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종 초기전래설의 재검토 -「단속사신행선사비문(斷俗寺神行禪師碑文)」의 분석- = Reexamination on the Early Transmission of Sŏn in Silla-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Stone Inscription ofMeditation Master Shinhaeng at Dansok Templ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법랑과 신행은 보리달마 계통 선종의 최초 전래자로서 한국선종사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인물들이다. 법랑은 4조 도신(580~651)에게 선법을 배우고 귀국하여 신행(704~779)에 전하였고, 신행은 다...

      법랑과 신행은 보리달마 계통 선종의 최초 전래자로서 한국선종사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인물들이다. 법랑은 4조 도신(580~651)에게 선법을 배우고 귀국하여 신행(704~779)에 전하였고, 신행은 다시 당에 유학하여 북종선을 전수해 온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학계 일각에서 법랑의 스승 도신과 신행 사이의 생존 연대상의 차이로 인하여 법랑의 전법 사실의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가 없지는 않았으나, 그대로 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대세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법랑에 관한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인 「신행선사비문」에 의거하는 한 법랑이 신행의 스승이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나, 그가 당에 유학하거나 도신의 선을 전수한 사실은 없었던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필자가 이러한 진부한 문제를 새삼스럽게 다시 검토하게 된 동기는 단순히 역사적 사실 여부를 밝혀보려는 것만이 아니다. 오늘날 불교사학계의 안이한 연구자세와 자료비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반성을 촉구하려는 의도이기도 하다. 거시적인 불교사의 흐름은 도외시한 채로 인물 개인이나 단편적인 사건에만 매달려 쉽게 결론을 내리는 안이한 연구가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자료의 해석에서 전체적인 맥락은 고려하지 못하고 단편적 문구에만 매달려 편의적인 해석을 주저하지 않는 연구가 횡행하고 있음은 연구방법상의 문제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법랑과 신행에 관한 이해는 그 동안 우리 학계에서 보여주고 있는 연구방법상의 문제를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의 하나라는 점에서 본고를 집필하게 된 것이다. 한국선종사의 출발점이 되는 법랑과 신행에 대한 이해에서 혼란을 일으키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자료상의 문제에 기인한다. 이 문제에 관한 자료로서는 「신행선사비문」(813년)과 「지증대사비문」(893년 무렵) 두 편의 비문이 전부인데, 각기 다른 사실을 전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인 「신행선사비문」에 의거하는 한 신행은 법랑에게서 공부한 다음에 당에 가서 북종선을 전수해 왔다는 사실이 전부이다. 그런데 80년 뒤에 찬술된 「지증대사비문」에서는 법랑이 당에 유학하여 도신의 선법(동산법문)을 전수한 사실을 새로 추가하고, 또한 신행의 북종선 전법 사실을 빠뜨리는 대신에 「신행선사비문」에서 없었던, 신행과 당 숙종의 사이에서 시문을 교환한 사실을 추가하는 등 내용상의 차이점을 나타내 줌으로서 혼란이 야기되었다. 그런데 필자가 문제점으로 지적하려는 것은 두 비문 내용 사이의 차이점은 고려하지 않고, 안이하게 양자의 내용을 혼합하여 전법계보설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치는 학계의 안이한 연구자세이다. 한편 오늘날 전해지는 자료에 의거하는 한에서는 최초의 선법 전래자로는 법랑이 아닌 신행으로 볼 수밖에 없으며, 그 연대는 경덕왕 원년(742) 무렵으로 추정된다. 신행은 704년 출생하여 733년 30세 즈음에 출가하여 운정율사(運精律師)에게서 2년 동안 수학하였다. 그리고 735년 32세 때에 호거산의 법랑에게 찾아가서 3년 동안 수업하고, 법랑이 입적하자 738년 35세로 당에 유학가서 북종선의 신수의 손제자인 지공(志空) 문하에서 3년 동안 수업하여 인가받고, 742년 무렵에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귀국한 뒤 혜공왕 15년(779) 단속사에서 입적할 때까지 37년 동안 북종선의 기본사상인 좌선간심(坐禪看心)과 󰡔대승무생방편문(大乘無生方便門)󰡕의 방편법문(方便法門)을 홍포하였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신행선사비문」에서 그의 귀국 이후의 활동에 관한 기록이 소략하고 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것으로 보아 그에 의한 북종선의 전래와 행화(行化)는 당시의 신라 불교계에서 크게 주목을 받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행이 입적한 뒤 34년이 지나서 그의 사법제자인 삼륜선사(三輪禪師)에 의해 현창사업으로서 영당과 부도, 그리고 비석이 수립되고 있었던 것을 보아 북종선은 그의 문도들에 의해서 단절되지 않고 계승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비석이 수립되는 헌덕왕 5년(813) 무렵 신라 불교계에서 북종선을 전승하고 있던 인물들은 신행의 문도 이외에도 더 있었던 것 같다. 최치원이 찬술한 「낭혜화상비문」에 의하면 신행선사비가 수립되기 1년 앞서 낭혜화상 무염이 13세로 출가하여 법성선사(法性禪師)에게 수업하고 있었는데, 그 법성은 일찍이 당에 유학하여 능가선, 즉 북종선을 전수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염은 법성의 당 유학 권유를 받아들이지 않고 부석사의 석징대덕(釋澄大德)에게 찾아가 화엄학을 배우고, 뒤에 당에 가서도 화엄종의 본거지인 지상사를 찾아가 계속하여 화엄을 공부하였던 것을 보아 법성의 북종선은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omnang and Shinhaeng are regarded as the two earliest disseminators of the Sŏn (Ch. Chan meditation) tradition of Bodhidharma to Korea, and thus occupy the highest positions amongst Korean Sŏn patriarch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accou...

