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마구(馬具)로 본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지방의 교류 = Exchanges between Korea and Northeast China in Terms of Har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1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남부지방 마구문화의 출발점이 모두 중국 동북지방에서부터인 것에 반해 4세기대 중국 동북지방 출토마구에 대한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는 사실을 재차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료의...

      우리나라 남부지방 마구문화의 출발점이 모두 중국 동북지방에서부터인 것에 반해 4세기대 중국 동북지방 출토마구에 대한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는 사실을 재차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료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하는 시도에서 중국 동북지방이라는 경계를 넘어서 기원전후 몽골지역에서 활약했던 흉노가 남긴 마구 일부를 언급하였다. 여기서는 재갈을 중심으로 특히 재갈멈추개의 형태, 입문형태 및 面繫 고정방식 등을 통해 양 지역의 재갈이 서로 연동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먼저 2孔式의 경우, 흉노 등 북방에서 확인된 것은 0.5~1.0㎝ 사이에 해당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원삼국시대 자료가 대부분이며 면계의 규격은 대략 0.4~0.8㎝ 사이에 집중 분포하고 있다. 이들은 재갈멈추개의 형태나 재갈멈추개 자체에 구멍을 2개 뚫어 면계를 통과시키는 방법, 그리고 구멍에 의해 면계의 폭과 두께가 규제되는 점 등에서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삼국시대에는 前段階에 비해 다양한 유형이 알려져 있다. 재갈멈추개의 형태는 크게 棒狀(금속제, 유기질제 표비)과 板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입문형태 역시 棒狀과 板狀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재갈멈추개의 흐름과 마찬 가지로 棒狀이 板狀보다 시기적으로 먼저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棒狀의 입문 중 재갈멈추개에 고착된 입문과 유기질제 표비에 공반되는 棒狀掛留式 입문용금구, 그리고 板狀의 입문인 雙孔立聞式과 板狀.留式 입문용금구 등의 형태와 규격에 근거한 결과 면계의 최대 폭은 대략 3㎝ 전후로 4㎝ 미만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입문이 板狀인 경우, 棒狀인 것에 비해 면계가 움직일 수 있는 활용 공간이 좁기 때문에 입문크기와 면계의 규격에 대한 오차범위가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재갈멈추개가 板狀인 것은 중국 동북지방의 4세기대 유적인 안양 효민둔 154호묘, 조양 원대자묘 등에서 확인되며 입문크기는 1.6~1.8㎝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산 임당 G-6호분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약 2㎝이내이고 재갈멈추개가 타원형이외에도 환상형인 유례들 역시 2㎝ 미만에 해당되어 같은 맥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 유형에서 면계의 규격화 또는 일반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획기는 신라로 대두되는 경주에서는 월성로 가6호분, 금관가야의 중심지 김해에서는 대성동 41호분 단계부터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arting point of harness culture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is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Nevertheless, however, there`s too lack of information about harness discovered in the Chinese region despite the relics of horse equipment foun...

      The starting point of harness culture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is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Nevertheless, however, there`s too lack of information about harness discovered in the Chinese region despite the relics of horse equipment found in northeast China explain culturally and considerable the harness culture of this countr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lso discussed some pieces of harness that were left over by the Huns who went beyond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nd advanced further to the Mongolian region around before and after Christ. The study found that the shape of the bit string, the shape of the connection ring to which that string is connected and the way of fixing the bridle were closely linked between the two regions. First of all, bridles discovered in the northern region of Asia, which was dominated by the Huns in the ancient times, usually had 2 holes, each 0.5~1.0㎝ in diameter, but were diverse in dimension. While, bridles found in Korea were mad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in most cases had holes each 0.4~0.8㎝ in diameter. Bridles of the northern Asia and this country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they were used as the bit string itself or passed through the 2 holes of the bit string in which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bridle was regulat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ole. Next, the shape of the bit string, the shape of the connection ring to which that string is connected and the way of fixing the bridle became various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began. The bit strip of that period largely two main shapes, that is, rod shape(metal, organic bridle bit) and flat shape. Similarly, the connection ring also had two main shapes, rod and flat. Like the bit string, the connection ring first had the rod shape and then the flat one. While, bit strings of rod shape found in Korea were in most cases about 3㎝, below 4㎝ in miximum bridle width when the bridle sticked to the bit string, the connection ring metal of leather-tied rod style which was compatible with the organic bridle bit, the flat connection ring of double-hole style and the connection ring metal of iron-nailed flat style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terms of shape and dimension. The connection ring of flat shape allowed a space for the bridle narrower than the connection ring of rod shape, making presumable that the former ring was less in size tolerance. Meanwhile, bit strings of flat shape were discovered from Ancient Tomb No. 154 at the Anyang Hoymindun remains and the Crown Prince Win`s Tomb in the Joyang remains, both of which were formed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in the 4th century. Those strings were 1.6~1.8㎝ in connection ring size. Bit strings of flat shape found in Korea were all below 2㎝ in connection ring size, except those from Ancient Tomb No. G-6 at the Imdang remains in Gyeongsan. Other bit strings of oval and round shape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country were also below 2㎝ in connection ring size. This indicates that in the country, the shape and dimension of the bridle was standardized or generalized. This change presumedly began since Wolseongro Ancient Tomb No. 6 was formed in Gyeongju in the Shilla Period and Daeseongdong Ancient Tomb No. 41 in Kimhae as the herb of Geumgwan Gay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장용석, "「Ⅳ. 考察" 영남문화재연구원 , 2001

