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지(油紙) 관련 고문헌 고찰 - 조선시대 문헌을 중심으로 - = Study on the Oiled Paper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0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지(油紙)는 선조들이 사용했던 생활필수품으로 종이에 기름을 먹인 전통적인 가공지이다. 그러나 현재 유지(油紙)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유지의 문헌사적 연구를 통해 ...

      유지(油紙)는 선조들이 사용했던 생활필수품으로 종이에 기름을 먹인 전통적인 가공지이다. 그러나 현재 유지(油紙)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유지의 문헌사적 연구를 통해 유지의 기원과 명칭, 용도, 제작기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고문헌으로 확인된 유지의 기원은 "고려도경(高麗圖經)", "고려사(高麗史)"의 내용을 통해 고려시대로 추정하였으나,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나타난 기름과 종이의 기록으로 보아 7세기경부터 유지제작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조선시대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일성록(日省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기록을 통해 유지의 명칭과 사용법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의궤류와 "탁지준절(度支準折)" 등 기타 여러 분야의 고문헌 내용을 바탕으로 절가와 용도, 제작재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선시대의 문헌 조사결과 유지는 방수, 방습, 투명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각종 생활 용품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용도와 제작과정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시대 유지 관련 문헌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전통 유지 복원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현재 남아 있는 유지 유물조사연구와 전통 유지 샘플 제작 실험, 또한 유지를 제작하고 있는 장인들에 대한 사례 조사가 병행되어 전통 유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iled paper (Yuji, 油紙) is an oil impregnated paper which was one of the daily necessities in Korea. As there has not been any accurate research on this subject,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ture from the Joseon Dynasty to study its orig...

      Oiled paper (Yuji, 油紙) is an oil impregnated paper which was one of the daily necessities in Korea. As there has not been any accurate research on this subject,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ture from the Joseon Dynasty to study its origin, nomenclature, usage and production process. Goryeodogyeong (高麗圖經) and Goryeosa (高麗史) allowed the estimation that the origin of oiled paper was the Goryeo Dynasty, but the records of oil and paper in Samguksagi (三國史記) and Nihon Shoki (日本書紀)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the production of oiled paper can be traced back to the 7th Century. The nomenclature and the usage of oiled paper in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through the Annals of Joseon Dynast (朝鮮王朝實錄), Ilseongnok (日省錄) and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while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Uigwe, 儀軌) and Takjijunjeol (度支準折) together with other literature were examined for its market value, use and materials. The literature from the Joseon Dynasty indicate that oiled paper was used for various everyday commodities with its waterproof, damp-proof and transparent properties and call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use and production process. This study studied the literature on oiled paper from the Joseon Dynasty, but the studies on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oiled paper are still needed.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 traditional oiled papers in combination with the study of oiled paper relics, the reproduction of traditional oiled paper samples, and the case study of the papermaking masters who have been producing the traditional oiled pap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철, "한지의 이해" 도서출판 한글 2012

      2 반지씽, "중국제지기술사" 광일문화사 2002

      3 김순철, "종이역사" 예진 2001

      4 이수미, "조선시대 초상화 초본"

      5 장연이, "조선시대 초상화 제작에 사용된 종이 연구 :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6 손계영, "조선시대 문서지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5

      7 박태호, "장례의 역사" 서해문집 2006

      8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동녘 2010

      9 서경, "선화봉사 완역 고려도경" 움직이는 책 1997

      10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정조국장도감의궤" 민속원 2005

      1 전철, "한지의 이해" 도서출판 한글 2012

      2 반지씽, "중국제지기술사" 광일문화사 2002

      3 김순철, "종이역사" 예진 2001

      4 이수미, "조선시대 초상화 초본"

      5 장연이, "조선시대 초상화 제작에 사용된 종이 연구 :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6 손계영, "조선시대 문서지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5

      7 박태호, "장례의 역사" 서해문집 2006

      8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동녘 2010

      9 서경, "선화봉사 완역 고려도경" 움직이는 책 1997

      10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정조국장도감의궤" 민속원 2005

      11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12 "高麗圖經"

      13 "高麗史"

      14 張智鉉, "韓國傳來 油脂類史 硏究" 修學社 1995

      15 "萬機要覽"

      16 "林園經濟志"

      17 "朝鮮王朝實錄"

      18 "日省錄"

      19 "承政院日記"

      20 "影幀模寫都監儀軌"

      21 "影幀模寫都監儀軌"

      22 "影幀模寫都監儀軌"

      23 "度支準折"

      24 "大典會通"

      25 "增補山林經濟"

      26 "三國史記"

      27 Laroque, C., "The Institute of Conservation, History and Analysis of Transparent Paper" 28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