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申潤福의《蕙園傳神帖》硏究 = (A) Study on《Hye-Won-Jeon-Sin-Cheop》by Shin Yun-b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49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예술에 있어서 독창성의 문제만큼 중요한 부분은 없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혜원 신윤복의 그림은 조선후기 회화사에서 단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은 신...

      예술에 있어서 독창성의 문제만큼 중요한 부분은 없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혜원 신윤복의 그림은 조선후기 회화사에서 단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은 신윤복 회화를 대표하는 풍속화첩으로써 당대 사회의 생생한 모습을 간결한 필치와 담백한 설색을 통해 그려내고 있다. 특히 18세기 후반의 남녀 간의 사랑을 표현한 독특한 양식은 그를 풍속화의 대가의 반열에 오르게 하였다.
      혜원이 활동했던 조선시대 후기에는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겪고 18세기 실학사상(實學思想)의 영향으로 민본사상(民本思想)이 출현하였으며 미술사적으로는 진경산수(眞景山水)와 풍속화가 유행하였다. 풍속화는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와 개혁이 거듭되면서 중국의 아류적인 화풍을 따르지 않고 자신이 체험한 바를 꾸밈없이 표출한다는 자각 아래 생겨난 회화장르이다. 이 시기의 큰 줄기를 형성한 풍속화가는 남성 위주의 풍속 놀이를 중심으로 한 단원(檀園) 김홍도와 조선남녀의 춘의적 감정을 표현한 혜원(蕙園) 신윤복을 들 수 있다.
      혜원의 작품들은 당시 시대상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또한 남녀 간의 애정을 암시적으로 은밀히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에로티시즘을 대표하는 회화로서는 거의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
      본 연구의 결과《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은 주제에 따라 크게 ① 양반사회의 여흥 ②기방주변 ③ 여인의 나들이 ④ 남녀의 춘의(春意) ⑤ 여속(女俗)과 훔쳐보기로 분류되었다. 신윤복의《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이 지닌 춘화적 특징은 일반적인 인식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에 담긴 춘의적인 성격은 외형적 형태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 분위기에 의해 창출된다는 특징이 있다.
      신윤복의《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은 화면구성, 필선, 색채, 인물표정과 동작, 배경처리 등에서 독특한 조형성을 획득하고 있다. 그의 화면구성은 대부분 부감법을 사용하며 전체적으로 역원근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동양회화의 전통적인 구도방식은 허와 실, 또는 성김과 빽빽함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막힘과 트임 구도를 획득하였다. 혜원이 사용하는 필선은 주제에 따라 선의 부드러움과 농담이 유연하게 변한다. 그의 선은 대체로 일정한 농담으로 처리되고 부드럽고 유려하여 매우 정적으로 느껴짐과 동시에 섬세하고 깔끔한 맛을 보여준다. 혜원의 색채는 비단이 가지고 있는 미묘한 느낌과 잘 어울리는 풍부하고 화려한 특징이 있다. 강렬하면서도 거북스럽지 않는 자연스러운 색으로 표현되었다. 혜원의 그림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표정은 감정을 풍부히 머금은 특징이 있다. 인물표현의 동작은 매우 유연하고 자연스러우며 동작의 완성이 아닌 미래성이 두드러진다. 마지막으로《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의 중요한 조형특성은 은유적 상징성에 있다. 그의 낭만적 은유표현은 동물이나 자연을 소재로 하여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혜원 신윤복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에 관한 기록이나 자료, 그리고 남아있는 작품들이 다른 작가에 비해 적은 까닭에 정확한 편년에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자체가 지닌 회화사적 의의는 깊이 있게 분석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신윤복의《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은 전통적인 소재를 벗어난 조선 상류사회의 남녀가 꿈꾸는 춘의적 정서를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으로 담아낸 보고이다. 너무 현실적이지 않은 동시에 문학성을 획득하였고, 너무 선정적이지 않은 동시에 서정성을 획득하였다. 조선회화사에 있어서 감춤과 드러냄의 미학을 성공적으로 조형화시킨 대표적인 작가로 신윤복이 이름이 영원히 기억될 수 있기를 염원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yewon Shin Yun-bok is one of the most leading painter of the Chosun dynasty. Although his life is not very certain, probably leaved during the end of the 18th and the first quarter of the 19th century. He was eager to draw the realy life of thus days...

