : 207-226, 2018

      34 박방룡, "新羅都城" 학연문화사 2013

      35 金昌謙, "新羅時代 太子制度의 性格" 한국상고사학회 13 : 1993

      36 이인철, "新羅政治制度史硏究" 一志社 1993

      37 이문기, "新羅 洗宅(中事省)의 機能과 官制的 位相의 變化" 역사교육학회 (51) : 265-318, 2013

      38 윤선태, "新羅 東宮의 位置와 ‘東宮官’機構" 신라사학회 (46) : 127-154, 2019

      39 양정석, "新羅 月池와 東宮의 變化過程 檢討 -月池 南便 建物址의 分析을 中心으로-" 한국사연구회 (154) : 1-36, 2011

      40 조범환, "新羅 上代 太子制의 運營과 東宮의 設置" 신라문화연구소 (35) : 1-20, 2010

      41 聖林文化財硏究院, "慶州 校洞 274番地 南川周邊 景觀整備工事 區間內 遺蹟" 2014

      4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 東宮과 月池Ⅲ" 2019

      4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 東宮과 月池Ⅱ" 2014

      4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 東宮과 月池Ⅰ" 2012

      45 "三國史記"

      46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