      Beomnang and Shinhaeng are regarded as the two earliest disseminators of the Sŏn (Ch. Chan meditation) tradition of Bodhidharma to Korea, and thus occupy the highest positions amongst Korean Sŏn patriarch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account, Beomnang studied in China under the fourth patriarch Daoxin (580~651), and upon his return to Silla, he transmitted the teachings to Shinhaeng (704~779). Shinhaeng visited China and is believed to have introduced the Northern Chan tradition to Silla. A few scholars have cast doubts on the veracity of Beomnang’s transmission because of the excessive time lag between Beomnang’s master Daoxin and Shinhaeng, but most have accepted the story at face value. However, an examination of the earliest extant record on Beomnang, the “Stone Inscription of Meditation Master Shinhaeng,” reveals that there is little doubt that Beomnang was the master of Shinhaeng; therefore, we cannot deny the fact that he traveled to Tang China, or that he transmitted Daoxin’s tradition. I have decided to investigate this unresolved problem once more not only out of a mere desire to ascertain historical facts, but also to reveal the lack of rigor in the approach and drawbacks of the analytical framework of current scholarship o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my hope that this essay will motivate scholars to engage in self-introspection and reflect critically on the limitations of current scholarship. Most studies focus only on individual monks or single facts, and furthermore, fail to demonstrate an inclusive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historical and cross-cultural context within which Buddhism developed. They concentrate on only a few sentences of the text without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issues raised by the topic, arriving at highly simplistic conclusions. These types of studies dominate contemporary scholarship, and we cannot help but indicate the incorrectness of such an approach and methodology. Available studies on of the relation between Beomnang and Shinhaeng demonstrate these problems of methodology. Misleading notions about Beomnang and Shinhaeng in extant works of scholarship derive from the inability to grasp the problem in the sources. The only records available today are the “Stone Inscription of Meditation Master Shinhaeng” (813) and the “Stone Inscription of Great Master Jijung” (ca. 893); each of them presents different facts. The former states that Shinhaeng first studied under Beomnang before traveling to Tang China, and upon returning to Silla, he transmitted the teachings of the Northern branch of Sŏn. However, according to the latter text, composed 80 years later, Beomnang sailed to Tang China where he received the transmission of the faith from Daoxin. The difference in content between the two inscriptions has resulted in confusion. Extant Korean scholarship has not delved deeply into this issue, and a rigorously analytical approach would have led scholars to clearly understand the textu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scriptions. Instead, existing research has merely extrapolated a line of transmission of the Dharma. Today, according to extant records, we are left with no other option than to consider not Beomnang, but Shinhaeng as the person who introduced Sŏn to Korea around 742. From the time he returned to Silla to the year he died at Dansok Temple in 779, for 37 years he propagated the cultivation methods of “sitting in meditation and looking inward at the mind” and the “expedient means for attaining non-arising in Mahayana.” However, on the “Stone Inscription of Meditation Master Shinhaeng,” all facts relating to his activities have been omitted, and his transmission of the Northern line of Sŏn was not regarded a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Silla Buddhist circles of that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신행선사비문」과 신행의 생애
      • Ⅲ. 북종선의 전래
      • Ⅳ.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신행선사비문」과 신행의 생애
      • Ⅲ. 북종선의 전래
      •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煐泰, "한국불교사" 경서원 1997