      Hyewon Shin Yun-bok is one of the most leading painter of the Chosun dynasty. Although his life is not very certain, probably leaved during the end of the 18th and the first quarter of the 19th century. He was eager to draw the realy life of thus days. His works are unique in its style and the subjects among the genre pictures. 《Hye-won-jeon-sin-cheop》is representative of Shin Yun-bok's paintings and describes vivid conditions of society at those time through concise touch and simple coloring. Here, a unique mode is to express the love of man and woman of the Chosun dynasty.
      In later 18th century when Hyewon was active, a democratic idea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practical science, and true-view landscape and genre paintings were popular due to social change and reform. A genre painting is a new subject which appeared to express artists' experience honestly and plainly without pursuing Chinese style of painting. Famous artists in a genre painting of the century included Danwon Kim Hong-do, who expressed man's custom plays and Hyewon Shin Yun-bok, who expressed love appair of man and woman in the society.
      Since Hyewon's works well reflect phases of those times and describes the love of man and woman suggestively and covertly, it stands in a unique position in erotic paintings.
      As a result of this study,《Hye-won-jeon-sin-cheop》was classified into ① an entertainment of the yangban[兩班, the aristocratic class society}, ② happening around the haouse of kisaeng[妓生], ③ women's outgoing, ④ sexual desire of man and woman, and ⑤ women's life and voyeurism. It is found that characteristics of《Hye-won-jeon-sin-cheop》is not very erotic than what was known to us so far.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desire contained in《Hye-won-jeon-sin-cheop》was obtained by external form, but created by internal mood.
      《Hye-won-jeon-sin-cheop》of Shin Yun-bok achieves very unique plasticity in the composition of a picture, touch of brush, color,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and motion, and background management. His composition of a picture uses parallel linear perspective in general, and reverse perspective in the whole. Shin Youn-bok enjoyed the traditional composition of the Orient paintings, i.e. strength and weakness, and looseness and thickness. He achieved the open and close composition. His brush touch varies from soft line to thick line, slow to past line. His lines are managed with an uniform shading, and are soft, smooth, and elegant, but very static, delicate, and smart. His color is characterized by richness and gorgeousness, and is strong but natural in same time. Characters' facial expression in Hyewon's paintings is very rich in emotion. Their motion is very flexible, natural, and above to move. Finally,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Hye-won-jeon-sin-cheop》is metaphorical symbolism. His romantic metaphor often uses the empathy of his feeling into animals or nature.
      In conclusion,《Hye-won-jeon-sin-cheop》of Shin Yun-bok is a treasure which expresses sexual desire of men and women in his unique mode. I hope that Shin Yun-bok remains in our memory as an artist, who succeeded in formulating the aesthetics of concealing and expos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 목차 = ⅳ
      • 제1장 서론 = 1
      • 제2장 혜원 신윤복(蕙園 申潤福)과 조선 풍속화 = 3
      • 제1절 혜원 신윤복 생애와 가계도 = 3
      • <Abstract> = ⅰ
      • 목차 = ⅳ
      • 제1장 서론 = 1
      • 제2장 혜원 신윤복(蕙園 申潤福)과 조선 풍속화 = 3
      • 제1절 혜원 신윤복 생애와 가계도 = 3
      • 제2절 혜원 신윤복의 회화사적 위치 = 6
      • 제3절 혜원의 작품세계 = 10
      • 제3장《蕙園傳神帖》의 구성과 주제 = 13
      • 제1절《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의 구성 = 14
      • 제2절《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의 주제적 특징 = 19
      • 1. 양반사회의 여흥 = 20
      • 2. 주점 풍경 = 21
      • 3. 외출 풍경 = 22
      • 4. 남녀 간의 춘의(春意) = 23
      • 5. 여속(女俗)과 훔쳐보기 = 24
      • 제4장《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의 조형적 특징 = 26
      • 제1절 화면구성 = 26
      • 제2절 필선(筆線) = 29
      • 제3절 색채(色彩) = 31
      • 제4절 인물표정과 동작 = 32
      • 제5절 배경처리 = 34
      • 제6절 복식(服飾) = 36
      • 제7절《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에 사용된 은유적 표현법 = 37
      • 제5장《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의 미술사적 의의 = 40
      • 제1절《혜원전신첩》의 정확한 편년은 가능한가? = 40
      • 제2절《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의 목적 = 42
      • 제3절《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의 에로티즘에 관한 문제 = 44
      • 제4절《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과 중국화보의 관계 = 46
      • 제6장 결론 = 49
      • 참고문헌 = 51
      • 참고 도판 = 53
      • <국문초록> =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