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北遺稿 目录
水北遺稿
수북유고
-
-
|
|
金光炫
김광현
|
|
1805 | |
|
解题及凡例
조선 시대 수북(水北) 김광현(金光炫, 1584~1647)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6대손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희순(羲淳)이 고본(稿本)을 바탕으로 교감(校勘)ㆍ산정(刪定)하고 연보(年譜)와 부록(附錄)을 합하여 1805년 대구(大丘)에서 목판(木板)으로 간행(木板)하였다. 본집은 원집(原集) 4권, 부록(附錄) 합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김희순(金羲淳)이 1805년에 지은 발문(跋文)이 있고, 총목(總目) 및 세부 목록이 실려 있다. 권1~3은 시(詩)로서 월과(月課)로 지은 시, 조천(朝天)하러 가거나 임지(任地)로 가는 지인들에게 주는 송시(送詩), 상대의 시에 차운(次韻)한 시, 유배지인 삼수(三水)로 출발하면서부터 사면되어 돌아올 때까지의 시, 순천 부사(順天府使) 시절의 시, 만시(挽詩) 등과 같이 가능한 한 주제별로 모아 놓은 것으로 보인다. 권4는 문(文)으로 편지, 송서(送序), 명(銘) 등이고, 부록(附錄)에는 저자가 출생한 1584년부터 신도비를 세운 1753년까지 재록(載錄)된 연보(年譜)를 비롯해 신도비명(神道碑銘), 비명후록(神道碑銘), 묘표음기(墓表陰記), 제문(祭文)이 실려 있다.
查看详细释放
-
○ 本集은 水北 金光炫(1584:宣祖17~1647:仁祖25)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6代孫 慶尙道觀察使 羲淳이 稿本을 바탕으로 校勘ㆍ刪定하고 年譜와 附錄을 합하여 1805年 大丘에서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4卷 2冊으로 總 165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奎3411)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2.9×17.3(cm)이다..
○ 本集의 標點者는 李承昌이고 監修者는 成百曉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关文集
文集名 | 著者 | 出版年 | 著作时代 | DB |
---|---|---|---|---|
청음집(淸陰集) | 김상헌(金尙憲) | 1654 | 조선시대 중기 | 韩国文集丛刊DB |
산목헌집(山木軒集) | 김희순(金羲淳) | 1833 | 조선시대 후기 | 韩国文集丛刊DB |
문곡집(文谷集) | 김수항(金壽恒) | 1699 | 조선시대 후기 | 韩国文集丛刊DB |
记事
要看原文,请双击目次。
|
按风格过滤文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