      2 곽승훈, "신라시대 지리산권의 불사활동과 신행선사비의 건립 -중대 말 하대 초의 정치변동과 관련하여-" 신라문화연구소 (34) : 193-218, 2009

      3 최홍조, "신라 神行禪師碑의 건립과 정치적 배경" 11 : 2013

      4 루정호, "새로 發見된 新羅 入唐求法僧 惠覺禪師의 碑銘" 역사연구소 (73) : 1-35, 2011

      5 추만호, "나말여초 선종사상사 연구" 이론과실천 1992

      6 曺永祿, "구산선문의 원류를 찾아서 2책"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7 정영식, "간추린 한국선사상사" 운주사 2014

      8 高翊晉, "韓國古代佛敎思想史"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9 "譯註韓國古代金石文"

      10 "禪門寶藏錄 卷上"

      1 金煐泰, "한국불교사" 경서원 1997

      2 곽승훈, "신라시대 지리산권의 불사활동과 신행선사비의 건립 -중대 말 하대 초의 정치변동과 관련하여-" 신라문화연구소 (34) : 193-218, 2009

      3 최홍조, "신라 神行禪師碑의 건립과 정치적 배경" 11 : 2013

      4 루정호, "새로 發見된 新羅 入唐求法僧 惠覺禪師의 碑銘" 역사연구소 (73) : 1-35, 2011

      5 추만호, "나말여초 선종사상사 연구" 이론과실천 1992

      6 曺永祿, "구산선문의 원류를 찾아서 2책"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

      7 정영식, "간추린 한국선사상사" 운주사 2014

      8 高翊晉, "韓國古代佛敎思想史"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9 "譯註韓國古代金石文"

      10 "禪門寶藏錄 卷上"

      11 關口眞大, "禪宗思想史" 山喜房佛書林 1964

      12 宇井伯壽, "禪宗史硏究" 岩波書店 1935

      13 呂聖九, "神行의 生涯와 思想" 1992

      14 權相老, "白性郁博士華甲記念佛敎學論文集" 1959

      15 "海東金石苑"

      16 "朝鮮金石總覽 上卷"

      17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 春秋社 1930

      18 李能和, "朝鮮佛敎通史 권상" 新文館 1918

      19 金映遂, "曹溪禪宗에 對하여" 9 : 1938

      20 金煐泰, "曦陽山禪派의 成立과 그 法系에 대하여" 4 : 1979

      21 淨光, "智證大師碑銘小考" 경서원 1992

      22 "智異山斷俗寺神行禪師大鑑國師碑銘" 東國大學校出版部

      23 李基白, "景德王과 斷俗寺" 新羅政治社會史硏究 5 : 1974

      24 鄭性本, "新羅禪宗의 硏究" 民族社 1995

      25 崔柄憲, "新羅下代 禪宗九山派의 成立" 7 : 1972

      26 鄭善如, "新羅 中代末·下代初 北宗禪의 受容" 12 : 1997

      27 "大東金石書"

      28 柳田聖山, "初期禪宗史書の硏究" 禪文化硏究所 1967

      29 鄭性本, "中國禪宗의 成立史 硏究" 民族社 1991

      30 Robert E ., "The Formation of Ch’an Ideology in China and Korea : The Vajrasamādhi-Sūtra, a Buddhist Apocryph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