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제주 법화사의 역사지리적 고찰 = A Study o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Jeju Beophwasa Temple in th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0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법화사는 고려시대 제주의 대표적인 사찰로 조선중기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일부에서는 장보고가 법화사를 창건했다고 보고 있으나 이를 입증할 수 있는 문헌사료나 고고학적 유물이 없기 ...

      법화사는 고려시대 제주의 대표적인 사찰로 조선중기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일부에서는 장보고가 법화사를 창건했다고 보고 있으나 이를 입증할 수 있는 문헌사료나 고고학적 유물이 없기 때문에 장보고와 연관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보다는 고려시대 불교가 제주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비보사찰로서 창건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후 원의 탐라 지배가 본격화되면서 대사찰로 중창되어 원나라 황실의 원찰과 더불어 원 지배세력의 근거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법화사의 입지에는 용천수가 큰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주변 중심취락과의 접근성, 사원의 재정에 긴요한 경지의 확보 등이 입지에 영향을 주었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법화사 주변의 벼농사 가능지역은 법화사의 경제적 기반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ophwasa was a representative temple that existed in Jeju island until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are not historical records and archeological relics, it is impossible to insist that Jang Bogo established Beophwasa temple. It wil...

      Beophwasa was a representative temple that existed in Jeju island until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are not historical records and archeological relics, it is impossible to insist that Jang Bogo established Beophwasa temple. It will be reasonable to say that Beophwasa temple was founded in the period of introduction of Buddhism in Jeju. After Mongolian domination over Jeju, Beophwasa became a temple of Mongolian imperial household and a stronghold. The site of spring water greatly influenced the location of Beophwasa temple, and the accessibility to central settlements, obtainment of arable land for temple were the important factors of location. In particular, the rice farming region around Beophwasa temple was a helpful resource for economy of temp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서, "한국사찰의 분포유형 고찰" 9 (9): 341-361, 1984

      2 서귀포시, "지방문화재 제주법화사 복원을 위한 학술세미나 요약집" 1985

      3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와 문화" 통천문화사 2001

      4 윤명철, "제주도를 거점으로 한 고대 동아지중해의 해양교섭에 관한 연구(고대 항로를 중심으로),”신해양시대 제주도 국제자유도시 건설에 따른 법화사지 복원의 현대적 의미" 2000

      5 박현규, "제주도 法華寺 三尊佛像과 南京 大報恩寺의 관계" 중국사학회 58 (58): 129-154, 2009

      6 강창화, "제주 법화사지의 고고학적 연구" 9 : 2000

      7 김동전, "제주 법화사의 창건과 그 변천" 20 : 1999

      8 최원석, "영남지방의 비보" 고려대학교 2000

      9 이영권, "새로 쓰는 제주사" 휴머니스트 2005

      10 제주대학교박물관·서귀포시, "법화사지, 제주대학교박물관 조사보고 제19집" 1997

      1 박종서, "한국사찰의 분포유형 고찰" 9 (9): 341-361, 1984

      2 서귀포시, "지방문화재 제주법화사 복원을 위한 학술세미나 요약집" 1985

      3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와 문화" 통천문화사 2001

      4 윤명철, "제주도를 거점으로 한 고대 동아지중해의 해양교섭에 관한 연구(고대 항로를 중심으로),”신해양시대 제주도 국제자유도시 건설에 따른 법화사지 복원의 현대적 의미" 2000

      5 박현규, "제주도 法華寺 三尊佛像과 南京 大報恩寺의 관계" 중국사학회 58 (58): 129-154, 2009

      6 강창화, "제주 법화사지의 고고학적 연구" 9 : 2000

      7 김동전, "제주 법화사의 창건과 그 변천" 20 : 1999

      8 최원석, "영남지방의 비보" 고려대학교 2000

      9 이영권, "새로 쓰는 제주사" 휴머니스트 2005

      10 제주대학교박물관·서귀포시, "법화사지, 제주대학교박물관 조사보고 제19집" 1997

      11 제주대학교박물관, "법화사지, 제주대학교박물관 조사보고" 1992

      12 이청규, "법화사지 발굴 조사와 그 성과" 2 : 1993

      13 제주대학교박물관, "법화사지 간략조사보고" 1987

      14 제주대학교박물관, "법화사 추정연지 발굴 조사보고" 1991

      15 강창화, "발굴유적답사-탐라의 옛 사찰 법화사를 찾아서" 1 : 2001

      16 金日宇, "고려후기 濟州 法華寺의 重創과 그 位相" 한국사연구회 (119) : 2-56, 2002

      17 金日宇, "고려후기 濟州 法華寺의 重創과 그 位相" 한국사연구회 (119) : 2-56, 2002

      18 김일우, "고려시대 탐라사 연구" 신서원 2000

      19 진영일, "고대중세 제주역사산책"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8

      20 丙燾, "高麗時代의 硏究" 아세아문화사 1980

      21 "高麗史節要"

      22 "高麗史"

      23 권선정, "裨補風水와 民間信仰 - 錦山의 돌탑 경관을 중심으로 -" 국토지리학회 37 (37): 1-, 2003

      24 李元鎭, "耽羅志"

      25 李健, "濟州風土記"

      26 崔溥, "漂海錄"

      27 "朝鮮王朝實錄"

      28 "新增東國輿地勝覽"

      29 金尙憲, "南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