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국가통합과 조선족 정체성의 갈등 = The Conflict between Identity of Korean-Chinese and National Integration of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67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족의 정체성과 중국의 국가통합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 우리는 조선족이 우리와 같은 정체성을 유지하기를 바라는 반면, 중국은 조선족이 중국내의 소수민족으로서 남기를 ...

      이 논문은 조선족의 정체성과 중국의 국가통합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 우리는 조선족이 우리와 같은 정체성을 유지하기를 바라는 반면, 중국은 조선족이 중국내의 소수민족으로서 남기를 바란다. 중국의 소수민족은 중국인구의 약 8%를 차지하는 반면 이들의 거주지는 중국영토의 60%가 넘는다. 따라서 중국에서는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을 막고 중국의 국가통합을 유지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중국의 입장에서 조선족은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1개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은 다른 소수민족의 연쇄반응(분리·독립 도미노)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전에 분리·독립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구나 한국의 통일은 조선족의 동요 뿐만 아니라 영토분쟁까지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1908년 내몽골지방에서 ‘요하문명(遼河文明)’이 발견되면서 중국은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을 막기 위하여, 1980년대에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統一的 多民族 國家論)’이라는 논리를 만들어내고 국가차원에서의 역사왜곡과 소수민족의 동화를 추구하여 왔다. 중국은 소수민족의 거주지에 한족을 이주시키는 강제 거주 프로그램을 시행해왔다. 조선족에 대하여도 ‘3관정책(三觀정책)’을 실시하여 왔고, 조선족도 주류가 3, 4세대로 이동하면서, 중국인이라는 정체성이 강해졌다. 조선족도 중국에서 가장 성공한 소수민족이라는데 대하여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반면 우리는 조선족에 대하여 차별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조선족이 대하여 우리와 같은 정체성과 유대감을 갖기를 기대하는 모순을 가지고 있다. 정책적인 일관성도 부족하다. 근거없는 연민보다는 조선족의 정체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에 기반한, 장기적이고 일관된 포용정책이 조선족의 유대감 강화와 정체성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무엇보다 입으로는 같은 민족이라고 외치면서, 그들을 우리보다 못사는 국민으로만 바라보는 것 자체가 이미 잘못된 출발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flict between identity of Korean-Chinese and national integration of China. China’s ethnic minorities constitute less 8 % of its total population. But ethnic minorities’s residence areas more than 60% of China’s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flict between identity of Korean-Chinese and national integration of China. China’s ethnic minorities constitute less 8 % of its total population. But ethnic minorities’s residence areas more than 60% of China’s territory. Separatist movements are a threat to the national integration of China. Koreans want to Korean-Chinese maintain identity as Korean. But China want to Korean-Chinese remain as one of ethnic minority of China. So Korea have conflicting interests with China in this point. The discovery of ‘The Liao River Civilization’ was a shock to China. That is the most oldest civilization in the world. The builder of ‘The Liao Rive Civilization’ were ancestor of ethnic minorities who despised by Chinese. In order to ensure that independence of ethnic minorities does not happen, China invented ‘The Unified Nation State Theory’ in 1980s. The purpose of ‘The Unified Nation State Theory’ is to distort history to support integration of China. For example, to include Ancient Chosun as part of Chinese history, to distort Chinese and all minorities have same ancestor, to brainwash minorities and drum an new identity as Chinese into minorities’s head. Korea need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nature of ‘The Unified Nation State Theory’. Besides, the identity of Korean-Chinese have changed over the generations. Needless to say, reasonable and calm approach should also apply to coping with China’s increasingly bold and frequent historical distortions and identity of Korean-Chine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주, "홍산문화" 상생출판 2011

      2 임형백, "한국인의 정체성의 다문화적 요소: 역사-인류학적 해석" 다문화평화연구소 4 (4): 10-43, 2010

      3 임형백, "한국인의 ‘민족’개념 형성에서 중화사상의 수용과 변형" 다문화평화연구소 6 (6): 111-145, 2012

      4 김명희, "한국내 조선족 정체성과 한국관" (가을) : 183-201, 2003

      5 임형백,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차이와 정책 비교"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161-185, 2009

      6 임형백, "한국 국토 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 한울 2013

      7 임형백, "한국 고대사를 제대로 이해하여야만 하는 이유"

      8 임형백, "중국의 패권주의와 對한반도 전략: 역사 분쟁, 영토 분쟁, 對북한투자의 함의" 경인행정학회 12 (12): 161-184, 2012

      9 정재남, "중국의 소수민족" 살림 2008

      10 Perdue, Peter. C., "중국의 서진(西進): 청(淸)의 중앙유라시아 정복사" 도서출판 길 2012

      1 김선주, "홍산문화" 상생출판 2011

      2 임형백, "한국인의 정체성의 다문화적 요소: 역사-인류학적 해석" 다문화평화연구소 4 (4): 10-43, 2010

      3 임형백, "한국인의 ‘민족’개념 형성에서 중화사상의 수용과 변형" 다문화평화연구소 6 (6): 111-145, 2012

      4 김명희, "한국내 조선족 정체성과 한국관" (가을) : 183-201, 2003

      5 임형백,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차이와 정책 비교" 다문화통합연구소 2 (2): 161-185, 2009

      6 임형백, "한국 국토 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 한울 2013

      7 임형백, "한국 고대사를 제대로 이해하여야만 하는 이유"

