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朝鮮時代 甘露圖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679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東國大學校,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東國大學校 大學院 , 美術史學科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09 판사항(6)

      • DDC

        70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434 p.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鄭于澤
        권말부록: 畵記 등
        참고문헌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甘露圖는 화면의 중앙에 시식단이 놓여 있고 그 좌우에 의식을 행사는 승려, 화면 상부에는 강림하는 여래 불·보살이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감로도의 중요한 요소인 아귀는 시식단의 아래�...

      甘露圖는 화면의 중앙에 시식단이 놓여 있고 그 좌우에 의식을 행사는 승려, 화면 상부에는 강림하는 여래 불·보살이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감로도의 중요한 요소인 아귀는 시식단의 아래에 그려지며, 화면 하부에는 목을 매거나 물에 빠져 죽는 등 여러 가지 환난의 장면이 표현되어 있는 그림이다. 이러한 감로도는 수륙회 및 여러 천도의례를 위하여 제작되었다.
      수륙회는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과 餓鬼를 달래며 위로하기 위하여 불법을 강설하고 음식을 베푸는 종교의식’이다. 水陸會는 중국에서 唐代 8세기에 설행되기 시작하였으며, 宋代에 의궤들이 정리되면서 황실과 문인관료들을 중심으로 널리 설행되었다. 그리고 수륙회는 元代를 지나면서 서민들 속에까지 자리 잡았으며, 明·淸代에 이르러서는 설행을 위한 비용까지도 정해져 있을 정도로 사원재정의 큰 몫을 담당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수륙회는 고려시대 이후 국가(왕실)을 중심으로 功臣齊 및 薦度齋, 喪葬禮나 忌晨齋로서, 혹은 천재지변으로 인한 消災, 薦度, 追福, 救病을 위하여 설행되었다. 이와 같이 국행수륙재는 여러 가지 목적, 특히 죽은 이들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설행되었으며, 이러한 죽은 이를 위한 제례는 유교 중심이었던 조선사회에서 점차 민간으로도 널리 퍼져나갔다.
      감로도는 당시 빈발한 자연재해 및 재난에 죽은 이들의 천도의식으로서 이루어진 수륙회 등의 천도의례를 위하여 제작되었다. 수륙회를 충실히 재현·시각화하여 봉안된 감로도는 비용과 시간의 문제로 수륙회를 실제로 설행할 수 없었던 민중들에게 있어서는 그것을 대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숭유억불의 여러 정책으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위축되어 있던 사찰은 감로도를 통하여, 수륙회를 설행하도록 할 수도 있었을 것이며 적지 않은 수입을 얻을 수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감로도의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여래 및 보살, 아귀, 그리고 화면 하부의 선계 및 환난장면들은 모두 그 도상적 의미를 수륙회 관련 경전 및 의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중앙의 시식대와 의식승려 중 시식대는 당시의 작법을 최대한 따라 표현하고 있으며, 작법 및 의식승려들의 모습 역시 수륙회 중에 이루어지는 모습을 그대로 옮기고 있다. 특히 아귀는 인도 힌두교의 조상 숭배 의례인 śrāddha[祖靈祭]에서의 pitṛ[祖靈]가 되지 못하고 배고픔과 굶주림에 시달리는 귀신[死靈]이라는 preta의 개념을 받아들여 ‘굶주린 귀신’이라는 ‘餓鬼’로 漢譯된 것으로 보인다.
      감로도의 화면을 구성하는 도상들은 앞선 시기 작품의 것을 큰 변화 없이 受用·繼承하기도 하고, 다른 모습으로 變用되거나 새로운 모습으로 創出되기도 한다. 도상들, 특히 감로도 화면 하부의 환난 장면들이 큰 변화 없이 수용·계승 될 수 있었던 것은 도상들이 환난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환난 장면의 도상은 현실적이기 때문에 제작되던 당시의 모습을 반영하여 변용되거나 창출될 수 있었다. 즉, 사람들이 현실에서 직접 보고 경험한 모습들, 들은 모습들로 변용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놀이패의 모습’, ‘사무신녀[무당]’, ‘관아에서 이루어지는 형벌의 모습’ 등은 당시의 풍속화와 비교하여 보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또한 ‘벽련대’나 ‘뇌신-뇌우로 인하여 죽음’, 그리고 ‘전쟁장면’ 등은 판화 및 불화 도상들의 영향을 받아 변용·창출된 것이다.
