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진강 유역 점유 세력의 변천 -백제・고구려의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1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임진강 유역과 백제의 성장
      • Ⅲ. 임진강 유역의 고구려 유적
      • Ⅳ. 임진강 유역을 둘러싼 시대적 상황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임진강 유역과 백제의 성장
      • Ⅲ. 임진강 유역의 고구려 유적
      • Ⅳ. 임진강 유역을 둘러싼 시대적 상황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起燮, "「三國史記」 「百濟本紀」에 보이는 靺鞨과 樂浪의 位置에 대한 再檢討" 8 : 1991

      2 신광철,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한국고대학회 (35) : 189-224, 2011

      3 송지연, "한성백제와 대방군의 관계: 성장과 관련하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3

      4 서승완, "파주 덕진산성의 축성법의 변화 검토" 고구려발해학회 58 : 9-52, 2017

      5 김덕원, "칠중성의 영유권 변천과 전략적 역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3) : 333-371, 2019

      6 박중국, "중도문화의 지역성-‘중도유형문화론’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중앙문화재연구원 (11) : 41-88, 2012

      7 이준선, "적성지역의 전략적 가치와 그 배경"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1-18, 2004

      8 김성태, "임진강 유역 적석총의 재검토" 2018

      9 한지선, "임진강 유역 원삼국~삼국시대 취락과 지역 정치체의 동향" 2018

      10 서영일, "임진강 유역 교통로, 임진강 유역, 분단과 평화의 고고학" 2018

      1 金起燮, "「三國史記」 「百濟本紀」에 보이는 靺鞨과 樂浪의 位置에 대한 再檢討" 8 : 1991

      2 신광철,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한국고대학회 (35) : 189-224, 2011

      3 송지연, "한성백제와 대방군의 관계: 성장과 관련하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3

      4 서승완, "파주 덕진산성의 축성법의 변화 검토" 고구려발해학회 58 : 9-52, 2017

      5 김덕원, "칠중성의 영유권 변천과 전략적 역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3) : 333-371, 2019

      6 박중국, "중도문화의 지역성-‘중도유형문화론’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중앙문화재연구원 (11) : 41-88, 2012

      7 이준선, "적성지역의 전략적 가치와 그 배경"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1-18, 2004

      8 김성태, "임진강 유역 적석총의 재검토" 2018

      9 한지선, "임진강 유역 원삼국~삼국시대 취락과 지역 정치체의 동향" 2018

      10 서영일, "임진강 유역 교통로, 임진강 유역, 분단과 평화의 고고학" 2018

      11 권오영,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양태와 백제국가의 통합양상" 중부고고학회 8 (8): 31-49, 2009

      12 한국토지주택공사, "연천신답리고분-발굴조사보고서-" 2003

      13 임기수, "연천 통현리 고구려 석실분, 중부지역 문화유적 발굴성과" 2021

      14 서울대학교박물관, "아차산 제4보루-발굴조사 종합보고서-" 2000

      15 최종택, "아차산 보루와 고구려 남진경영" 서경문화사 2013

      16 조가영, "석촌동 고분군의 축조 양상 검토 – 고분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75 (75): 252-275, 2012

      17 조효식, "서울 아차산 일원의 삼국시대 유적 자료 소개-일제강점기 조사 자료 소개와 검토-,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성곽" 국립중앙박물관 2016

      18 崔秉鉉, "서울 江南地域 石室墳의 性格-新羅 地方石室墳 硏究(1)-" 10 : 1997

      19 문안식, "백제의 흥망과 전쟁" 혜안 2006

      20 문안식, "백제의 평양성 공격로와 마식령산맥 관방체계 구축"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2) : 145-183, 2016

      21 조관휴, "백제 한성기의 왕계 변화와 대방군과의 관계" 한국학연구소 42 : 97-130, 2014

      22 안성현, "덕진산성의 축조 연대와 의미" 백제문화연구소 (56) : 163-197, 2017

      23 양시은, "남한에서 확인되는 고구려의 시·공간적 정체성" 중부고고학회 10 (10): 101-131, 2011

      24 백종오, "남한 내 고구려 유적 유물의 새로운 이해 - 최근 발굴 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8) : 113-147, 2008

      25 신광철, "관방체계를 통해 본 고구려의 국가전략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22

      26 신광철,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과 의의" 한국상고사학회 88 (88): 69-106, 2015

      27 임기환,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경영과 서울" 서울학연구소 (18) : 1-33, 2002

