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大乘起信論義記別記』의 성립에 대한 재검토 = Investigation into the Period when yijibieji (義記別記) was Writt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1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new perspective on Fazang’s yijibieji (起信 別記), which has been analysed questioned since the Edo period. Yijibieji was first recorded in Fazangheshangzhuan (法藏和尙傳), which was written by Choichiweon (崔...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new perspective on Fazang’s yijibieji (起信 別記), which has been analysed questioned since the Edo period. Yijibieji was first recorded in Fazangheshangzhuan (法藏和尙傳), which was written by Choichiweon (崔致遠) in 904, and was revised in Enochoroku (圓超錄), the first Japanese list, in 914. However, yijibieji was first quoted in the Seokhwaeomkyobungiweontongcho (釋華嚴敎分記圓通鈔) of kyunyo (均 如) who was active in the early Goryeo period. Zixuan (子璿), of China, does not use quotations, but it is almost certain that he refers to yijibieji. And Junko (順高), of the Japanese Kamakura period, wrote a commentary on Fazang’s yijibieji. Thus, it can be seen that yijibieji has been circulated and quoted in East Asia since the 10th century.
      In modern times, Mochizukishiko (望月信亨) published a study denying that yijibieji is a work of Fazang. However, later researchers tend to regard Fazang to be the author of yijibieji.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authorship of yijibieji by attempting to solving these problems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sentences. Tanguang (曇曠), a Fashiang scholar from Dunhuang, wrote Chishinrunguangshu around 763. Zongmi, a Huayen scholar of the Tang period, wrote yuanjuejingtashu (圓覺經大疏) around 823. And Choichiweon wrote Fazangheshangzhuan in 904. I therefore presume that yijibieji was written during this same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에도시대 이후 저자의 진위 문제가 제기되었던 법장의 <<大乘起信論義記別記>>를 새로운 관점에서 논증하고자 작성되었다. <<別記>>는 904년에 지은 최치원의 <<...

      본고는 에도시대 이후 저자의 진위 문제가 제기되었던 법장의 <<大乘起信論義記別記>>를 새로운 관점에서 논증하고자 작성되었다. <<別記>>는 904년에 지은 최치원의 <<법장화상전>>에 처음 보이며, 일본 목록에서는914년의 <<圓超錄>>에 처음 보인다. 한편 <<別記>>는 均如(923-973)의 <<釋華嚴敎分記圓通鈔>>에서 처음으로 문헌명으로 인용된다. 중국의 자선(子璿,965-1038)도 인용명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別記>>를 읽었다는 것은 밝혀졌다. 그리고 일본의 준코(順高)가 법장의 <<起信論別記聽集記>>를 저술하고 있는 점을 볼때, <<別記>>가 10세기 이후 동아시아에 유통되고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別記>>는 <<기신론>>에 관한 다른 저술들이 수문해석을 견지하는 것과 달리 총 35개의 장명으로 구성되어 주석된다. <<別記>>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과문과 과문의 내용이 법장의 <<삼보장>> 「법신장」, 「현의장」과 거의 일치하는 곳이 발견될 정도로 법장을 가장 많이 의용하지만, <<기신론>>의 문장과는 관련 없는 장명이포함되어 있고, 법장이 <<의기>>를 저술한 단계에서는 관심이 없었던 장의 명칭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義記>>와 <<別記>>의 사상적 연속성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한편, 曇曠의 <<起信論廣釋>>과도 과문 및 과문의 내용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이 있다. 검토 결과 <<別記 >>쪽이 <<기신론광석>>보다는 정리된 문장을 보여주 는데, 간략화정도를통해본다면 <<廣釋>>→<<別記>>의 방향을 상정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또 <<別記>>는담광이 763년 저술한 <<略述>>의 내용과도 관련성이 보인다. 그런데 더 중요한 것은 宗密의 <<圓覺經大疏>>를 원용한다는 사실이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別記>>가 曇曠의 <<廣釋>> 및 <<略述>>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종밀이 <<圓覺經大疏>>를 저술하는 823년 이후, 최치원의 <<법장화상전>>이 저술되는 904년 이전에 법장에게 가탁된 문헌임을 추정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철, "원효의 제7말나식관 - 원효 초기 저술에 나타난 제7말나식의 인식대상 논증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42 : 1-28, 2015

      2 張雪松, "동 아시아 불교에서 대승기신론관" 여래출판사 2016

      3 大塚紀弘, "高山寺の明恵集団と宋" (20) : 2010

      4 佐藤達玄, "行事鈔六十家攷(二)" 36 : 1978

      5 吉津宜英, "華嚴一乘思想の硏究" 大同出版社 1991

      6 淸水光幸, "法藏 大乘起信論別記 について" 日本印度學佛敎學會 33 (33): 1985

      7 이케다 마사노리, "杏雨書屋所藏敦煌文獻 <大乘起信論疏> (擬題, 羽333V) について" 불교문화연구소 (12) : 45-167, 2012

      8 清水明澄, "大日経の注釈書の書誌学的研究" 高野山大学 大学院 (219) : 2007

      9 山本匠一郎, "大日経 の資料と研究史概観" 智積院 (23) : 2012

      10 望月信亨, "大乘起信論之硏究" 金尾文淵堂 1922

      1 김성철, "원효의 제7말나식관 - 원효 초기 저술에 나타난 제7말나식의 인식대상 논증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42 : 1-28, 2015

      2 張雪松, "동 아시아 불교에서 대승기신론관" 여래출판사 2016

      3 大塚紀弘, "高山寺の明恵集団と宋" (20) : 2010

      4 佐藤達玄, "行事鈔六十家攷(二)" 36 : 1978

      5 吉津宜英, "華嚴一乘思想の硏究" 大同出版社 1991

      6 淸水光幸, "法藏 大乘起信論別記 について" 日本印度學佛敎學會 33 (33): 1985

      7 이케다 마사노리, "杏雨書屋所藏敦煌文獻 <大乘起信論疏> (擬題, 羽333V) について" 불교문화연구소 (12) : 45-167, 2012

      8 清水明澄, "大日経の注釈書の書誌学的研究" 高野山大学 大学院 (219) : 2007

      9 山本匠一郎, "大日経 の資料と研究史概観" 智積院 (23) : 2012

      10 望月信亨, "大乘起信論之硏究" 金尾文淵堂 1922

      11 滋野井恬, "唐北京石壁寺傳奧考" 48 (48): 1969

      12 "佛書解說大辭典" 1933

      13 戒環, "中國華嚴思想硏究" 불광출판부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6 0.971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