壺谷集 目录

壺谷集
호곡집
壺谷集
壺谷集
柳範休
유범휴
1900
  • 韩国文集丛刊(续)第100集
  • -
  • 한국고전번역원
  • 此文档集合是通过公共数据门户构建的服务。

解题及凡例


  • 조선 시대 호곡(壺谷) 유범휴(柳範休, 1744~1823)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차남 정문(鼎文)이 가장을 완성하지 못하고 졸한 데다 서발(序跋) 등이 없어 간행 주체나 경위를 알 수 없지만, 부록의 연보 말미 기사에 “상삼십칠년경자간행문집(上三十七年庚子刊行文集)”이라고 하여 경자년인 1900년에 간행되었음을 명기하였다. 본집은 14권 7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총목록이 있다. 권1~7은 시(詩), 서(書)이다. 권1은 스승 이상정(李象靖), 김강한(金江漢)에게 보낸 21편으로, 이상정에게는 문하에 입문한 소감을 적고 초심을 잃지 않겠다며 1772년에 보낸 것을 비롯하여 1776년에 저자를 격려하여 써 준 16자에 대한 의미를 정리하면서 평생의 지결(旨訣)로 삼겠노라 다짐한 것이 있는데, 16자 지결의 전수는 수곡파 문인들이 학봉계열의 퇴계학맥을 발전시켜 나가는 진폭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권9는 잡저(雜著)이다. 〈노심설(奴心說)〉은 마음[心]은 천군(天君)인데 천한 노예[奴]가 천군의 위에 자리 잡아 ‘노(怒)’가 되면 하늘과 땅이 뒤바뀐 형상이 되므로 항상 마음이 주재가 되어야 ‘노(怒)’를 없앨 수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查看详细释放


  • ○ 本集은 壺谷 柳範休(1744:英祖20~1823:純祖23)의 文集이다.
    ○ 本集은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1900年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14卷 7册으로 總 523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高麗大學校 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D1-A79)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19.2×17.2(cm)이다.
    ○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梁鴻烈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关文集

文集名 著者 出版年 著作时代 DB
해은유고(海隱遺稿) 강필효(姜必孝) 1895 조선시대 후기 韩国文集丛刊DB
소암집(所菴集) 이병원(李秉遠) 1904 조선시대 후기 韩国文集丛刊DB
호고와집(好古窩集) 유휘문(柳徽文) 1896 조선시대 후기 韩国文集丛刊DB
대야집(大埜集) 유건휴(柳健休) - 조선시대 후기 韩国文集丛刊DB
서산집(西山集) 김흥락(金興洛) 1907 大韩帝国 韩国文集丛刊DB


记事
要看原文,请双击目次。

文体
按风格过滤文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