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문묘일무의 역사적 전개와 1949년 해방 이후 춤사위 복원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57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가문화의 근원인 공자의 정신은 수 천 년 중국문화의 근원이자 중화민족사상의형성에 기초가 되었다. 개혁개방정책을 거친 중국은 이후 공자에 대한 위상이 새롭게 부활되었고, 그의 정...

      유가문화의 근원인 공자의 정신은 수 천 년 중국문화의 근원이자 중화민족사상의형성에 기초가 되었다. 개혁개방정책을 거친 중국은 이후 공자에 대한 위상이 새롭게 부활되었고, 그의 정신은 중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중심사상으로 집중되었다. 공자의 사상과 철학은 중화민족 정신을 형성해온 전형적인 전통문화로서 중국이 꿈꾸는 미래의 대동 사회를 이루는 민중적 기반으로 다시금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은 자연스럽게 공자를 모시는 공묘를 재정비하고 역사적 사료로서 바라보았던 제공대전을 현대사회에 전통적 역사문화로 재발견하여 수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제공대전은 곡부를 중심으로 현재 전국적으로 복원과정을 거쳐 각 성의 문화적 상황에 맞는 역사 문화의 관점에서 시행되고 있다. 공자의 본향인 곡부에서는 공자연구원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을 현대사회에서 수용하기 위한 대중 교육 방향에 대해 노력하고 있으며 제공대전을 현대 사회에 꽃피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공대전에서 추어지는 문묘일무도 사회 각계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현재 학술적 체계성이 부족한 상황해서 복원된 중국 곡부의 문묘일무는 그 원형을 찾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근대의 문화 단절기를 극복하고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동아시아의 공통된 상황에서 중국의 문묘일무가 어떠한 복원의 경로를 통해 전승되었는지 밝히는 것은 중국현대사회의 전통일무에 대한 복원이며 앞으로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의 쇠락과 원형복원에서 중요한 역할과 의의를 갖는다.
      그리하여 본고는 중국 문묘일무의 역사적 흐름을 개괄하고 1949년 해방이후 중국 곡부 문묘일무의 춤사위 복원과 그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문묘일무의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현재까지 문묘일무는 ‘육대악무(六代樂舞)’를 시원으로 보고 있다. 이후 육대악무는 각 나라가 건국 될 때마다 왕조에 따라 춤의 명칭이 변화되거나 새롭게 창작되어 각종 국가 행사 또는 공자제사에 사용되게 되었다. 춘추전국, 진(秦), 한(汉), 수(隋), 당(唐), 오대(五代), 송(宋), 금(金), 원(元), 명(明), 청(清),민국시대까지 중국의 역사에서 수 천년동안 문묘일무가 거행되었다. 이후 중국은 1949년 해방 이후 1957년, 1984년, 1986년, 2005년, 2009년에 다섯 차례의 문묘일무 춤사위의 복원과정을 거쳤다. 현재 중국 곡부의 공자 가문에서 지내는 전통 가제(家祭)에서의 일무는 2009년 복원한 것으로 거행되고 있다.
      전승의 생명력을 지니는 일상생활에서의 행위 규범을 갖춘 일무는, 과거 사회에대해 규범과 규제를 조절하는 것이었다. 이는 현대사회에서도 사람과 사람간의 도덕규범에 대한 조절이며 인간과 자연의 행위규범을 규제 또는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예악의 “실천”은 일무교육을 통해 공자의 인(仁)사상을 윤리화하는 것으로써, 신체의 외재(外在)에서 내재(內在)에 이르기까지 즉 정심(正心), 수신(修身)의 신체 언어 유형의 무용교육이다. 나아가 인(仁)사상을 전파하는 역량은 사회가 세상 사람들이 기대하는 이상사회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다. 문묘일무는 중국 전통예악 문화의 정수이며 유일하게 보존되고 있는 아악이다. 설령 천년의 전승을 거쳤 더라도 여전히 보존되어 공경(恭敬)과 사양(辭讓), 겸양(謙讓)의 우수한 덕행의 전통문화가 계속해서 중국 대지에 승화되고 피어나게 한다.
      2006년 제공대전(祭孔大典)은 중국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국가 중요무형문화재]으로 지정되었고 이에 연구자는 중국의 문묘일무에 대한 학술성, 체계성 있는 전승이 올바른 길이이라 생각한다. 또한 무용학의 전통에 대한 원형 탐색 연구는 미래 무용학의 건강한 발전을 유도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연구 4
      • 3. 연구방법 11
      • Ⅱ. 중국 문묘일무의 유래 1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선행연구 4
      • 3. 연구방법 11
      • Ⅱ. 중국 문묘일무의 유래 14
      • 1. 예(禮)와 악(樂)의 형성 15
      • 2. 문묘일무와 예악 18
      • 3. 육대무(六代舞) 23
      • 1) 육대대무 24
      • 2) 육대소무 32
      • Ⅲ. 중국 문묘일무의 역사적 전개 37
      • 1. 육대무의 전승 37
      • 1) 춘추전국-진나라 37
      • 2)한나라 40
      • 3) 위진남북조 45
      • 4) 수당오대 55
      • 2. 문묘일무의 확립 65
      • 1) 송나라․원나라 65
      • 2) 명나라 107
      • 3) 청나라 117
      • 3. 문묘일무의 쇠락 167
      • 1) 민국시대 167
      • Ⅳ. 1949년 해방이후 문묘일무의 복원과정 176
      • 1. 1957년의 문묘일무 176
      • 1) 1957년 문묘일무의 복원배경 177
      • 2) 1957년 문묘일무의 복원내용 179
      • 2. 1984년─1985년의 문묘일무 212
      • 1) 1984년~1985년 문묘일무의 복원배경 212
      • 2) 1984년~1985년 문묘일무의 복원내용 214
      • 3. 1986년─2004년의 문묘일무 221
      • 1) 1986년〜2004년 문묘일무의 복원 배경 221
      • 2) 1986년〜2004년 문묘일무의 복원 내용 222
      • 4. 2005년-2008년의 문묘일무 236
      • 1) 2005년〜2008년 복원된 문묘일무 특징 239
      • Ⅴ. 현행 문묘일무의 전승양상 241
      • 1. 2009년-2016년의 문묘일무 241
      • 2. 현행 전통가제 문묘일무의 춤사위 244
      • 3. 현행 문묘일무 춤사위의 개선방안 272
      • Ⅵ. 결론 275
      • 참고문헌 283
      • 中文摘要 28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소영명, "null", (肖永明),“宋代儒学的危机与复兴”,光明日报, 2013

