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울시 역사공원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Historical Park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7172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167p. : 삽화, 도표 ; 26cm.

      • 일반주기명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Historical Park in Seoul
        지도교수:소현수
        참고문헌 :158-162 p.

      • 소장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rical Park has no legal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standard, scale, park facility area and so on in order to be constructed in diverse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owever, this l...

      Historical Park has no legal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standard, scale, park facility area and so on in order to be constructed in diverse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owever, this legal autonomy, on one hand, may cause such problems as installation of improper facility in the historical park or excessive facility ratio. In addition, historical park shall search for different measures from those for ordinary neighborhood park in terms of the method to preserve and use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hich is the objective of historical park.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aws and regulations pertinent to historical park and identify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Seoul historical parks in order to provide a basic data which may contribute to construction of future new historical park.
      As of 2015, there are 15 historical parks in Seoul, among which 10 parks have been already constructed and 5 have not yet been constructed. This study analyzed 10 already constructed historical parks and drew out 4 analysis criteria (Historicity, aesthetic element, educational attributes and social element). The targets for analysis are divided into construction stage such a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pace function, park facility and park plantation status and the management stage such as operation management and use management. The status and improvements for historical parks in Seoul are as follows:
      First, the Historicity analyzed the typ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troduced space ratio, type of space arrangement by function, major tree types, management system and usage movement line. Above all, the historical parks in Seoul are classified into cultural heritage oriented park and n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oriented park. The cultural heritage oriented park is regulated by laws for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 prototype of cultural heritage so the park function shall be minimized. However, the street adjacent or around the park shall be understood as included in the landscaping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Bongeun·Shingye historical park which have park facility ratio over 40% the new·expansion constructions were concentrated on the buildings with stronger religious functions. In the major tree types, Italy poplar tree planted in Dongmyeo Park was broken by 2010 typoon ‘Kompasu’, which destructed the wall. In the historical park within Gyeonghee Palace, a foreign tree, American sycamore, was planted as a fast-growing tree in the palace and adjacent spaces, which is a risk factor. The operation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oriented historical park is divided into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nd park management. However, for the n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whose management system is unified, there is no professional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o there is a need for complementation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econd, aesthetic analyzed the design of introduced facilities and major tree types in terms of harmony with the historical objects. With respect to the design of introduced facility, the leisure facility in the historical park within Gyeonghee Palace used primary colors such as red and blue. The convenience facilities in 6 Loyalist Park used stainless steel. Yanghwahin Historical Park has a pagora with membrane structure, which is not harmonized wit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s the traditional tree type among major tree types, pine tree and crape myrtle showed higher frequency. There is a need to apply such traditional trees and planting method. On the contrary, the foreign trees such as American sycamore and acasia planted in Gyeonghee Palace·6 Loyalist Park are not harmonized wit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Third, educational attributes analyzed the typ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usage, information delivery method and type of used programs in terms of appropriateness of information delivery. Above all, for the non-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oriented park, the educ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on the symbolic meaning and celebration of the correspond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e important. However, for Itaewonbugundang historical park, there is no related facility so it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history-related facility. In addition, for the history-related facilities installed in Gyeonghee Palace·6 Loyalist·Shingye·Yanghwajin historical park, they are used as the resident convenience facility or religious facility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purpose, it seems that regulations over the change in use of history-related facility are required. For the usage movement line, Dongmyeo, Itaewon bugundang historical park has no open cultural heritage space so the access to and experience of cultural heritage is restricted. On the other hand, for the information delivery, the guidance signs in Dongmyeo historical park contain missing or incorrect information and the guidance booklet is printed in black and white so they are inefficient to deliver information. The guidance sign in Yanghwajin park is marked as ‘Yanghwajin Grave Park’ instead of historical park. Therefore, there are needs for readability-enhanced design, QR code for foreign visitors and multi-language guidance service. For Dongmyeo·Itaewonbugundang historical park, cultural heritage guide service and use program are not provided.
