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세기 문화·예술 공간으로서의 반송방(盤松坊)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양 반송방은 돈의문(敦義門) 밖에 위치한 성중오부(城中五部)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일찍부터 인가가 조밀하고 사람들의 왕래가 분주하였다. 특히 경기 지방을 관할하는 경기감영, 말을 ...

      한양 반송방은 돈의문(敦義門) 밖에 위치한 성중오부(城中五部)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일찍부터 인가가 조밀하고 사람들의 왕래가 분주하였다. 특히 경기 지방을 관할하는 경기감영, 말을 빌려주던 고마청, 중국 사신 영접의가 행해졌던 모화관, 반송정, 서지, 천연정 등 관아와 명승처가 함께 공존한 지역이었다.
      조선 전기 서거정은 「한도십영(漢都十詠)」을 통해 한양의 명소 열 곳 중에서 한 곳으로 반송방을 선택하였다. 이 반송방에 대한 주된 시재는 바로 ‘송객(送客) - 나그네를 보내며’이다. 즉 반송방의 장소는 이별의 공간인 것이다. 서거정은 반송방의 뛰어난 자연 경관이 아닌 인간 보편적 삶 속에서 만나는 “이별”을 대표하는 장소로서 반송방을 선택하였다. 서거정 이후 조선 전기 많은 시인들이 여전히 <반송송객>을 시제로 노래하였으며, 17세기 후반까지도 여전히 월과(月課)로 창작되었다.
      18세기 초 이윤영(李胤永: 1714~1759)은 영조가 선택한 조제탕평(調劑蕩平) 정책에 반대하여 벼슬에 나가지 않고 맑고 깨끗한 산수를 벗하며 도성 안에서 시은자(市隱者)로 서대문 밖 반송방 부근 반송지에 은거하였다. 그는 반송방 서지(西池) 근처에 담화제(澹華齊)를 세우고 이곳에서 오찬(吳瓚 1728~1797), 김향묵(金向默), 이인상(李麟祥 17210~1760), 임매(任邁), 임과(任薖) 등과 더불어 반송방에서 시회를 열었다. 영조가 죽고 등극한 정조는 영조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탕평책을 표방하였으나 이운영, 김종수 등 이윤영과 세손 시절부터 뜻을 같이 했던 청류지사들을 등용하여 우현좌척(右賢左戚)의 체계를 세웠다. 정조에게 반송방은 이윤영을 뜻하는 곳으로 즉 연꽃으로 상징되는 장소가 되었으며, 이에 정조는 반송방을 ‘이별장소’가 아닌 ‘연꽃을 감상하는 곳’으로 새로이 인식하였다. 정조가 <국도팔영(國都八詠)>이라는 작품에서 한양의 명소 여덟 곳을 뽑으면서 선택한 반송방의 시재는 ‘상련(賞蓮)’ 즉 연꽃 감상이다. 조선 전기와 주된 시재가 바뀌면서 반송방의 장소적 의미도 변한 것이다.
      이후 이 반송방은 문인들의 시회 장소로 많이 사랑받았다. 정약용이 중심이 되었던 ‘죽란시사’는 늦여름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반송방의 서지(西池)로 연꽃 구경을 하고 시를 지었다. 조선 전기 이별의 장소였던 반송방은 18세기에는 시회가 열리고 사람들이 만나 문화와 예술이 창작되던 장소가 되었다. 즉 ‘문화 예술의 공간’이 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arly Joseon Dynasty court official and scholar Seo Geo-jeong (徐居正, 1420~1488) chose the area Bansongbang (盤松坊) out of 10 famous places in the capital Hanyang (漢陽) through the poem “Handosipyeong (漢都十詠)” which sings of ...

      The early Joseon Dynasty court official and scholar Seo Geo-jeong (徐居正, 1420~1488) chose the area Bansongbang (盤松坊) out of 10 famous places in the capital Hanyang (漢陽) through the poem “Handosipyeong (漢都十詠)” which sings of Hanyang’s 10 most scenic spots. The main poetic subject of Bansongbang was none other than “sending off sojourners (送客).” In other words, Bansongbang was a place to bid farewell. Seo Geo-jeong chose Bansongbang, not as a scenic spot, but as a place to represent “farewell” in man’s ordinary life. A number of poets since Seo Geo-je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ontinued to sing “Sending off Sojourners in Bansong (Bansongsonggaek, 盤松送客)” as the poetic subject, and the concept was recreated through the monthly examination (月課) at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In the early 18th century, opposing King Yeongjo’s “Equitable Policy of the Government (調劑蕩平)” the literary figure Yi Yun-yeong (李胤永) refused to serve his public post and retired to hermitage in Bansongji near Bansongbang outside the Seodaemun (West Gate), living as an unworldly hermit (市隱者) surrounded by clean and clear mountains and waters. He built Damhwaje (澹華齊) near Seoji (西池) in Bansongbang, and there he organized a poetry club with Oh Chan (吳瓚), Kim Hyang-muk (金向默), Yi In-sang (李麟祥), Yim Mae (任邁) and Yim Gwa (任薖). After King Yeongjo died, King Jeongjo further supported the Equitable Policy of the Government but built the system of Exclude Maternal Relatives and Appoint Confucian Scholars (淸流之士) by hiring so-called “clean patriots (淸流之士)” like Yi Un-yeong and Kim Jong-su who followed Yi Yun-yeong since the king’s childhood. To King Jeongjo, Bansongbang was a place symbolizing Yi Yunyeong, or lotus flowers, thus it was no longer “the place of farewell” but was newly recognized as “the place to appreciate lotus flowers.” King Jeongjo selected eight scenic spots in Hanyang through the work titled “Gukdopalyeong (國都八詠)” commemorating eight scenic spots in the country, in which the poetic subject of Bansongbang was “Sangryeon (賞蓮), or “appreciating lotus flowers.” As the main poetic subject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changed, the locational meaning Bansongbang also changed.
      Bansongbang continued to be loved by literary figures as their place of poetry gatherings. Come late summer, and a cool breeze blows in the morning and evening, participants at Jukransisa (竹欄詩社), the literary gathering led by Jeong Yak-yong (丁若鏞), would watch lotus flowers and write poems at Seoji in Bansongbang. By the 18th century, Bansongbang, formerly the place of farewell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became the space of culture and art where people held poetry gatherings and created culture and a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조선 전기 반송방의 장소적 의미
      • Ⅲ. 18세기 노론계 청류사인의 文會 장소
      • Ⅳ. 18세기 남인계 문인의 詩會 場所
      • Ⅴ.결론
      • Ⅰ. 서론
      • Ⅱ. 조선 전기 반송방의 장소적 의미
      • Ⅲ. 18세기 노론계 청류사인의 文會 장소
      • Ⅳ. 18세기 남인계 문인의 詩會 場所
      • Ⅴ.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동재, "李胤永 산수유기의 品題 구현 양상 -袁宏道·王思任과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한민족어문학회 (61) : 149-182, 2012

