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론권력장과 전쟁의 가촉화(可觸化)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29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식민지 조선에서도 전쟁은 본격화되었다. 그래서 이 시기에 창작된 소설들에서는 전쟁을 이전보다 높은 빈도와 강도로 다루었다. 본고에서는 신문사와 기자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식민지 조선에서도 전쟁은 본격화되었다. 그래서 이 시기에 창작된 소설들에서는 전쟁을 이전보다 높은 빈도와 강도로 다루었다. 본고에서는 신문사와 기자들, 그리고 언론보도가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언론권력장’의 양상을 한설야와 김남천의 소설 중 신문사를 공간적 배경으로 하고, 기자들이 주요인물로 등장하는 소설들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이 작품들은 식민지 말기에 신문사가 사주(社主)의 명예욕으로 인해 사회적 공기(公器)로서의 성격을 잃고 사유화되어 가는 모습과 자신의 안위만을 위하는 기자와 소신을 지켜서 기사를 완성해내는 기자를 대비적으로 재현해낸다. 또한 라디오와 신문의 전시보도뿐 아니라 방공연습에 사용되는 호외 등을 통해서 조선인들에게 전쟁을 가촉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조선인들은 식민권력이 전쟁에 대한 가촉화 전략을 강화할수록 자조를 기반으로 하는 정치적 내면을 형성해 나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war is allowed to be full-scale according to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novels in this period begin to be appeared the main agents of having the political inside. Especially in the works of having spatial background as a...

      As the war is allowed to be full-scale according to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novels in this period begin to be appeared the main agents of having the political inside. Especially in the works of having spatial background as a newspaper company among novels by Han Seol-Ya and Kim Nam-Cheon and of being appeared journalists as the main character, the image of power field surrounding the press and the interested and snobbish images of journalists who are active inside it are revived. Some figures of a newspaper company use newspaper, which is social public instrument, for their desire by using privilege as saying that a newspaper company can monopolize current-event information. And these people who came to have power through this work perform speech by using the appropriateness-based rhetoric with containing the contents of cooperating with the present situation. A reason that these journalists appear is related to a strategy of colonial power for making it recognized that Joseon people are at war. The colonial power aimed to proceed with efficiently implementing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in Joseon by controlling the press and making the war palpa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전쟁의 전면화와 언론권력장
      • 2. 사주(社主)의 명예욕과 공기(公器)의 변질
      • 3. 관조형 기자의 잔존과 소신형 기자들의 퇴각
      • 4. 전시보도의 재현과 사건의 취사선택
      • 국문초록
      • 1. 전쟁의 전면화와 언론권력장
      • 2. 사주(社主)의 명예욕과 공기(公器)의 변질
      • 3. 관조형 기자의 잔존과 소신형 기자들의 퇴각
      • 4. 전시보도의 재현과 사건의 취사선택
      • 5. 전쟁의 가촉화와 정치적 내면의 형성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혜림, "?사랑의 수족관?에 나타난 ‘일상성'의 의미 고찰" 민족문학사학회 25 : 243-269, 2004

      2 한수영, "한설야 장편소설 청춘기의 개작과정에 대하여" 소명출판 2000

      3 최준, "한국신문사" 일조각 1993

      4 황호덕, "천황제 국가와 증여의 신화, In 벌레와 제국" 새물결 2011

      5 홍종욱, "중일전쟁기(1937-1941) 사회주의자의 전향과 그 논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6 이현식, "정치적 상상력과 내면(內面)의 탄생 -문학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1930년대 후반 김남천의 문학-" 한국근대문학회 (24) : 427-453, 2011

      7 김혜숙,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家庭防空’ 조직과 지식 보급" 숭실사학회 (27) : 117-159, 2011