      2 신경철, "金海大成洞ㆍ東萊福泉洞古墳群 點描 : 金官加耶 이해의 一端" 釜大史學 (19) , 1995

      3 강인욱, "흉노와 동아시아 : 흉노학의 정립을 위한 토대구축을 겸하여" 부경대학교ㆍ중앙아시아학회 2010년 국제학술대회, 동아시아 고대문화 속의흉노 , 2010

      4 성정용, "중서부 마한지역의 백제영역화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 2000

      5 박양진, "중국 동북지방의 鮮卑 무덤 연구" 百濟硏究 (32) , 2000

      6 김두철, "신라마구연구의 몇 과제" 신라문화 (15) , 1998

      7 이희준,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 2007

      8 국립중앙박물관, "몽골 흉노무덤자료집성" 2008

      9 田立坤, "대성동고분 발굴 20주년 기념 大成洞古墳群과 東亞細亞" 김해문화원 , 2010

      10 한영우, "다시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 1997

      1 장용석, "「Ⅳ. 考察" 영남문화재연구원 , 2001

      2 신경철, "金海大成洞ㆍ東萊福泉洞古墳群 點描 : 金官加耶 이해의 一端" 釜大史學 (19) , 1995

      3 강인욱, "흉노와 동아시아 : 흉노학의 정립을 위한 토대구축을 겸하여" 부경대학교ㆍ중앙아시아학회 2010년 국제학술대회, 동아시아 고대문화 속의흉노 , 2010

      4 성정용, "중서부 마한지역의 백제영역화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 2000

      5 박양진, "중국 동북지방의 鮮卑 무덤 연구" 百濟硏究 (32) , 2000

      6 김두철, "신라마구연구의 몇 과제" 신라문화 (15) , 1998

      7 이희준,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 2007

      8 국립중앙박물관, "몽골 흉노무덤자료집성" 2008

      9 田立坤, "대성동고분 발굴 20주년 기념 大成洞古墳群과 東亞細亞" 김해문화원 , 2010

      10 한영우, "다시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 1997

      11 이은석, "고대 동북아시아계(繫)에 관한 연구" 중앙고고연구 (11) : 89 ~ 136 , 2012

      12 이희준, "경주 皇南大塚의 연대" 嶺南考古學 (17) , 1995

      13 류창환, "가야마구의 연구" 동의대학교 , 2007

      14 이난영, "韓國의 馬具"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 1999

      15 장윤정, "韓半島三國時代の轡の地域色" 考古學硏究 (50) , 2003

      16 早直人(이사하야 나오토), "製作技術로 본 夫餘의 와 韓半島 南部의 初期" 영남고고학 (43) : 5 ~ 32 , 2007

      17 신경철, "福泉洞古墳群의 甲冑와 馬具" 제1회 부산광역시립복천박물관 학술발표대회, 가야사 복원을 위한 복천동고분군의 재조명 , 1997

      18 이희준, "碩晤尹容鎭敎授 停年退任紀念論叢" 1996

      19 박중균, "百濟初期馬具小考 : 淸州 鳳鳴洞 出土 轡를 中心으로" 호서사학회 춘계학술발표회 자료집, 百濟文化의 몇 問題 , 2002

      20 류창환, "環板轡의 編年과 分布" 伽倻文化 (13) , 2000

      21 諫早直人, "東北アジアにおける騎馬文化の考古學的硏究" 雄山閣 , 2012

      22 최병현, "新羅古墳硏究" 一志社 , 1992

      23 최병현, "新羅古墳 編年의 諸問題 : 慶州ㆍ月城路ㆍ福泉洞ㆍ大成洞古墳의 상대편년을 중심으로" 韓國考古學報 (30) , 1993

      24 김대환, "慶州 皇南洞 110號墳 出土 馬具 再報告" 繼往開來 (7) , 2008

      25 李熙濬, "太王陵의 墓主는 누구인가?" 한국고고학보 (59) : 74 ~ 117 , 2006

      26 박양진, "墓葬 資料의 社會的 分析과 楡樹 老河深墓地의 一考察" 韓國上古史學報 (29) , 1998

      27 최병현, "古新羅 鐙子考" 崇實史學 (1) , 1983

      28 신경철, "古式鐙子考" 釜大史學 (9) , 1985

      29 장윤정, "古代 馬具로 본 東아시아 사회" 학연문화사 , 2012

      30 손로, "古代 東北아시아 車馬具와 騎馬具의 변천" 전남대학교 , 2012

      31 장은정, "匈奴係 鑣轡의 확산과 고대 동아시아의 기마 문화 수용" 중앙아시아연구 17 (1) : 173 ~ 199 , 2012

      32 신경철, "加耶初期馬具에 대하여" 釜大史學 (18) , 1994

      33 신경철, "伽耶의 武具와 馬具 : 甲冑와 鐙子를 중심으로" 國史館論叢 (7) , 1989

      34 奈良文化財硏究所, "三燕文物精粹(日本語版)" 2004

      35 金斗喆, "三國時代 비의 硏究 : 비의 系統硏究를 中心으로" 慶北大學校 大學院 , 1991

      36 이상률, "三國時代 馬具의 硏究" 부산대학교 , 2005

      37 李熙濬, "4-5세기 新羅의 考古學的 硏究" 서울대학교 ,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