      2 안장리,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2002

      3 "한경지략"

      4 유병학, "진경시대 경화사족의 사상과 문화" 50 : 1996

      5 이선희, "조선후기 한성부 내 京畿監營의 입지 연구" 서울학연구소 (45) : 143-178, 2011

      6 심경호, "조선후기 시사와 동호인 집단의 문화활동" (31) : 1998

      7 강명관, "조선후기 경화세족과 고동서화 취미" 동양한문학회 12 : 1998

      8 김문식, "조선후기 경학사상연구 - 정조와 경기학인을 중심으로" 일조각 1996

      9 정치영, "조선의 명승"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10 "조선왕조실록"

      1 유동재, "李胤永 산수유기의 品題 구현 양상 -袁宏道·王思任과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한민족어문학회 (61) : 149-182, 2012

      2 안장리,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2002

      3 "한경지략"

      4 유병학, "진경시대 경화사족의 사상과 문화" 50 : 1996

      5 이선희, "조선후기 한성부 내 京畿監營의 입지 연구" 서울학연구소 (45) : 143-178, 2011

      6 심경호, "조선후기 시사와 동호인 집단의 문화활동" (31) : 1998

      7 강명관, "조선후기 경화세족과 고동서화 취미" 동양한문학회 12 : 1998

      8 김문식, "조선후기 경학사상연구 - 정조와 경기학인을 중심으로" 일조각 1996

      9 정치영, "조선의 명승"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10 "조선왕조실록"

      11 손정목, "조선시대도시사회연구" 일지사 1977

      12 최완기, "조선시대 서울의 경제생활" 서울학연구소 1994

      13 정봉구, "조선 후기 한양의 원림에 관한 연구 : 경화사족의 원림기와 원림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14 조규희, "조선 후기 한양의 명승명소도와 국도 명승의 재인식" 10 : 2012

      15 이종묵, "조선 선비의 꽃구경과 운치 있는 시회" 한국한시학회 (20) : 299-335, 2012

      16 백승호, "정조시대 정치적 글쓰기 연구 : 김종수와 채제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7 정민, "임란시기 문인지식인층의 명군교유와 그 의미" 19 : 1996

      18 최완기, "잃어버린 서울, 다시 찾는 서울" 서울학연구소 1994

      19 이승복, "옥국재 이운영에 대한 전기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7) : 159-188, 2004

      20 김선정, "옛 그림 속의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224-274,

      21 이현일, "삼명시화(三溟詩話)'로 본 18세기 한시사(漢詩史)" 민족문학사학회 27 : 40-79, 2005

      22 "동국여지승람"

      23 "동국여지비고"

      24 이순미, "단릉 이윤영의 회화세계" 한국미술사학회 242·243 : 2004

      25 박경남, "단릉 이윤영의 『산사』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6 안대회, "다산 정약용의 竹欄詩社 결성과 활동양상 ― 새로 찾은 竹欄詩社帖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83) : 93-130, 2013

      27 김수진, "능호관 이인상 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8 "궁궐지"

      29 "고전번역원 DB"

      30 백승호,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간찰첩·시첩의 자료적 가치" 한국학연구원 (37) : 195-220, 2008

      31 주영재, "경기감영도에 나타난 조선후기 돈의문밖 도시조직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3

      32 신형운, "玉局齋 李運永 가사의 특성과 의미" 서울대학교 2010

      33 尹榮洙, "19세기 한양 도시주택에 관한 연구 : 경기감영도의 주택을 중심으로"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6

      34 이규상, "18세기 조선인물지: 병세재언록" 창작과비평사 1997

      35 안대회, "18세기 詩社의 현황과 전개양상" 한국고전문학회 (44) : 421-450, 2013

      36 최선혜, "18세기 淸流處士型 文人의 형성과 丹陵 李胤永의 詩文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7 김동준, "18세기 文人 夜宴의 현장과 예술적 아우라(Aura)" 한국실학학회 (28) : 185-232, 2014

      38 이경구, "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 (2009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푸른역사 2009

      39 조규희, "17~18세기의 서울을 배경으로 한 문회도" 16 : 2001

      40 정민, "16·7세기 조선 문인지식인층의 江南熱과 西湖圖" 한국고전문학회 22 : 10-306, 2002

      41 서울특별시, "(역사문화유적 기념표석 문안집) 역사 문화 유적의 현장을 찾아"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2 1.48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