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민속문화 관련 류서류 편찬물 현황과 특성 = A General Survey of the pre-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36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지식인들은 전통시대 문물백과전서격인 각종 류서류들을 조선 중후기 이래 꾸준히 편찬하면서, 당대 사회의 제도, 문물, 역사, 지리, 문화, 사상 등 한 사회를 조망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조선 지식인들은 전통시대 문물백과전서격인 각종 류서류들을 조선 중후기 이래 꾸준히 편찬하면서, 당대 사회의 제도, 문물, 역사, 지리, 문화, 사상 등 한 사회를 조망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지적 정보를 종합적으로 집성하고 통찰하고자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전통 민속과 문화의 지식체계가 축적 전승되었고 당대 사회를 가능할 수 있는 지적 표준을 성립시켜 갔다. 민속문화 관련 31종의 류서를 재분류하고 검토한 결과, 관찬 서류로는 『증보문헌비고』가 거의 유일한 정도였으며, 『지봉유설』, 『성호사설』, 『산림경제』, 『오주연문장전산고』, 『송남잡지』 등 나머지는 모두 개별 성리학자들의 1인 위주 사찬 류서였다. 이것은 중국 사회가 수백명까지 동원한 관찬 류서 작업을 활발히 펼친 것에 비하여 상당히 소략한 수준이어서, 조선 사회가 지식의 공공적 표준화와 공적 확산보다는 개인의 지적 활동에 기반한 지식 공유 체계에 더 심혈을 기울였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사찬 류서는 활자가 아닌 필사 위주의 유통 구조를 가졌고, 또 성리학의 고거주의적이고 온고이지신적인 학문성이 투영된 까닭에 지식의 창발성보다는 지식의 반복과 집성에 주안목을 두고 있었다. 그럼에도 이러한 류서류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우리 민속 문화의 분명한 역사적 준거를 확보하고 우리 문화의 내면성을 읽어내는 중요한 자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surveyed the per-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so called Ryuseo,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I efforted to show features of the encyclopedic literature and outlines of the development. Specially, I wondered for themselves...

      I surveyed the per-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so called Ryuseo,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I efforted to show features of the encyclopedic literature and outlines of the development. Specially, I wondered for themselves how to establish their knowledge system, how to make the knowledge flow in the Choseon society. Having re-arranged historically all 31 books of encyclopedic literature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 noticed the fact that most encyclopedic literature was written by individual neo-Confucianists, for example, Jibong-yudol, Seongho-sasol, etc. This intellectual flow showed us the Choseon society was interested in individual intellectual concerns than in public standardization of knowledge system or in spreading of common knowledge. For all that, we can improve an obvious basi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our inner cultural identity about folk-culture traditions through these pre-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of Choseon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류서류 연구의 필요성
      • 2. 조선조 류서류 편찬의 주요 경향
      • 3. 류서류 및 민속 문헌 관련 선행연구 검토
      • 4. 민속문화 관련 주요 류서류의 시기별 편찬 흐름
      • 국문요약
      • 1. 머리말 : 류서류 연구의 필요성
      • 2. 조선조 류서류 편찬의 주요 경향
      • 3. 류서류 및 민속 문헌 관련 선행연구 검토
      • 4. 민속문화 관련 주요 류서류의 시기별 편찬 흐름
      • 5. 맺음말 : 조선조 류서류 저작 활동의 특성과 의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대회,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徐有의 利用厚生學" 한국실학학회 (11) : 47-72, 2006

      2 노기춘, "林園十六志 引用文獻 分析考(2)- 仁濟志를 중심으로 -" 서지학회 (35) : 231-271, 2006

      3 안대회, "李 光의 {芝峰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진단학회 (98) : 267-289, 2004

      4 김대중, "화훼에 대한 서유구의 감수성과 그 의미" 한국실학학회 (11) : 7-46, 2006

      5 최환,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Ⅰ)- 중국 유서의 전입 및 유행 -" 영남중국어문학회 (41) : 2003

      6 심경호,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원 (47) : 85-136, 2007

      7 김영선, "한국 류서의 서지학적 연구" 중앙대 2003

      8 신병주, "지봉유설; 최초의 문화백과사전" 태학사 (봄) : 2001

      9 김포옥, "중국의 류서고" 국립중앙도서관 40 (40): 1985

      10 강민구, "조선후기 類書의 오류 양상 -『松南雜識』의 경우-" 우리한문학회 19 : 821-851, 2008

      1 안대회, "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徐有의 利用厚生學" 한국실학학회 (11) : 47-72, 2006