      2 왕홍매, "null", (王红梅) 양부학(杨富学),“论元代畏兀儿人的儒学”兰州学刊,年第10期, 2009

      3 권오흥, "유교와 석전", 서울 성균관, 2004

      4 김영숙, "“現行佾舞考"",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1

      5 임학선, "“일무의 유래"", 한국무용사학회 춘계학술세미나 7, 2007

      6 임학선, "“일무시원고,”", 중국인민대학 최우수논문집 무대예술 3, 2014

      7 임학선, "문묘알무보 도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8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9 김원중, "중국문화사, 서울", 을유문화사, 2001

      10 임학선, "“문묘일무보 분석"", 중국 무한대 국제학술대회, 2007

      1 소영명, "null", (肖永明),“宋代儒学的危机与复兴”,光明日报, 2013

      2 왕홍매, "null", (王红梅) 양부학(杨富学),“论元代畏兀儿人的儒学”兰州学刊,年第10期, 2009

      3 권오흥, "유교와 석전", 서울 성균관, 2004

      4 김영숙, "“現行佾舞考"",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1

      5 임학선, "“일무의 유래"", 한국무용사학회 춘계학술세미나 7, 2007

      6 임학선, "“일무시원고,”", 중국인민대학 최우수논문집 무대예술 3, 2014

      7 임학선, "문묘알무보 도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8 임학선, "문묘일무의 이해",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9 김원중, "중국문화사, 서울", 을유문화사, 2001

