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조대 유릉 택지에서 드러나는 왕릉 조영의 변화와 원인  :  裕陵 擇地 풍수담론을 중심으로 = Changes to Construction of Royal Tombs and the Causes Thereof in the Selection of Yureung Tomb Site During the Period of King Sunjo -A case study on geomancy for the selection of Yureung tomb si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1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왕조 500년간 조영된 42기의 왕릉 중 선조 비 의인왕후 유릉이 조선후기 왕릉 조영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내용의 요지는 첫째, 조선시대에 임진왜란이 ...

      본고는 조선왕조 500년간 조영된 42기의 왕릉 중 선조 비 의인왕후 유릉이 조선후기 왕릉 조영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내용의 요지는 첫째, 조선시대에 임진왜란이 발생하기 이전에 조영된 왕릉 중 문종의 현릉을 제외한 다른 왕릉은 대개 단독 능역지를 확보하고 있었다. 둘째, 임진왜란 이후 조영된 선조 비 의인왕후 유릉은 5개월을 넘겨 건원릉 화소지역에 조영되었다. 조선시대 왕릉 조영은 5개월이라는 기간이 정해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릉은 그 기간을 지키지 못했다. 그리고 유릉 조영 이후에는 조선왕릉 능역지 선정에 변화가 일어났다. 셋째, 유릉이 조영된 이후 한양 동 · 서쪽에 조영 되어있는 왕릉 화소지역이 점차적으로 집단 능역화(공동묘지)되었다. 이러한 현상들은 결국 왕권과 신권간의 헤게모니 쟁탈전에서 어느 한쪽의 의견이 전반적으로 수용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유릉의 능역지를 선정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천착해 보았다.
      유릉이 조영될 당시의 시대적 상황은 임진왜란이 끝난 직후로서 이직까지 사회적 혼란이 수습되지 않은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릉 능역지 택지 과정을 살펴보면 왕과 사대부 간에는 매우 진지한 풍수담론이 전개되었다. 그 담론의 중심에는 명나라 군인신분의 중국인 풍수사가 등장하기도 했다. 유릉이 조영되기 이전 조선왕릉 능역지 선정에 중국인 풍수사가 동원된 사려는 단 한 번도 없었다.
      유릉 능역지 선정과정에 중국인 풍수사가 관여하기도 했지만 결국에 가서는 조선의 사대부들에 의해서 결정되었다. 이때 조선 사대부들에 의해서 지목된 능역지 중 주목할 곳으로 포천 신평을 꼽을 수 있다. 신평은 중국인 풍수사의 권유와 사대부들의 동의로 유릉 능역지로 지목되어 40일 이상 능역공사가 진행 된 곳이었다. 하지만 능역 공사가 마무리 되어가던 즈음 조선인 풍수사 박자우의 상소로 능 조영 공사는 멈추게 되었다. 그 후 사대부들이 새로운 능역지로 추천한 곳은 건원릉 화소지역이었다. 건원릉 화소지역은 문종의 현릉조영 이후 근 150년간 왕릉 능역지로 사용되지 않았던 곳이다. 하지만 선조는 건원릉 화소지역을 의인왕후 박씨의 능역지로 승인하였고, 이후 건원릉 화소지역에는 다른 왕릉이 계속 조영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머리말
      • 2. 조선 전 · 후기 왕릉 능역지의 특성
      • 3. 유릉 택지와 풍수담론
      • 4. 맺음말
      • [초록]
      • 1. 머리말
      • 2. 조선 전 · 후기 왕릉 능역지의 특성
      • 3. 유릉 택지와 풍수담론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재룡, "한국인의 자연관"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15) : 2002

      2 송화섭, "풍수비보입석과 불교민속" 한국사상사학회 (17) : 2001

      3 "주자가례"

      4 김두규, "조선후기에는 왜 묘지풍수가 유행했나?" 내일을 여는 역사 (17) : 2004

      5 이덕형, "조선후기 사대부의 성리학적 풍수관 -분수원산송을 사례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0) : 209-243, 2009

      6 김선경, "조선후기 山林川澤 사점(私占)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9

      7 김상협, "조선초기 왕릉 석실구조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79-186, 2008

      8 정종수, "조선초기 상장의례연구" 중앙대학교 1994

      9 한형주, "조선초기 국가제례연구" 고려대학교 2000

      10 이화, "조선조 풍수신앙 연구 : 유교와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2005

      1 심재룡, "한국인의 자연관"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15) : 2002

      2 송화섭, "풍수비보입석과 불교민속" 한국사상사학회 (17) : 2001

      3 "주자가례"

      4 김두규, "조선후기에는 왜 묘지풍수가 유행했나?" 내일을 여는 역사 (17) : 2004

      5 이덕형, "조선후기 사대부의 성리학적 풍수관 -분수원산송을 사례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0) : 209-243, 2009

      6 김선경, "조선후기 山林川澤 사점(私占)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9

      7 김상협, "조선초기 왕릉 석실구조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79-186, 2008

      8 정종수, "조선초기 상장의례연구" 중앙대학교 1994

      9 한형주, "조선초기 국가제례연구" 고려대학교 2000

      10 이화, "조선조 풍수신앙 연구 : 유교와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2005

      11 "조선왕조실록"

      12 이범직, "조선시대 왕릉의 조성 및 그 문헌" 한국사상문화학회 (36) : 233-266, 2007

      13 김상협, "조선 왕릉 석실 및 능상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2007

      14 정해득,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이읍 연구" 경기대학교 2008

      15 "신증동국여지승람"

      16 김복순, "신라의 왕릉" 경주발전연구소 (4) : 1995

      17 이근직, "신라능묘의 전승과정 연구" 경북사학회 (23) : 2000

      18 "속대전"

      19 지두환, "선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2

      20 김우림, "서울 경기지역의 조선시대 사대부 묘제 연구" 고려대학교 2007

      21 "백사집"

      22 김기덕, "동구릉의 입지조건과 자연환경" (15) : 2007

      23 "국조오례의"

      24 장경희, "고종황제의 금곡 홍릉 연구" 역사학연구회 (64) : 1-70, 2007

      25 "경국대전"

      26 金永彬, "風水思想에서 본 朝鮮王陵園墓 造成技法에 關한 硏究 (下-1)"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41) : 1990

      27 金永彬, "風水思想에서 본 朝鮮王陵園墓 造成技法에 關한 硏究 (上)" 효성여자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4 : 1988

      28 영춘, "韓國의 歷史와 風水地理" 한국사상문화학회 (19) : 247-277, 2003

      29 권태원, "朝鮮王朝時代의 宗山形成에 관한 考察" 檀國大學校 大學院 1975

      30 장성규, "朝鮮王朝實錄의 風水地理文獻 硏究" 공주대학교 2010

      31 권용옥, "朝鮮王朝 王陵 文人石像의 服飾에 形態에 관한 연구" 4 : 1981

      32 이영, "朝鮮時代 王陵陵域의 建築과 配置形式 硏究" 서울大學校 1992

      33 김은선, "朝鮮後期 王陵 石人 彫刻 硏究" (252) : 2006

      34 전경목, "朝鮮後期 山訟 硏究 : 18,19세기 古文書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1996

      35 심재우, "18세기 獄訟의 성격과 刑政運營의 변화"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36 이희중, "17,8세기 서울주변 왕릉의 축조, 관리 및 천능 논의"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17)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42 0.81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