松塢集 目录
松塢集
송오집
松塢先生文集
松塢先生文集
|
|
鄭佺
정전
|
|
1860 | |
|
解题及凡例
조선 시대 송오(松塢) 정전(鄭佺, 1569~1639)의 문집이다. 김성일(金誠一), 유성룡(柳成龍), 구봉령(具鳳齡)의 문인이고 권태일(權泰一), 김시추(金是樞), 정영방(鄭榮邦) 등과 교유하였다. 본집은 고본이 화재로 인하여 불타 버린 뒤에 7대손 정지정(鄭之貞)이 1835년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한 고본을, 6대손 래검(來儉)과 8대손 동규(東逵)ㆍ운규(雲逵) 등이 저자의 6대손 래성(來成)의 《사헌집(思軒集)》과 함께 1860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목록이 있다. 권1은 부(賦), 시(詩)이다. 권2는 소(疏), 서(書)이다. 소 가운데 〈청오현종사소(請五賢從祀疏)〉는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조광조(趙光祖), 이언적(李彦迪), 이황(李滉) 등 5현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청원하는 상소이다. 권3은 서(書), 고유문, 제문, 책(策), 논(論), 묘지명, 행록이다. 권4는 부록(附錄)으로, 만사(附錄), 제문(祭文), 묘갈명(墓碣銘)이다. 권말에 7대손 정지정(鄭之貞)이 1835년에 지은 후지(後識)와 유형진(柳衡鎭)이 1860년에 지은 발(跋)이 있다.
查看详细释放
-
○ 本集은 松塢 鄭佺(1569:宣祖2 ~ 1639:仁祖17)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7代孫 之貞이 1835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한 稿本을, 6代孫 來儉과 8代孫 東逵ㆍ雲逵 등이 著者의 6代孫 來成의 思軒集과 함께 1860年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4卷 2冊으로 總 119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古3428-602)으로서 半葉은 10行 18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19.7×17.1(cm)이다.
○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成百曉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关文集
文集名 | 著者 | 出版年 | 著作时代 | DB |
---|---|---|---|---|
송오선생문집(松塢先生文集) | 정전(鄭佺) | - | 조선시대 중기 | 韩国历代文集DB |
석병집(石屛集) | 이회보(李回寶) | 1913 | 조선시대 후기 | 韩国文集丛刊DB |
우천집(愚川集) | 정칙(鄭侙) | 1833 | 조선시대 중기 | 韩国文集丛刊DB |
갈암집(葛庵集) | 이현일(李玄逸) | 1909 | 조선시대 후기 | 韩国文集丛刊DB |
석문집(石門集) | 정영방(鄭榮邦) | 1821 | 조선시대 중기 | 韩国文集丛刊DB |
석계집(石溪集) | 이시명(李時明) | - | 조선시대 후기 | 韩国文集丛刊DB |
记事
要看原文,请双击目次。
|
按风格过滤文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