      Fourth, Sociality analyzed the type and usage pattern of introduced facilities in terms of the appropriateness of usage pattern. As for the facilities in the historical parks, Bongeun Culture Hall in Bongeun park is used as a wedding hall. The tennis court is operated on a membership basis so they weaken the public aspect of historical park. Thus, reconsideration over the inappropriate usages for protection·view·guid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required. The usage pattern of historical parks included rest, education, exercise and religious activity. These resulted from the educational aspec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religious facilites in Bongeun, Shingye, Yanghwajin park, which showed difference from the neighborhood park. With respect to the name of historical park, in Dongmyeo·Shingye park, there were some users who did not recognize the parks as historical park. Therefore, Dongmyeo Historical Park is required to use the designated name ‘Donggwan King Grave’, while Shingye Historical Park is required to correct its name focusing on the correspond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Danggogae Martyr Sacred Place’.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that this study examined the management status of 10 historical parks in Seoul in detail to provide the guidance for future historical park construction. As the results suggest, historicity, aesthetic, educational attributes and sociality were not only the analysis criteria in this study but also the conditions that the historical parks in Seoul have to me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공원은 해당 역사문화자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성될 수 있도록 설치기준, 규모, 공원시설 부지면적 등에 대한 법적 제한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 자율성은 한편으로 역사공원...

      역사공원은 해당 역사문화자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성될 수 있도록 설치기준, 규모, 공원시설 부지면적 등에 대한 법적 제한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 자율성은 한편으로 역사공원 내 부적합 시설의 설치, 과다한 시설율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역사공원은 지정 목적이 되는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보존하고 활용하는 방식에 있어서 일반 근린공원과 다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공원과 관련된 법규를 고찰하고 서울시 역사공원의 조성과 관리에 대한 현황을 면밀히 파악함으로써 향후 새로운 역사공원 조성 시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2015년 현재 서울시에 지정된 역사공원은 총 15개소로 이 중 10개소는 조성되고 5개소는 조성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조성된 10개소의 서울시 역사공원을 대상으로 하며 이를 분석하고자 역사문화경관의 가치를 대표하는 역사성, 심미성, 교육성, 사회성의 네 가지 분석 기준을 도출하였다. 분석의 대상은 역사문화자원, 공간 기능, 공원 시설, 공원 식생 현황과 같은 조성 단계와 운영 관리와 이용 관리와 같은 관리 단계로 구분된다. 네 가지 분석 기준에 따른 서울시 역사공원의 현황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성은 역사문화자원의 보존과 관리의 측면에서 역사문화자원의 유형, 도입 공간의 비율, 주요 도입 수종, 관리 체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서울시 역사공원은 문화재 중심 역사공원과 비지정문화재 중심 역사공원으로 구분된다. 문화재 중심 역사공원은 문화재보호법 하에서 원형보존을 목적으로 법적 제재를 받으므로 공원 기능을 최소한으로 부과해야 한다. 그러나 공원 주변이나 인접한 가로는 역사문화자원의 경관 조성에 포함하여 이해해야한다. 공원 시설율이 40% 이상으로 나타난 봉은·신계 역사공원은 종교적 기능이 보다 강한 건축물에 집중되어 신·증축이 이루어졌다. 주요 도입 수종의 항목으로 동묘 역사공원에 식재된 이태리포플러가 넘어지면서 2010년 태풍 ‘곤파스’로 인해 담장이 허물어진 사건이 있었다. 경희궁 역사공원 역시 궁궐과 인접한 공간에 속성수로서 외래수종인 양버즘나무가 식재되어 있어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 문화재 중심 역사공원의 운영 관리는 문화재 관리와 공원 관리로 구분된다. 그러나 관리 체계가 일원화되어 있는 비지정문화재의 경우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가 되고 있지 않으므로 문화재 관리의 보완이 요구된다.
