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천태종의 염불수행 전통과 그 계승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50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천태종은 고려시대 大覺國師 義天에 의해 개창되었고 백련결사를 결성했던 圓妙了世에 의해 중흥되었지만 조선초기 숭유억불로 인해 그 종파명이 선종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천태...

      한국 천태종은 고려시대 大覺國師 義天에 의해 개창되었고 백련결사를 결성했던 圓妙了世에 의해 중흥되었지만 조선초기 숭유억불로 인해 그 종파명이 선종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천태종의 염불수행 정신은 조선후기 염불의 유행과 함께 전승되었다가 현대의 上月조사에게로 전승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고려시대 천태종의 수행정신이 오늘날 천태종의 관세음보살 呪誦으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고려시대 백련결사에서 천태종의 수행법이 염불수행으로 정착했으나 원간섭기 이후 천태종이 중앙으로 진출하여 권력과 결탁하면서 그 수행정신이 퇴락했으나 고려후기 浮菴無寄의 염불수행으로 그 정신이 계승되었다. 그러나 성리학을 기치로 내건 조선이 건국되면서 다시 천태종은 종파 통폐합으로 인해 그 존재를 상실하고 말았다. 그렇지만 천태종의 주된 수행법인 염불수행은 불교계에서 여전히 전수되었고 이는 조선후기 염불수행의 유행으로 나타났다. 조선후기의 염불수행은 근대에 이르기까지 불교계의 보편적인 수행법의 하나로 정착되었고, 이를 상월조사가 다시 천태종을 중창하면서 천태종의 수행법으로 수용되었다. 고려시대 이래 천태종의 수행으로 받아들여졌던 염불수행이 다시 되살아난 것이었다. 그러나 상월조사는 현실에 맞는 수행법으로서 “관세음보살” 呪誦의 염불로 승화시켰다. 이는 고려 천태종 염불수행의 계승이면서 현실을 맞는 수행법으로 변화 발전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eontae order of Korea was established by Uicheon(義天, 1055~1101) the master of great enlightenment in the Goryeo Dynasty, and was restored by Wonmyo-ryose(圓妙了世, 1163~1245) who initiated the white lotus movement. But it had lost its na...

      The Cheontae order of Korea was established by Uicheon(義天, 1055~1101) the master of great enlightenment in the Goryeo Dynasty, and was restored by Wonmyo-ryose(圓妙了世, 1163~1245) who initiated the white lotus movement. But it had lost its name when it was unified with the Zen order due to the anti-Buddhist polic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the spirit of chanting Buddhism of the Cheontae order managed to passed down to the generation up until the chanting Buddhism got populariz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the master Sangwol(上月, 1911~1974) of today was inherited in it.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fact that the Cheontae spirit from Goryeo Dynasty is connected to today's Avalokitesvara prayer of the Cheontae order.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chanting Buddhism was adopted as a training method of the Cheontae order. Even though the spirit chanting Buddhism was decayed when the Cheontae order were in collision with the main political power after the period of Yuan intervention, the spirit was handed down to Buam-mugi(浮菴無寄) in the late Goryeo Dynasty. However, the Cheontae order had lost its existence when it was unified with the Zen order due to the anti-Buddhist policy of the Confucianist Joseon Dynasty. But the chanting Buddhism of the Cheontae order could still pass down to generation in the Buddhist society, and it was populariz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nting Buddhism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regarded as a general training method in the Buddhist society up until the modern times, and as the master Sangwol restored the Cheontae order, it became the training method of the order. This means that the chanting Buddhism which was regarded as the training method of Cheontae order ever since the Goryeo Dynasty period has been revived. But the master Sangwol has changed it into the Avalokitesvara prayer to match the reality of the times. Thus its possible to say that his training method has inherited the tradition of chanting Buddhism of the Cheontae order of the Goryeo Dynasty and also changed it more realist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문
      • 1. 서론
      • 2. 고려 백련결사의 염불수행
      • 3. 백련결사 정신의 계승과 現 천태종의 염불수행
      • 4. 결론
      • 국문요약문
      • 1. 서론
      • 2. 고려 백련결사의 염불수행
      • 3. 백련결사 정신의 계승과 現 천태종의 염불수행
      • 4.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勸修定慧結社文」, 한국불교전서 4"

      2 "念佛還鄕曲, 한국불교전서 9"

      3 원각불교사상연구원, "한국천태종사" 대한불교천태종 2010

      4 리영자, "천책스님의 호산록" 해조음 2002

      5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三門修學을 중심으로" 동국대 2010

      6 한상길, "조선후기 불교와 사찰계" 경인문화사 2006

      7 이종수, "조선후기 淨土思想 연구 - ≪한국불교전서≫ 소재 정토 서적을 중심으로" 회당학회 13 : 2008

      8 박인석, "영명연수 종경록의 '일심' 사상 연구" 연세대 2010

      9 김운학, "염불환향곡, In 국학자료 4-5" 장서각 1975

      10 현대불교신문사, "염불환향곡" 현대불교신문사 2005

      1 "「勸修定慧結社文」, 한국불교전서 4"

      2 "念佛還鄕曲, 한국불교전서 9"

      3 원각불교사상연구원, "한국천태종사" 대한불교천태종 2010

      4 리영자, "천책스님의 호산록" 해조음 2002

      5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三門修學을 중심으로" 동국대 2010

      6 한상길, "조선후기 불교와 사찰계" 경인문화사 2006

      7 이종수, "조선후기 淨土思想 연구 - ≪한국불교전서≫ 소재 정토 서적을 중심으로" 회당학회 13 : 2008

      8 박인석, "영명연수 종경록의 '일심' 사상 연구" 연세대 2010

      9 김운학, "염불환향곡, In 국학자료 4-5" 장서각 1975

      10 현대불교신문사, "염불환향곡" 현대불교신문사 2005

      11 김세운, "상월 조사의 생애와 교화 방편" 한국선학회 (15) : 665-704, 2006

      12 한보광, "만일염불결사의 성립과 그 역할, In 신앙결사연구" 여래장 125-, 2000

      13 김영미, "대각국사 의천의 아미타신앙과 정토관" 156 : 1997

      14 강동균, "기성쾌선의 정토사상" 동아대 석당전통문화연구원 28 : 1999

      15 羅凈淑, "高麗時代 淨土信仰 硏究" 숙명여대 2010

      16 蔡尙植, "高麗後期佛敎史硏究" 일조각 1996

      17 김양순, "高麗後期 白蓮結社의 淨土思想 연구" (창간) : 2000

      18 "高麗史 권10, 世家10"

      19 "釋迦如來行跡頌 卷下, 한국불교전서 6"

      20 "請擇法報恩文, 한국불교전서 9"

      21 崔滋, "萬德山白蓮社圓妙國師碑銘幷序"

      22 "禪家龜鑑, 한국불교전서 7"

      23 李永子, "無寄의 天台思想" 3 : 1977

      24 "梵魚寺誌"

      25 "朝鮮寺刹史料 上"

      26 李永子, "天因의 法華懺法의 展開, In 韓國天台思想" 불교문화연구원 1997

      27 "大覺國師文集 권20"

      28 이종수, "圓妙了世의 淨土觀-萬德山 白蓮結社를 중심으로" 1999

      29 이종수, "19세기 건봉사 만일회와 불교사적 의미" 305-, 2010

      30 이종수, "18세기 기성쾌선의 念佛門 연구 - 念佛門의 禪敎 껴안기 -" 보조사상연구원 30 : 141-175,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