      2 노기춘, "林園十六志 引用文獻 分析考(2)- 仁濟志를 중심으로 -" 서지학회 (35) : 231-271, 2006

      3 안대회, "李 光의 {芝峰類說}과 조선 후기 名物考證學의 전통" 진단학회 (98) : 267-289, 2004

      4 김대중, "화훼에 대한 서유구의 감수성과 그 의미" 한국실학학회 (11) : 7-46, 2006

      5 최환, "한국 類書의 종합적 연구(Ⅰ)- 중국 유서의 전입 및 유행 -" 영남중국어문학회 (41) : 2003

      6 심경호,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원 (47) : 85-136, 2007

      7 김영선, "한국 류서의 서지학적 연구" 중앙대 2003

      8 신병주, "지봉유설; 최초의 문화백과사전" 태학사 (봄) : 2001

      9 김포옥, "중국의 류서고" 국립중앙도서관 40 (40): 1985

      10 강민구, "조선후기 類書의 오류 양상 -『松南雜識』의 경우-" 우리한문학회 19 : 821-851, 2008

      11 장남원, "조선후기 이규경의 도자인식; 오주연문장전산고의 古今瓷窯辨證說과 華東陶瓷辨證說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6 : 1998

      12 강민구, "조선 후기 類書의 『康熙字典』과 『韻府群玉』 인용 양상 -『松南雜識』의 경우-" 한국한문교육학회 (31) : 533-559, 2008

      13 심경호, "임원경제지의 문명사적 가치" 전북대 인문한국 쌀·삶·문명연구원 (2) : 2009

      14 정명현, "임원경제지·본리지 1,2,3" 소와당 2009

      15 류사와 타케시(龍澤武), "일본의 류서에서 백과사전에 이르기까지" 2 : 2009

      16 김문식, "이수광의 자아인식과 타자인식" 진단학회 (98) : 209-232, 2004

      17 윤사순, "이규경 실학에 있어서의 전통사상-그의 도불관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6 (16): 1973

      18 박상영, "오주 이규경의 공부법과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성립"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351-374, 2007

      19 김영선, "역대 서목에 수록된 류서의 분류에 관한 고찰 in; 한국서지학논집" 민창문화사 1999

      20 허시명, "실학과 술" 한국실학학회 (12) : 123-147, 2006

      21 조창록, "서유구의 학문관과 임원경제지의 글쓰기 방식" (2) : 2009

      22 이천승,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 담긴 사상사적 함의" 2 : 2009

      23 조창록, "사대부의 생활이상과 『임원경제지』 -산림의 處士에서 임원의 生活人으로-" 우리한문학회 19 : 803-819, 2008

      24 장척화, "류서의 원류와 그 체제" 국립중앙도서관 40 (40): 1985

      25 김일권, "동양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예문서원 2007

      26 현영아, "동양서몬과 류서의 분류관계 분석연구" (5) : 1998

      27 강민구, "교감국역 송남잡지" 소명출판 2008

      28 조창록, "楓石 徐有?와 ‘林園經濟’" 우리한문학회 8 (8): 201-225, 2003

      29 옥영정, "東國文獻備考에 대한 書誌的 고찰" 진단학회 (104) : 227-250, 2007

      30 김문식, "東國文獻備考 禮考의 자료적 특징" 진단학회 (104) : 255-281, 2007

      31 박광용, "東國文獻備考 편찬의 역사적 배경" 진단학회 (104) : 211-224, 2007

      32 정승모, "東國文獻備考 민속자료의 특징" 진단학회 (104) : 285-304, 2007

      33 조창록, "日本 大阪 中之島圖書館本 林園經濟志의 引과 例言" 한국실학학회 (10) : 353-388, 2005

      34 조창록, "徐有榘·徐宇輔 父子의 放廢期 행적과 蘭湖 생활 - 서우보의 생애에 대한 기록을 중심으로 -" 한국실학학회 (16) : 205-228, 2008

      35 김영선, "中國 類書의 韓國 傳來와 受容에 관한 硏究" 서지학회 (26) : 85-112, 2003

      36 최웅, "{지봉유설(芝峰類說)}의 한문학적 업적" 진단학회 (98) : 233-266, 2004

      37 한명기, "{芝峰類說}에 나타난 李 光의 對外認識― 대외인식 형성의 배경과 평가 문제를 중심으로 ―" 진단학회 (98) : 185-207, 2004

      38 염정섭, "19세기 초반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편찬과 본리지의 농법 변통론" 2 : 2009

      39 주영하, "19세기 조선 생활과 사유의 변화를 엿보다-오주연문장전산고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생활 문화" 돌베개 2005

      40 홍윤표, "18.9세기의 한글 류서와 실학" 단국대동양학연구소 18 :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