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교적 가부장제와 여성호주 가족 = 한말(韓末) 한성부 호적 자료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36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말 한성부 호적 자료를 통해 그 사회의 ‘비전형 가족’인 여성호주가족을 조명했다. 한말 호적은 신분제가 철폐된 직후 그리고 일제 식민지 통치가 시작되기 직전에 수집된 자...

      이 논문은 한말 한성부 호적 자료를 통해 그 사회의 ‘비전형 가족’인 여성호주가족을 조명했다. 한말 호적은 신분제가 철폐된 직후 그리고 일제 식민지 통치가 시작되기 직전에 수집된 자료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유교적 가부장제의 기획물로써 가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한국근대가 시작되는 지점의 가족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여성호주의 등장 또는 감소가 그 사회의 지배이념과 관련되어 있으며 “여성호주 가족”이라는 비전형적 가족이 그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정치적 구성물임을 보여준다. 한말 호적자료를 통해 본 여성호주가족의 특성을 요약해보면 한말 여성호주 가족은 조선시대 어떤 호적 자료에서보다도 양반호가 적으며 가족수, 호주의 연령, 가족원의 범위 등에서 남성 호주 가족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여성호주 가족원이 평균적으로 두 명이 안되며 여성호의 다수가 단독호라는 사실은 여성호주 가족이 곧 사라질 수 있는 ‘일시적 가족’임을 보여주며, ‘여성호주 가족’은 성위계적인 지배이데올로기 속에서 신분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말 여성호주의 신분은 소사가 대부분이며 그 다음으로 상궁의 비율이 높은데 상궁 외에 침공이나 침선, 재봉 등 전통적인 여성 직업과 주막 등의 상인, 그리고 방적, 교사, 학생 등 근대적 직업의 여성호주가 등장하는 것은 여성호주의 사회적 지위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시사하는 흥미로운 측면이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대표권에서 여성호주 배제는 유교적 가부장제의 핵심 기제인 여성을 아들의 어머니로 호명하고 가족에 복속시킨 또 하나의 전략적 장치였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한말 호적에 나타난 여성호주 가족의 실태는 이러한 기획이 거의 완성단계였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to highlight an “anomalous family” in late Chosun, focusing on female-householder family in Hanmal Hojuk. Hanmal Hojuk was collected in 1903-1906, where family composition would reflect the final stage of Chosun Confucian patriarc...

      This paper tries to highlight an “anomalous family” in late Chosun, focusing on female-householder family in Hanmal Hojuk. Hanmal Hojuk was collected in 1903-1906, where family composition would reflect the final stage of Chosun Confucian patriarchy. Females were excluded from representing household in Hojuk, government registar since 18th century, as Confucian patriarchal order, chong-bup was strengthened. Accordingly female-householder families have decreased especially in Yangban (Upper class) in later Chosun. However, female-householders still mark about 4.6% in Hanmal Hojuk. This paper starts with a simple question such as who are female householders? The findings show that female-householder families are exceptionally negligible in Yangban class in Hanmal Hojuk. And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male householder ones in householder age, family composition, and family size. More than half of female householder families are single-person family, and more than four fifth of female-householders are in their forties and older who might not marry or have no son. Were there any males in the family, they are either son-in-law, matrilineal grandson, or infant son. Female-householder families are “transitional” or “residual” family in the sense that they are anomalous, not to follow Confucian patriarchal order.
      Though most of female householders are from Sosa, (commoners), Sanggung(royal lady attendant) next to them, make somewhat noticeable proportion about 4.2% female householders. It suggests that female householders are anomalous or “unconventional” categories. Besides Sosa and Sanggung, traditional women's jobs such as sewers, dressmakers, needleworkers, inn keepers and street vendors count for occupations of female householders. And further, a teacher, school girl and cotton-mill woman have recorded as female householders. The findings imply that Hanmal “female-householder family” can be the invention of an ideological construct which has discouraged women from representing household. In sum, decreased and ghettorized female-householder family evidences that making women as ‘mother of son' is the principal mechanism to reproduce Confucian patriarchy, which culminates in Hammal female-householder fami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자료의 특성
      • Ⅲ. 여성호주 가구 및 가족의 특성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자료의 특성
      • Ⅲ. 여성호주 가구 및 가족의 특성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말의 가족과 신분-한성부 호적 분석" 96-133, 1996

      2 "한말 서울의 가족구조 한국 사회사연구회논문집 39 문학과 지성사." 11-41, 1993

      3 "한말 서울 지역 첩의 존재양식 한성부 호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5 : 74-100, 2004

      4 "한국호적제도 연구" 1975

      5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 아카넷. 2003

      6 "한국사회계층연구. 일조각." 1982

      7 "한국 가족 제도사 연구. 일지사." 1983

      8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아카데미. 1991

      9 "친족제도의 유교화 과정" 2004

      10 "조선후기 호주승계방식의 변화와 종법질서의 확산_17ㆍ8세기 ‘단성호적’에 나타난 과부와 그 아들의 지위를 중심으로" 5-34, 2002

      1 "한말의 가족과 신분-한성부 호적 분석" 96-133, 1996

      2 "한말 서울의 가족구조 한국 사회사연구회논문집 39 문학과 지성사." 11-41, 1993

      3 "한말 서울 지역 첩의 존재양식 한성부 호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5 : 74-100, 2004

      4 "한국호적제도 연구" 1975

      5 "한국사회의 유교적 변환" 아카넷. 2003

      6 "한국사회계층연구. 일조각." 1982

      7 "한국 가족 제도사 연구. 일지사." 1983

      8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아카데미. 1991

      9 "친족제도의 유교화 과정" 2004

      10 "조선후기 호주승계방식의 변화와 종법질서의 확산_17ㆍ8세기 ‘단성호적’에 나타난 과부와 그 아들의 지위를 중심으로" 5-34, 2002

      11 "조선후기 서울주민의 신분 구조와 그 변화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 학위 논문." 1992

      12 "조선조 사회와 가족 -신분상승과 가부장제 문화-" 한울아카데미. 2003

      13 "조선전기 가부장제와 여성" 대우 학술총서. 아카넷 2004

      14 "조선시대 혼인장려책과 독신여성 유교적 가부장제와 주변적 여성의 흔적" 5-35, 2004

      15 "조선 초기 종법의 수용과 여성 지위의 변화" 1995

      16 "신분직역 변동연구" 일조각 1993

      17 "모성의 사회적ㆍ역사적 구성 -조선전기 가부장적 지배구조의 형성과 ‘아들의 어머니’-" 55 : 73-101, 1999

      18 "모성ㆍ성ㆍ신분제 - 조선왕조실록 재가 금지 담론의 재조명" 51 : 109-141, 1997

      19 "가족은 없다 - 가족이데올로기의 해부" 1997

      20 "韓末 漢城府民의 身分構造와 그 移動 .에 재수록" 省谷論叢 11 : 19801982

      21 "朝鮮王朝時代 人口推定에 관한 一試論" 289-330, 1977

      22 "朝鮮後期의 身分構造와 그 變動" 1981

      23 "Household Patterns in Early 18th-Century Korea"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5 1.58 1.76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