      둘째, 심미성은 역사적 풍물과의 조화성이라는 측면에서 도입 시설의 디자인, 주요 도입 수종을 분석하였다. 도입 시설 디자인을 살펴본 결과 경희궁 역사공원 내 휴양시설은 빨간색, 파란색 등의 원색이 사용되었고, 사육신 역사공원 내 편의시설은 스테인레스 소재가 사용되었다. 양화진 역사공원은 막구조형 파고라가 설치되어 있어 역사문화자원과 조화되지 않았다. 주요 도입 수종으로 전통 수종의 경우 소나무, 배롱나무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향후 이러한 전통 수종 및 배식 기법의 적극적인 적용이 모색되어야 한다. 반면 경희궁·사육신 역사공원에 식재된 양버즘나무, 아까시나무 등의 외래 수종은 역사문화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셋째, 교육성은 정보 전달의 적합성이라는 측면에서 역사문화자원의 유형, 역사관련시설의 유형, 이용 행태, 이용 동선, 정보 전달 수단, 이용 프로그램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비지정문화재 중심 역사공원은 해당 역사문화자원의 상징성과 기념성에 대한 교육 및 정보 전달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태원부군당 역사공원의 경우 관련 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역사관련시설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경희궁·사육신·신계·양화진 역사공원에 설치된 역사관련시설의 경우에는 본래 목적과 다르게 주민 편익시설과 종교 시설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역사관련시설의 용도 변경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이용 동선의 경우 동묘·이태원부군당 역사공원은 문화재 공간이 개방되지 않아 역사문화자원으로의 접근과 체험이 제한되어 있다. 한편 정보전달시설의 경우 동묘 역사공원의 안내판은 누락되거나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제시되었으며, 안내 책자는 흑백으로 구성되어 효과적인 정보전달이 어렵다. 양화진 역사공원의 안내판은 역사공원의 명칭 대신 ‘양화진 묘지공원’으로 표기되어 있다. 따라서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과 외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QR코드 및 다국어 해설 등의 보완이 요구된다. 동묘·이태원부군당 역사공원의 경우 문화재 해설, 이용프로그램 등이 제공되지 않는다.
      넷째, 사회성은 이용 행태의 적합성이라는 측면에서 도입 시설의 유형, 이용 행태를 분석하였다. 역사공원 내에 도입된 시설을 살펴본 결과, 봉은 역사공원에 설치되어 있는 봉은 문화회관은 결혼식장으로 이용되며, 테니스장은 회원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역사공원의 공공성을 약화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법률에서 정하는 역사문화자원의 보호·관람·안내에 적합하지 않은 용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역사공원의 이용 행태는 휴식, 교육, 운동, 종교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사문화자원의 교육적 측면과 봉은·신계·양화진 내에 포함된 종교 시설로 인해 나타나는 행태로서 근린공원과 차별성을 보인다. 역사공원의 명칭과 관련하여 동묘·신계 역사공원에서는 이용자들이 역사공원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동묘 역사공원은 ‘동관왕묘’라는 지정된 명칭을 사용하고, 신계 역사공원은 기존 근린공원 명칭에서 비롯된 행정구역 명칭이 아니라 해당 역사문화자원인 ‘당고개순교성지’에 초점을 맞추어 수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역사공원 10개소의 조성과 관리 현황을 면밀하게 파악함으로써 향후 역사공원 조성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살펴본 바와 같이 역사성, 심미성, 교육성 사회성은 본 연구에서 분석기준이 되었지만 이들은 역사공원이 만족시켜야 할 조건이기도 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3
      • 1. 연구 범위 3
      • 2. 연구 방법과 내용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3
      • 1. 연구 범위 3
      • 2. 연구 방법과 내용 4
      • 3. 연구사 7
      • 제2장 이론적 고찰 12
      • 제1절 역사공원에 관한 고찰 12
      • 1. 역사공원의 개념 12
      • 2. 역사공원의 유형 15
      • 제2절 역사문화경관에 관한 고찰 17
      • 1. 역사문화자원의 개념 17
      • 2. 역사문화경관의 개념과 특성 18
      • 3. 역사문화경관의 가치 21
      • 제3절 역사공원 관련 법규 검토 23
      • 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23
      • 2. 문화재 보호법 31
      • 3. 서울시 도시공원조례 36
      • 4. 서울시 문화재보호조례 37
      • 5. 도시공원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 38
      • 6. 조경설계기준 40
      • 제4절 분석의 틀 45
      • 1. 역사공원 분석 대상 선정 45
      • 2. 역사공원 분석 기준 선정 49
      • 제3장 서울시 역사공원의 현황과 개선방안 52
      • 제1절 서울시 역사공원의 조성 현황 고찰 52
      • 1. 역사문화자원 52
      • 2. 공간 기능 67
      • 3. 공원 시설 78
      • 4. 공원 식생 93
      • 제2절 서울시 역사공원의 관리 현황 고찰 121
      • 1. 운영 관리 121
      • 2. 이용 관리 128
      • 제3절 분석의 종합 및 개선방안 144
      • 1. 역사성 관련 144
      • 2. 심미성 관련 145
      • 3. 교육성 관련 146
      • 4. 사회성 관련 149
      • 제4장 결론 및 제언 151
      • 1. 연구의 결과 151
      • 2. 연구의 의의와 향후 과제 157
      • 참고문헌 158
      • ABSTRACT 1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