      10 임학선, "“문묘일무보 분석"", 중국 무한대 국제학술대회, 2007

      11 임학선, "“석전대제의 일무"", 비엔나 대학 학술심포지움, 2006

      12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서울", 일조각, 1984

      13 임학선, "“韓國思想과 文化”",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14 임학선, "문묘일무의 예악사상",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1

      15 임태승, "유가사유의 기원,결기", 학고방, 2004

      16 조남욱, "현대인의 육읽기,경기", 아세아문화사, 2005

      17 임학선, "“일무의 역학적 구조"", 한국석전학회 석전학국제학술회의, 2008

      18 차연분, "“무보부터 무용까지”", 중국 중앙민족대학 박사학위논문, 2010

      19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서울", 민속원, 2007

      20 성기숙, "춤의 전통과 정신, 서울", 민속원, 2010

      21 임학선, "“문묘일무의 예악사상"", 국제석전학회 국제학술대회 1, 2010

      22 류휘, "(刘辉),“金代儒学研究”", 吉林大学,中国古代史,博士毕业论文,, 2008

      23 임학선, "“釋奠舞位의 歷史的變遷"", 국제유학연토회, 2009

      24 류광육, "“隋唐儒学发展及其特点”", (刘光育),, null

      25 임학선, "“문묘일무의 어제와 오늘"", 문묘일무의 원형복원을 위한 학술시연 4, 2005

      26 임학선, "“약적무와 간척무의 유래"", 한국무용사학회, 한국무용사학 7, 2007

      27 임학선, "“사료를 통해 본 문묘일무"", 한국석전학회 춘기학술회의, 2008

      28 임학선, "“한국 성균관의 문묘일무”", 대만 불광대학 주최 학술대회, 2003

      29 공덕평, "제공예악연구(祭孔禮樂研究)", 문물 출판사, 2009

      30 손치안, "“제공악무무용의 문화연구”", 중국 예술 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08

      31 팽송, "『拉班舞谱3─中国古代舞谱』", (彭松),풍벽화(冯碧华),, null

      32 동희녕, "“孔庙祭祀研究공묘제사연구”", 호남대학 박사학위논문, 2011

      33 于維, "“韓·中兩國現行佾舞比較硏究"",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34 임학선, "“문묘일무의 내용과 표현형식"", 중국 산동대 국제학술대회, 2007

      35 임학선, "“한국 문묘석전 일무의 춤사위"", 대만 대북시 국제학술대회, 2010

      36 임학선, "“현행 성균관 석전대제의 일무"", 국제석전학회 석전학국제학술대회 4, 2013

      37 이보름, "“『春官通考』의 文廟佾舞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38 임학선, "“문묘일무의 춤사위 비교분석”", 성균관(문묘일원)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학술토 론 회, 2004

      39 임학선, "“송대 이후 일무의 역사적 고찰"", 한국석전학회 석전학국제학술회의, 2007

      40 염춘신(闫春新), "논어의 예악사상(论语的礼乐思想)", 曲阜师范大学历史文化学院, 2011

      41 김영숙, "“韓國祭禮佾舞의 美學思想硏究”",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12

      42 강범, 애춘화, "「곡부공묘음악형성 발전과 원류」", 『齐鲁艺苑』, 1983

      43 류상학, "“论明代儒学中的民族观及其影响”", (刘祥学),, null

      44 임학선, "“문묘일무의 유래 및 철학적 배경,”", 중국 곡부사범대 국제공자문화절 국제학술대회, 2006

      45 강범, 애춘화, "중국역대공묘아악(中國歷代孔廟雅樂)", 중국 국제 방송 출판사, 2001

      46 박지선, "“儒教祭禮舞의 禮樂思想에 관한 研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47 임학선, "“釋奠舞位의 歷史的推移에 관한 小考"", 한국석전학회 석전학국제학술회의, 2009

