農山集 目录

農山集
농산집
-
-
申得求
신득구
  • 韩国文集丛刊(续)第146集
  • -
  • 한국고전번역원
  • 此文档集合是通过公共数据门户构建的服务。

解题及凡例


  • 조선 시대 농산(農山) 신득구(申得求, 1850~1900)의 문집이다. 저자의 사후에 문인 장진학(張鎭學) 등이 가장초고(家藏草稿)를 12권 5책으로 초출(抄出)하여 1917년 봄에 고흥 지역의 문중에서 인행(印行)하였다. 본집은 12권 5책으로 되어 있다. 각 권별로 목록(目錄)이 있다. 권2~4는 서(書)이다. 편지는 임헌회(任憲晦), 신좌모(申佐模), 신응조(申應朝), 송근수(宋近洙) 등 87인에게 보낸 것으로 인물에 따라 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권5는 잡저(雜著)이다. 〈우필(偶筆)〉은 1899년 복제에 관하여 전거를 들어 ‘우임활수(右袵闊袖)’와 ‘좌임착수(左袵窄袖)’를 비교하여 지은 것이다. 권말에 〈오성각거일언도(五聖各擧一言圖)〉, 〈중용도(中庸圖)〉, 〈맹자호연지도(孟子浩然之圖)〉, 〈사물잠도(四勿箴圖)〉가 실려 있다. 권12는 가장(家狀), 유사(遺事), 전(傳)이다. 가장은 부친 제모(濟模), 모친 여산 송씨(礪山宋氏), 종백부 희모(曦模)에 대한 것이고, 유사는 종조 세록에 대한 것이며, 전(傳)은 신여량(申汝樑), 신정빈(申正彬)과 신직구(申直求), 조석윤(曺錫胤), 한사검(韓思儉) 등에 대한 것이다.

    查看详细释放


  • ○ 本集은 農山 申得求(1850:哲宗1~1900:高宗37)의 文集이다.
    ○ 本集은 20世紀 初에 活字로 印行된 初刊本으로 그 印行經緯는 分明하지 않다.
    ○ 分量은 12卷 5册으로 總 400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成均館大學校 尊經閣藏本(圖書番號:D3B-0210a)으로서 半葉은 10行 22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4.3 X 17.8(cm)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卷3의 第20板은 卷次가 漏落되어 있고, 卷5의 第22板은 板次가 「二十三」으로, 第24板은 板次가 「二十五」로, 卷10目錄의 卷首題ㆍ卷尾題와 第1板은 卷次가 「十一」로, 卷12의 第30板은 板次가 「三十三」으로 誤記되어 있다. 그리고 卷2의 第11ㆍ13板과 卷10의 第2板은 狀態가 不良하여 同一本인 延世大學校 學術情報院藏本(圖書番號:811.98/신득구/농-목)으로 補充하였다.
    ○ 本集의 標點者는 吳圭根이고 監修者는 趙昌來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关文集

文集名 著者 出版年 著作时代 DB
没有相关文集。


记事
要看原文,请双击目次。

文体
按风格过滤文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