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조선족 장편서사시에 나타난 역사적 체험의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016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중국조선족 장편서사시에 담긴 역사적 체험 양상과 특성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이주 초기 유이민적 삶과 만주지역 개척에 관한 이야기에는 19세기에 들어와 본격...

      본 논문은 중국조선족 장편서사시에 담긴 역사적 체험 양상과 특성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이주 초기 유이민적 삶과 만주지역 개척에 관한 이야기에는 19세기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이주 조선인들의 고달픈 삶과 고난의 역사가 담겨져 있다. 이는 연변 조선족들이 과거 어떠한 동기와 배경으로 이곳 만주지역에 이주해 왔는지를 우리 민족의 수난사와 개척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이주민족인 조선족의 기원과 형성과정을 드러내 주고 있다. 다음 항일무장 투쟁 및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 내용은 중국 조선족 장편서사시가 정치적 투쟁의 수단화 즉 사회주의 문학방식에 의한 당위적 장르로서 갖는 특성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준다. 만주지역에 정착한 이주 한인들이 봉건관료와 일제라는 이중의 압박과 수탈 속에서 항일의식을 고취하고 반제반봉건 타도를 외치며 항일투쟁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이 1930-40년대 만주지역의 정세 변화 속에서 상세히 그려져 있다.끝으로 조선족 장편 서사시에는 민족적 정서 표출과 공동체적 삶에 대한 갈망이 담겨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장편서사시에는 사회주의적 혁명 완성과 이상실현이라는 당위적 장르로서의 주제의식만 있는 것이 아니라 민족적 정서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적 동질감과 민족의식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과거의 역사적 체험이란 ‘있어야 할 세계’ 이전에 ‘있었던 세계’를 형성하고 재현하는 ‘집단기억’의 산물로서 이들의 작품에는 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의 고무 찬양적 내용과 함께 민족의 고유한 정서와 의식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이한 민족과 국가라는 전제 속에서 자신들의 독자성과 정체성을 지속해오고 있는 이들에게 조선족 장편서사시는 중국 내 소수민족이라는 자신들의 정치사회적 특수한 상황과 생활상을 반영하는 역사의 증거물이자 문화적 기록물로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Experience in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This paper examined three aspects of historial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in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Stories of lives and development of early migrants in Manchu...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Experience in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This paper examined three aspects of historial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in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Stories of lives and development of early migrants in Manchuria are about the history of hardship and suffering of Korean migrants start to flow in since the 19th century. It shows the origin and formation of Korean Chinese by presenting motiv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Chinese in Yanbian migrating to Manchuria. Description of anti-Japan armed struggle and association with Chinese Communist party clearly show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socialism in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Koreans who settled in Manchuria imbued themselves with anti-Japan awareness under the double oppression of bureaucracy and Japanese regime, and participated in anti-Japan struggle claiming anti-imperialism and anti-bureaucracy; the circumstance and changes in Manchuria during 1930s and 40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ieces. Lastly,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expresses the emotion of the race and wish for life as a community. It is because historial experience of the past is a product of 'mass memory' that forms and reproduces 'a world that was' instead of 'a world that should be' and reflects innate emotions and awareness of the race in the pieces. Therefore, in the premise of different race and country, Korean Chinese long epic poetry maintain its originality and identity is a significant historical evidence that reflects uniqu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and living as a minority group in China and a significant cultural reco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개요
      • 1. 머리말
      • 2. 유이민적 삶과 이주 초기 만주지역 개척
      • 3. 항일무장 투쟁 및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
      • 4. 민족적 정서 표출과 공동체적 삶의 희구
      • 국문개요
      • 1. 머리말
      • 2. 유이민적 삶과 이주 초기 만주지역 개척
      • 3. 항일무장 투쟁 및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
      • 4. 민족적 정서 표출과 공동체적 삶의 희구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현대서사시에 나타난 역사적 배경 연구」" 95 : 1986

      2 최삼룡, "「“장백산아 이야기하라”의 서정 특색」 문학예술연구 5 연변문학예술연구소" 1980

      3 윤병석, "해외동포의 원류" 집문당 1995

      4 "해외교포와 한민족 공동체," 한림대학교 민족통합연구소 151-153, 1999

      5 조성일권철, "중국조선족문학통사" 연변인민출판사 1990

      6 최우길, "중국조선족 연구" 선문대학교 출판부 2005

      7 김승찬, "중국조선족 문학의 전통과 변혁" 부산대출판부 1997

      8 김시준, "중국당대문학사" 지식산업사 1991

      9 "중국 조선족 역사 上限線 문제"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6집 : 194-195, 1998

      10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정" 재외한인학회 187-195, 2001

      1 "「한국현대서사시에 나타난 역사적 배경 연구」" 95 : 1986

      2 최삼룡, "「“장백산아 이야기하라”의 서정 특색」 문학예술연구 5 연변문학예술연구소" 1980

      3 윤병석, "해외동포의 원류" 집문당 1995

      4 "해외교포와 한민족 공동체," 한림대학교 민족통합연구소 151-153, 1999

      5 조성일권철, "중국조선족문학통사" 연변인민출판사 1990

      6 최우길, "중국조선족 연구" 선문대학교 출판부 2005

      7 김승찬, "중국조선족 문학의 전통과 변혁" 부산대출판부 1997

      8 김시준, "중국당대문학사" 지식산업사 1991

      9 "중국 조선족 역사 上限線 문제"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6집 : 194-195, 1998

      10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정" 재외한인학회 187-195, 2001

      11 "중국 조선족 문학 연구현황" 13 : -289, 1997

      12 "중국 연변의 조선족 사회구조와 변화" 서울대출판부 한상복․태환 : 1993

      13 "중국 사회주의 문화정책과 중국 조선족 시가전통의 변모 양상" 16 : 1995

      14 장세윤, "중국 동북지역 민족운동과 한국현대사" 명지사 2005

      15 "장백산아 이야기하라" 흑룡강인민출판사 1979

      16 김상철, "연변과 조선족" 백산서당 2003

      17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6

      18 "알박스 Maurice Halbwachs의 기억사회학 연구" 6집 (6집): 557-594, 1999

      19 Benedict Anderson, "상상의 공동체" 나남출판 2002

      20 Homi k. Bhabha, "문화의 위치-탈식민주의 문화이론" 소명출판 2002

      21 오세영, "문학연구방법론" 시와시학사 1991

      22 A. Hauser,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창작과비평사 1 : 1999

      23 "만무과원 설레인다" 흑룡강인민출판사 1980

      24 권기숙, "기억의 정치" 문학과지성사 2006

      25 Aleida Assmann,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5

      26 최삼룡, "격변기의 문학선택"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5

      27 "1920년대 중반 민족혁명운동의 한중연대와 의열단" 21 : -21,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1 0.80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