      48 임학선, "“문묘일무의 역사와 춤사위구조 분석"", 석전학논총 1, 2005

      49 임학선, "“송 명대의 문묘일무 춤사위의 관계성"", 국제유학연토회, 2010

      50 임학선, "“『남옹지』의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 한국무용연구회, 한국무용연구회 21, 2003

      51 임학선, "“문묘일무의 역사와 무원편제의 변화”", 당대한국, 북경, 2004

      52 오효방, "「关于整理和研究曲阜孔庙乐舞的情况」", (吴晓邦),, null

      53 임학선, "“명대의 문묘일무 춤사위에 대한 고찰”", 유교문화연구 8, 2004

      54 임학선, "“문묘일무 춤사위의 역학적 원리와 구조"",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유교문화연구 16, 2010

      55 안정은, "“문묘일무 춤사위의 원형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56 임학선, "“문묘일무의 원형복원을 위한 문헌 고찰"", 한국석전학회 한․중 공동학술발표회, 2006

      57 공덕평, "곡부공묘제사통해현대(曲阜孔庙祭祀通解)", 출판사, 2007

      58 장철(张哲), "공묘제사의 역사연변(孔庙祭祀的历史演变)", 上海戏剧学院,석사학위논문, null

      59 임학선, "“석전제례(釋奠祭禮)의 사회철학적 의미”", null

      60 맹몽, "“山东曲阜祭孔乐舞的动作保存与文化传承”", (孟梦)、차연분(车延芬),, null

      61 유청의, "“남송 아악일무 연구 복원작업 프로젝트팀”", 중국 항주 사범대학 음악학원 무용학 과, 2009

      62 팽유칭, "조선과 명조문헌에 나타난 한 중 일무비교분석",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희대하교 박사학위논문, 2015

      63 임학선, "“문묘일무 춤사위 중 三進三退의 유래와 의미"", 국제석전학회 석전학국제학술대회 2, 2011

      64 임학선, 김기화, "문묘일무의 춤사위 '진퇴'에 담긴 교육철학적 가치", 우리춤연구소, 우리춤 연구 15, 2011

      65 임학선 ( Hak Sun Lim ), ""근대이후 한,중 문묘일무의 성격과 현황 비교연구"",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33, no. 2, 2015

      66 백로, "“한 · 중문묘일무의 역사적 전승과 철학적 의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16

      67 박지선, "“문묘일무의 실천철학적 성격과 미학적 특징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16

      68 이보름, "“한국문묘일무의 연원과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16

      69 임학선, "“『頖宮禮樂疏』에 나타난 文廟佾舞譜춤사위 分析”", 대한무용학회 36, 2003

      70 유혜진, "“한국 문묘일무 춤사위의 원형고찰과 그 타당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2015

      71 최희나, "“現行文廟佾舞와 『頖宮禮樂全書』文廟佾舞의 관계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72 유혜진, "“『南雍志』의 文廟佾舞와 現行文廟佾舞의 춤사위 비교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73 임학선, 김기화, "“문묘일무 무보해 동작의 형식을 활용한 춤사위 분석체계 연구"", 한국무용연 구 30, no. 2, 2012

      74 임학선, "“문묘일무의 춤사위 비교 분석 - 『반궁예악전서』를 중심으로-”", 문묘일무의 원형 복원 을 위한 학술시연 1, 2003

      75 임학선, "“문묘일무의 유형분석 및 『반궁예악소』의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 문묘일무의 원 형복 원을 위한 학술시연 2, 2005

      76 임학선, "“문묘일무의 춤사위구조 및 의미성과 상징성 연구 - 『남옹지』의 문묘일무를 중심 으 로”", 대한무용학회 43,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