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영철2011한 국가의 형사법체계는 국민적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국민의 법감정에 충실한 법체계이어야 한다. 이러한 국민의 법감정은 국가의 역사와 전통 그리고 고유의 문화에서 나오는 것이다. 국권을 빼앗긴 일제 강점기와 美군정기 등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해 형사법체계 형성과정에서 다른 국가의 사법체계가 일방적으로 수용되었다. 수용 이후에도 다른 국가의 법률과 법학 연구에만 치중해 오면서 우리 민족 고유의 형사법...
-
정민2010동아시아 문화연구이 글은 다산 정약용(1762~1836)의 여러 글을 통해 이상적인 주거에 관한 그의 생각을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18, 19세기 조선에서는 이상적 주거공간 구성에 관한 논의가 유행처럼 번졌다. 삶의 질을 높이려는 웰빙 추구의 한 흐름이었다. 문인 학자의 주거공간과 그 주변은 어떻게 구성해야 좋을까? 다산은 이상주거에 대한 자신의 구상을 여러 글에서 반복적으로 피력했다. 그는 서울의 좁은 ...
-
이문영2009다산이 살았던 조선 후기는 정치적·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폐해 등으로 일대 전환이 요청되는 시기였다. 그러나 지배 권력층은 이러한 모순과 병리의 사회 현상을 제거시킬 수 있는 근본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해결하려는 의욕조차 가지고 있지 않았다. 성...
-
방인2008哲學硏究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조선(朝蘇) 후기(後期)의 실학사상가(實學思想家)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도가역학(道家易學)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왕필(王弼)은 도가역(道家易) 계열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로서, 한대고문경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한대상수학의 방법론을 부정한 사상가이다. 왕필역학은 진(晉)의 한강백(韓康伯)에게로 계승되고 있으며, 당(唐...
-
김영우2007泰東古典硏究실학은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의 학문이었지만 다른 한편 새로운 사회와 가치에 대한 탐구의 학문이기도 하였다. 정약용의 경학사상은 성리학과 대비되어 그 실천적 성격이 강조되기도 하고 현실 개혁과 관련하여 그 역동적 성격이 강조되기도 한다. 특히 다산의 역학은 변화와 변동이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개혁 사상과 연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논의되기도 한다. 그러나 다산 역학에서 변화와 변동...
-
유권종2003退溪學과 韓國文化본 연구는 퇴계학이 기호지역에 전개되면서 학문적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하는 사실을 퇴계와 다산의 학문 사이의 유사성과 연관성을 통해서 설명한 것이다. 특히 심성수양과 관련된 분야에서 퇴계에 대한 다산의 학문적 태도를 중심으로 점검하면서, 다산에 의해서 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