      28 강현숙, "고구려 고고학" 진인진 2020

      29 신광철, "강원도 말갈과 고구려의 南進" 한국상고사학회 105 (105): 149-197, 2019

      30 백종오, "高句麗 遺蹟의 寶庫 京畿道" 京畿道博物館 2005

      31 朴鍾書, "高句麗 南進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32 尹善泰, "馬韓의 辰王과 臣濆沽國-嶺西濊 지역의 歷史的 推移와 관련하여-" 34 : 2001

      33 李賢惠, "馬韓百濟國의 形成과 支配集團의 出自" 22 : 1991

      34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修訂版)" 博英社 1976

      35 김병곤, "臨津江 流域의 積石塚과 馬韓" 43 : 2007

      36 박수정, "百濟의 左輔와 右輔" 한국고대학회 (28) : 293-319, 2008

      37 노중국, "百濟의 姓氏와 貴族家門의 出自" 대구사학회 89 : 63-102, 2007

      38 최희수, "百濟 초기 部의 성립·운영과 地方統治"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8) : 51-79, 2014

      39 양기석, "百濟 初期의 部" 17 : 2000

      40 (財)고려문화재연구원, "漣川 江內里 遺蹟-군남홍수조절지 건설사업 문화재 시발굴조사(Ⅰ구역)" 2012

      41 서울지방국토관리청, "漣川 仙谷里・三巨里遺蹟-연천 임진강 군남지구 하천환경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발(시)굴조사 보고서-" 2017

      42 朴淳發, "漢江流域의 靑銅器 初期鐵器 및 原三國時代에 대한 編年的 考察" 1994

      43 姜仁求, "漢江流域 百濟 古墳의 再檢討" 22 : 1989

      44 朴淳發, "漢城百濟 基層文化의 性格-中島類型文化의 歷史的 性格을 중심으로 -" 26 : 1996

      45 崔夢龍, "漢城時代 百濟의 領域과 文化" 22 : 1989

      46 沈載淵, "江原 嶺東・嶺西地域의 鐵器文化硏究" 翰林大學校 大學院 1996

      47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朝鮮遺蹟遺物圖鑑 20" 1996

      48 백종오, "抱川 城洞里山城의 變遷過程 檢討" 20 : 2004

      49 京畿道博物館, "抱川 城洞里 마을遺蹟" 1999

      50 李仁哲, "廣開土好太王碑를 통해 본 高句麗의 南方經營" 2 : 1996

      51 李道學, "孫寶基博士停年紀念韓國史學論叢" 知識産業社 1988

      52 崔秉鉉, "墓制를 통해서 본 4~5세기 韓國古代社會" 6 : 1994

      53 京畿道博物館, "坡州 舟月里 遺蹟-’96・’97 京畿道博物館 調査地域-" 1999

      54 漢陽大學校 博物館, "坡州 舟月里 遺蹟-’96・’97 한양대학교 조사지역-" 1999

      55 李東熙, "南韓地域의 高句麗系 積石塚에 대한 再考" 28 : 1998

      56 최종택, "南韓地域 高句麗古墳의 構造特徵과 歷史的 意味" 한국고고학회 (81) : 139-176, 2011

      57 權五榮, "初期百濟 成長過程에 關한 一考察"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58 정재윤, "初期 百濟의 成長과 眞氏 勢力의 動向" 호남사학회 (29) : 1-26, 2007

      59 노혁진, "中島式吐器의 由來에 대한 一考" 호남고고학회 19 : 97-112, 2004

      60 千寬宇, "三國志 韓傳의 再檢討" 41 : 1976

      61 이홍종, "『三國史記』 ‘靺鞨’기사의 고고학적 접근" 고려사학회 (5) : 9-47, 1998

      62 이승호, "「毌丘儉紀功碑」의 해석과 高句麗·魏 전쟁의 재구성" 한국목간학회 (15) : 15-44, 2015

      63 徐榮一, "5~6世紀 高句麗 東南境 考察" 24 : 1991

      64 장창은, "4~5世紀 高句麗의 南方進出과 對新羅 關係" 고구려발해학회 44 : 9-57, 2012

      65 정지은, "3~4세기 백제의 대중국교섭과 동이교위" 한국역사연구회 (112) : 135-170, 2019

      66 박현숙, "3~4세기 백제의 대외관계와 왕권의 추이" 한국고대사학회 (83) : 127-159, 2016

      67 이인철, "1~3세기경 백제의 군사전략과 영토확장" 44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