      8 임형백, "중국의 패권주의와 對한반도 전략: 역사 분쟁, 영토 분쟁, 對북한투자의 함의" 경인행정학회 12 (12): 161-184, 2012

      9 정재남, "중국의 소수민족" 살림 2008

      10 Perdue, Peter. C., "중국의 서진(西進): 청(淸)의 중앙유라시아 정복사" 도서출판 길 2012

      11 이장원, "중국의 문화적 팽창주의: 동북아질서에 대한 중국의 의도 분석"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33-52, 2008

      12 김우준, "중국의 대내외 전략과 동북공정: 현황과 우리의 대응" 한국세계지역학회 22권 (22권): 2004

      13 백영서, "중국의 국민국가와 민족문제 : 형성과 변용, 근대 국민국가와 민족문제" 지식산업사 1985

      14 신경진, "중국을 고민하다" 삼성경제연구소 23-71, 2011

      15 전송림, "중국산업지리" 백산출판사 2001

      16 이왕재, "중국동포의 대(對)한국 인식도에 관한 실증분석과 정책제언" 10 (10): 243-269, 2001

      17 정상화, "중국 조선족의 중간 집단적 성격과 한중관계" 서울 백산자료원 9-52, 2007

      18 이두원, "중국 조선족의 중간 집단적 성격과 한중관계" 백산자료원 153-184, 2007

      19 김우준, "중국 조선족의 중간 집단적 성격과 한중관계" 서울 백산자료원 53-82, 2007

      20 전설매, "중국 조선족의 중간 집단적 성격과 한중관계" 서울 백산자료원 119-151, 2007

      21 최우길, "중국 조선족 연구"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2005

      22 정신철, "중국 조선족 : 그들의 미래는" 신인간사 2000

      23 임채완, "중국 연변조선족의 민족정체성 조사 연구" 대한정치학회 10 (10): 271-297, 2002

      24 이장호, "중국 연변 조선족의 의식구조에 관한 조사 연구" 4 (4): 31-46, 1995

      25 손장권, "중국 및 중국인에 대한 사회인식: 한국인과 중국조선족의 가치비교" 6 : 23-56, 1994

      26 신승철, "중국 길림성 조선족의 민족 정체감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1 (31): 384-397, 1992

      27 박금해, "조선족중소학교에서의 민족정체성교육의 새로운 접근과 대안모색" 역사문화연구소 (41) : 173-200, 2012

      28 곽승지,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인간사랑 2013

      29 이재달, "조선족 사회와의 만남"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04

      30 이배용, "재중국 조선족의 한국사 인식과 한국관 조사연구" 27 : 5-53, 1994

      31 최우길, "재외동포문제의 현황과 과제: 초국가적 환경에서의 한민족공동체와 관련하여" 17-27, 2012

      32 Parrillo, Vincent N., "인종과 민족관계의 이해" 박영사 2010

      33 김정현, "우리겨례 성씨 이야기" 지식산업사 2009

      34 홍면기, "영토적 상상력과 통일의 지정학" 삼성경제연구소 2006

      35 김강일, "연변조선족의 대 남북한관에 관한 실증적 조사: 한중수교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8 : 205-220, 1999

      36 고영근, "연변조선족 자치주내 조선족 대학생의 정치태도에 관한 연구" 4 (4): 203-246, 1995

      37 안병만, "연변 조선족 자치주주민과 한국 촌락주민의 의식 비교 연구: 정치, 경제, 전통사회・문화의식을 중심으로" 18 : 1-96, 1996

      38 사토 마사루, "시진핑 시대의 중국" 청림출판 2012

      39 박찬승, "민족・민족주의" 小花 2010

      40 Leone, Bruno, "민족주의" 인간사랑 1993

      41 유명기, "민족과 국민사이에서: 한국 체류 조선족들의 정체성 인식에 관하여"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73-100, 2002

      42 이덕일, "매국의 역사학, 어디까지 왔나" 만권당 2015

      43 김선자, "만들어진 민족주의 황제신화" 책세상 2007

      44 이종호, "고조선, 신화에서 역사로" 우리책 2009

      45 코린 드벤-프랑포르, "고대 중국의 재발견" 시공사 2000

      46 우실하, "고대 동북아 연구: 어제와 오늘" 백산자료원 13-40, 2008

      47 심상용, "간도 : 비극의 땅 잊혀진 영토" 도서출판 아우누리 2013

      48 朱建榮, "胡錦濤 對日戰略本音" 角川学芸出版 2005

      49 김종미, "中國文獻에 나타나는 '蚩尤'의 이중형상(1) - 帝國의 희생양, 蚩尤의 악마형상" 중국어문학회 (25) : 205-231, 2007

      50 民族問題文獻匯, "中國國民黨第一次全國代表大會宣言" 中共中央黨校出版社 1991

      51 Anderson, B., "Theory of Nationalism an Imagined Communities" Verso 1983

      52 Berlin, Isaiah, "The Crooked Timber of Humanity: Chapters in the History of Ideas" Alfred A. Knopf 1991

      53 Hobsbawn, E.,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programme, myth, re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54 Tamir, Yeal, "Liberal Nation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55 Goldstein, J. S., "International Relations" Longman 2002

      56 Mannheim, Karl, "Ideology and Utopia" Harcourt Brace Jovanovich 1936

      57 Eriksen, Thomas, "Ethnicity and Nationalism" Pluto Press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6-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학연구소 -> 다문화평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of North Koreanology -> Multiculture & Peac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5 1.415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