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장』: 문학에서 문화로  :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27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장??의 수필은 당대 다른 매체들에 비해 그 필자의 분포와 내용의 측면에서 차별화된다. 타 매체들이 문인들을 위주로 수필의 필자를 구성한데 반해 ??문장??은 문인을 포함, ...

      ??문장??의 수필은 당대 다른 매체들에 비해 그 필자의 분포와 내용의 측면에서 차별화된다. 타 매체들이 문인들을 위주로 수필의 필자를 구성한데 반해 ??문장??은 문인을 포함, 학자, 연극?영화, 미술, 음악, 언론?출판, 의료, 종교 등 다양한 계층의 전문가를 망라했던 것이다. 이것이 ??문장?? 수필의 첫 번째 특징이다. 이 같은 필자의 분포로 인해 ??문장??의 수필은 매우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다. ??문장??의 성과라 할 수 있는 조선학적 지식의 전파는 물론이고, 음악?영화?미술 등의 예술 분야, 의료?경제와 같은 비예술 분야에 이르기까지 ??문장?? 수필의 주제와 대상은 당대 문화 전반을 다루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문장?? 수필의 두 번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결국 ??문장??의 수필은 당대 문화 전반을 아우름으로써 수필을 ‘교양’의 층위로 올려놓게 된다. 이는 ??문장??이 수필을 ‘에세이’와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며, 무엇보다 문학을 통해 “문화”를 창안하고자 한 기획의 일환이라고 판단된다. 대부분의 ??문장?? 논의들은 ??문장??이 주력했던 ‘고전의 발굴과 목록화’, ‘조선학의 전파’에 주목하고 이 부분을 ??문장??의 최고 심급으로 놓고 있다. 하지만 문화 전반에 걸친 수필의 게재와 예술 및 문화 관련 기획들을 함께 놓고 고려한다면, ??문장??의 전체 기획은 ‘문학을 통한 문화의 전유 및 창안’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문장?? 소재 수필을 고찰하고 이를 “문화”의 관점에서 보고자 한 이 논문의 주장이 여기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ssays in the literary magazine ??Munjang??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agazines of the day in the distribution of the writer and contents. Writers of other magazines were mostly literary person, however, including literary person, ess...

      Essays in the literary magazine ??Munjang??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agazines of the day in the distribution of the writer and contents. Writers of other magazines were mostly literary person, however, including literary person, essay writers of ??Munjang?? were from various social stratum; academia, play, movie, fine arts, music, media, publication, medical circle, religion, etc. This is the first characteristics of essays in ??Munjang??. The distribution of writers resulted in the variety of areas covered by essays in ??Munjang??. Subjects and objects of essays in ??Munjang?? were overall culture of the day, covering not only the propagation of knowledges on Joseon Studies, the very achievement of ??Munjang?? but also music, movie, fine arts and inartistic fields such as medical circle, economy. This is the second features of essays in ??Munjang??.
      Ultimately, essays in ??Munjang?? strived to propagate knowledges on Joseon Studies on one hand, and placed essay in the ranks of 'gyo-yang' by covering cultures of the time in general. This is because ??Munjang?? recognized sooph'il(essay) as same with 'essay' and it was the part of strategy to create 'Culture' through literature. Most of discussions in ??Munjang?? paid attention to 'the discovery and cataloging of classics', 'the propagation of knowledges on Joseon Studies.' However if the publication of essays on culture in general and projects related to arts and cultures were considered together, overall project of ??Munjang?? is more close to 'the exclusive possession and creation of culture through literatu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essays in ??Munjang?? and interpret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 2. 수필의 상설화와 창작층의 확산
      • 3. 문학에서 문화로
      • 4. 결론
      • 참고문헌
      • 1. 문제제기
      • 2. 수필의 상설화와 창작층의 확산
      • 3. 문학에서 문화로
      • 4.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종연, "한국문학의 근대와 반근대-1930년대 후반기 문학의 전통주의 연구" 동국대 1992

      2 문혜윤, "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강화(講話)’로서의 『문장』" 한국근대문학회 1 (1): 41-66, 2009

      3 최재서, "조선문예연감" 인문사 1940

      4 "조광"

      5 이봉범, "잡지 『문장』의 성격과 위상" 반교어문학회 (22) : 105-137, 2007

      6 정종현, "식민지 후반기(1937~1945) 한국문학에 나타난 동양론 연구" 동국대 2005

      7 김상배, "식민지 시대의 수필문학-문장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3) : 1989

      8 장만호,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6) : 243-265, 2010

      9 김진섭, "수필의 문학적 영역" 동아일보 1939

      10 임 화, "수필론, 문학의 논리" 학예사 1940

      1 황종연, "한국문학의 근대와 반근대-1930년대 후반기 문학의 전통주의 연구" 동국대 1992

      2 문혜윤, "조선어 문학의 역사 만들기와 ‘강화(講話)’로서의 『문장』" 한국근대문학회 1 (1): 41-66, 2009

      3 최재서, "조선문예연감" 인문사 1940

      4 "조광"

      5 이봉범, "잡지 『문장』의 성격과 위상" 반교어문학회 (22) : 105-137, 2007

      6 정종현, "식민지 후반기(1937~1945) 한국문학에 나타난 동양론 연구" 동국대 2005

      7 김상배, "식민지 시대의 수필문학-문장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3) : 1989

      8 장만호,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6) : 243-265, 2010

      9 김진섭, "수필의 문학적 영역" 동아일보 1939

      10 임 화, "수필론, 문학의 논리" 학예사 1940

      11 김기림, "수필․불안․‘카톨리시즘’" (23) : 1933

      12 "삼천리"

      13 "박문"

      14 김용직, "문장과 문장파의 의식성향 고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1995

      15 이태준, "문장강화" 문장사 1941

      16 김윤식, "문장 지의 세계관, 한국근대문학사상비판" 일지사 1978

      17 "문장"

      18 김기림, "문예좌담회" 조선문학 1933

      19 차혜영, "‘조선학’과 식민지 근대의 ‘지(知)’의 제도 - 『문장』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41 : 505-533, 2005

      20 김현주, "1930년대 '수필' 개념의 구축 과정" 민족문학사학회 22 : 254-276,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6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