      8 임종국, "일제하의 사상탄압" 평화출판사 1985

      9 김창록, "일제강점기 언론출판법제" 한국문학연구소 (30) : 239-317, 2006

      10 崔由利, "일제 말기(1938년-45년) 「내선일체」론과 전시동원체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 최혜림, "?사랑의 수족관?에 나타난 ‘일상성'의 의미 고찰" 민족문학사학회 25 : 243-269, 2004

      2 한수영, "한설야 장편소설 청춘기의 개작과정에 대하여" 소명출판 2000

      3 최준, "한국신문사" 일조각 1993

      4 황호덕, "천황제 국가와 증여의 신화, In 벌레와 제국" 새물결 2011

      5 홍종욱, "중일전쟁기(1937-1941) 사회주의자의 전향과 그 논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6 이현식, "정치적 상상력과 내면(內面)의 탄생 -문학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1930년대 후반 김남천의 문학-" 한국근대문학회 (24) : 427-453, 2011

      7 김혜숙,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家庭防空’ 조직과 지식 보급" 숭실사학회 (27) : 117-159, 2011

      8 임종국, "일제하의 사상탄압" 평화출판사 1985

      9 김창록, "일제강점기 언론출판법제" 한국문학연구소 (30) : 239-317, 2006

      10 崔由利, "일제 말기(1938년-45년) 「내선일체」론과 전시동원체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1 박용규, "일제 말기(1937~1945)의 언론통제정책과 언론구조변동" 한국언론학회 46 (46): 6-228, 2002

      12 김남천, "일보사, In 인문평론" 11-, 1939

      13 이경훈, "이후(以後)의 풍속" 소명출판 2000

      14 이원동, "이기영의 생산소설 연구 -<동천홍>, <광산촌>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85 (85): 393-416, 2004

      15 황지영, "식민지 농촌과 다층적 권력관계 -1930년대 후반 이기영과 한설야의 농촌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53) : 407-432, 2013

      16 김혜숙, "수사학과 대중매체의 이중적 상관관계 - 「고삐 풀린 보탄」의 연설가상을 예로 한 고찰 -" 한국수사학회 (10) : 217-243, 2009

      17 서지영, "소비하는 여성들: 1920-30년대 경성과 욕망의 경제학" 한국여성학회 26 (26): 127-156, 2010

      18 한설야, "세로, In 귀향- 한설야 단편 선집Ⅱ" 태학사 1989

      19 김남천, "사랑의 수족관" 인문사 1940

      20 서영인, "만주서사와 반식민의 상상적 공동체 - 이기영, 한설야의 만주서사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46 : 323-351, 2009

      21 김철, "동화(同化) 혹은 초극(超克)- 식민지 조선에서의 근대초극론 -" 국학연구원 (146) : 201-228, 2009

      22 황지영, "김남천 소설의 국가 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3 편집부, "권두언 : 징병령 실시와 상무정신(尙武精神)" 조광 1942

      24 편집부, "권두언 : 싱가파 함락" 조광 1942

      25 편집부, "권두언 : 신체제와 吏道宣揚" 조광 1941

      26 김남천, "구름이 말하길" 조광 6-11, 1942

      27 전승주, "개작을 통한 정치성의 발현 - 한설야의 『청춘기』" 세계문학비교학회 (40) : 5-28, 2012

      28 홍순애, "近代小說의 장르分化와 演說의 미디어적 連繫性 硏究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363-388, 2009

      29 한설야, "[단행본] 청춘기" 풀빛 1989

      30 김남천, "[단행본] 대하 / 사랑의 수족관" 태학사 1988

      31 이미림, "1930년대 후반기 장편소설 일고찰 : 1937년도 발표작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5 : 1995

      32 조현일, "1930년대 후반 한설야 소설 연구-홍수삼부작, 임금연작, 청춘기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회 15 : 1996

      33 한만수, "1930년대 문인들의 검열우회 유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9) : 227-254, 2007

      34 金東煥, "1930年代 韓國 轉向小說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7

      35 원용진, "'식민지적 공공성'과 8.15 해방공간" 한국언론정보학회 47 (47): 50-7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