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 한사군인식2 - = Acknowledgements on Four Commanderies of Han - From Galseok to Daedonggang River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6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북아시아 학계 고대사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접점은 단연 낙랑군의 위치이다. 이 낙랑군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그 당시의 역사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매우...

      동북아시아 학계 고대사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접점은 단연 낙랑군의 위치이다. 이 낙랑군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그 당시의 역사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매우 첨예하게 대립한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이런 기본입장에서 한군현 설치 당시부터 시작하여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군현 관련 문헌을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사료를 근거로 하여 한군현 관련 문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한군현의 설치 초기에는 당시 패수가 있었던 현재 중국의 동북지역인 하북성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가 차이나계의 세력이 점점 커지면서 한군현 역시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패수의 위치가 바뀌면서 한군현의 위치도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현재 난하는 고대의 패수였고 북위시기에 이 패수라는 강 이름이 없어졌는데 6세기경 당시 지리학자였던 북위의 역도원이 고구려 평양성이 패수의 북쪽에 있다는 말을 듣고 이 패수를 근거로 하여 낙랑군을 현재 중국 요녕성 요양지역으로 이동시켰다. 이때 낙랑군과 평양의 등치관계가 설정되었으며, 그 후 명나라시기에 현재 한반도에 평양이라는 지명이 보편화되면서 낙랑군도 이 지역으로 옮겨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변화는 원래 한군현이 설치된 지역에서 시작하여 강 이름과 지명을 따라 오늘날 한반도 평양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런 것을 증명하듯이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한반도 어디에도 한군현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 한반도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것은 14세기 이후부터 시작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변화과정을 알려주는 사료들은 매우 많은데 그동안 학계에서 이를 주도면밀하게 분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학계에서 현재 한반도 평양지역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단선적인 주장만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의견들은 1920년대 단선적으로 한반도로 고정되면서 오늘날까지 이른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학계에서 더욱더 치밀한 보완 연구를 통하여 한군현을 제자리에 놓고 한국 고대사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hotspot in ancient history research of Northeastern Asian academia is the location of Lelang Commandery. This is due to the differentiation in historic interpret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it. It is very natural to see heated discus...

      The primary hotspot in ancient history research of Northeastern Asian academia is the location of Lelang Commandery. This is due to the differentiation in historic interpret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it. It is very natural to see heated discussions about this problem. After many analysis on literatures and document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from its birth to modern era, author have earned the following results. If we organize the problem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based on artifacts, we can find out that at its power widening by growth of Chinese region powers from its previous location in Hebei Sheng of northeast China. Especially on relocation of Paesu, we could also see the change in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Current Luán he was ancient Paesu, and on time of Northern Wei, the river name Paesu disappeared. By 6 century, a geographer named Li Daoyuan heard that Pyeongyangseong of Goguryeo was north of Paesu and shifted Lelanggun to current China Liáoníng Sheng Liaoyang region, and this is when the equal state of Lelanggun and Pyeongyang was set, and afterwards, the
      region name of Pyeongyang in Korean Peninsula became commonly known to people, and this is why Lelanggun moved here as well. This difference started from original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following the names of rivers and regions, all the way down to current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No records of four commanderies of Han in Korean Peninsula in the book of 『Samguksagi』 proves it. So saying that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Korean Peninsula starts after 14th century. There are plenty of artifacts telling these process of change, but the history academia did not take close observation on them. There must have been other calls than this simple insistence of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However, these various opinions were standardized into Korean Peninsula on 1920s, and is continued until today. Therefore, more elaborate research will have to be done by history academia to put four commanderies of Han in its original location and to study ancient history of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복기대, "한사군의 인식에 관한 연구1 - 설치와 교치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한국몽골학회 (49) : 49-94, 2017

      2 박인호,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이회 2003

      3 오영찬, "조선 후기 고대사 연구와 漢四郡" 호서사학회 (64) : 1-36, 2012

      4 복기대, "전한(前漢)의 동역(東域) 4군 설치 배경과 그 위치에 관하여" 인문과학연구소 (52) : 439-482, 2017

      5 조법종, "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61) : 45-73, 2011

      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연구쟁점 과 대외교류" 학연문화사 2015

      7 "高麗史節要"

      8 "高麗史"

      9 "遼史"

      10 "通典"

      1 복기대, "한사군의 인식에 관한 연구1 - 설치와 교치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한국몽골학회 (49) : 49-94, 2017

      2 박인호,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이회 2003

      3 오영찬, "조선 후기 고대사 연구와 漢四郡" 호서사학회 (64) : 1-36, 2012

      4 복기대, "전한(前漢)의 동역(東域) 4군 설치 배경과 그 위치에 관하여" 인문과학연구소 (52) : 439-482, 2017

      5 조법종, "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61) : 45-73, 2011

      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연구쟁점 과 대외교류" 학연문화사 2015

      7 "高麗史節要"

      8 "高麗史"

      9 "遼史"

      10 "通典"

      11 조법종, "衛滿朝鮮의 崩壤時點과 王險城ㆍ樂浪郡의 位置" 한국사연구회 110 : 2000

      12 省文物考古硏究所, "薑屯漢墓" 文物出版社 2013

      13 "茶山詩文輯"

      14 "舊唐書"

      15 羊草莊文物考古研究所, "羊草莊漢墓" 文物出版社 2015

      16 稻葉岩吉, "秦長城東端及王險城考" 東京大學文學部內史學會 21 (21): 1910

      17 於淩, "秦漢遼東郡防務研究" 2017

      18 "燕轅直志"

      19 "熱河日記"

      20 "漢書"

      21 趙紅梅, "漢四郡硏究" 香港亞洲出版社 2008

      22 "海東歷史"

      23 "水經注"

      24 "水經"

      25 苗威, "樂浪研究" 高等敎育出版社 2016

      26 "東國地理誌"

      27 "東史綱目"

      28 孫進己, "東北歷史地理(1)"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29 津田左右吉, "朝鮮歷史地理 권2" 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30 津田左右吉, "朝鮮歷史地理 권2" 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31 "朝鮮王朝實錄"

      32 那珂通世, "朝鮮樂浪玄菟帶方考" 東京大學文學部內史學會 5 (5): 1894

      33 林泰輔, "朝鮮史及, 朝鮮近世史"

      34 林泰輔, "朝鮮史 第2編 ‘太古史’" 吉川半七藏出版社 1892

      35 "星湖塞設"

      36 "新唐書"

      37 "我邦疆域考"

      38 "心田考"

      39 "後漢書"

      40 "弘齋全書"

      41 "太平寰宇記"

      42 "大淸一統志"

      43 "大明一統志"

      44 "嘉慶重修一統志"

      45 "史記集解"

      46 "史紀塞隱"

      47 "十三州志"

      48 "元史"

      49 王綿厚, "中國東北與東北亞古代交通史" 遼寧人民出版社 2016

      50 "三國遺事"

      51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