      16세기 감로도는 정형화되지 않은 화면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이 시기가 조선시대 감로도의 화면구성이 정착되기 전 화면구성을 모색하는 과정이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16세기 감로도에서는 각각 염구아귀 혹은 면연아귀로서, 중생을 구원하는 성격을 지닌 아귀로서, 구제의 대상으로서 인식되어 각각의 작품에서 다른 위치와 모습으로 표현된 아귀를 확인할 수 있다.
      17세기 감로도는 16세기 감로도의 화면구성을 수용하면서도 전통적인 지장보살·관세음보살 병립도라는 구성요소를 수용하여 변용하였으며, 이후 18세기 조선시대 감로도의 전형적인 화면구성의 성립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17세기는 16세기의 화면구성과 전통을 수용·변용하여 조선시대 감로도의 화면구성이 정착되어가는 과정에 있는 시기였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는 감로도의 화면구성이 칠여래를 중심으로 1위의 인로왕보살과 병립의 지장·관세음보살의 배치로 정착된 시기이다. 반면에 18세기는 1724년에 제작된 直指寺본 등과 같은 시식단이 생략되고 화면의 중앙에 아귀를 배치하는 새로운 화면구성도 시도되었다. 따라서 18세기의 작품들을 새로운 화면구성의 구현과 정착이라는 면에서 살펴보았다.
      19세기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南陽州 興國寺본을 범본으로 하여 유사한 화면구성과 도상을 지닌 감로도가 제작화사들 간의 화연관계 등을 통하여 다수 제작되었다. 이러한 서울·경기 지역 감로도들의 화면구성과 도상 및 표현기법은 동 시기 다른 지역에서 제작된 작품들과는 차이가 있어 지역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전하는 중국의 水陸畵와의 비교를 통하여 감로도의 독자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첫 번째, 조선의 감로도와는 달리 중국의 수륙화는 130여폭이 넘는 걸개그림으로 혹은 전각의 벽을 모두 채우는 벽화로 제작되었다. 두 번째, 중국의 수륙화는 여래들을 대좌에 앉은 모습이지만 감로도는 수륙회 관련 경전 및 의궤에서 威神力을 행하는 칠여래 또는 오여래를 강림하는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감로도가 수륙회 등을 통하여 얻고자 한 목적에 부합하는 위신력을 지닌 여래들만을 선택하여 표현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세 번째, 감로도의 화면구성요소가 중국의 수륙화 및 수륙판화와 유사하여 그 영향을 받았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중국의 수륙화 및 수륙판와가 유입된 정황을 확인할 수 없어 중국 수륙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없다. 조선시대 감로도는 중국의 수륙화와 같이 수륙회 의궤 및 의식집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조선의 감로도는 구성, 화면구성요소, 형상 등에서 중국의 수륙화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즉, 이미 언급하였듯이 조선의 감로도는 현실에서 진행되는 시식의례의 장면과 함께 수륙회를 통하여 얻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위신력을 지닌 여래들을, 그리고 현실에서 겪고 있었던 환난의 장면들을 한 폭에 선택·표현하였다. 감로도가 지니고 있는 이와 같은 화면구성 및 도상은 동아시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자적인 것이라 여겨진다.
      일본에 전해진 조선전기 감로도는 수륙회 및 施餓鬼會를 설행하였거나 혹은 死者를 위한 의식으로 유명한 사찰에 소장되었다. 그리고 일본의 승려들은 감로도를 <施餓鬼圖>, <盂蘭盆經說相>, 혹은 <盂蘭盆經大曼茶羅> 등으로 불렀으며, 水陸畵로 인식하고 작품을 圖解하여 기록을 남기기도 하였다. 즉, 감로도는 일본의 승려들에게 아귀의 구제와 관련이 작품으로 인식되어 소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수용된 감로도는 일본에서 다른 불화들이 그랬던 것처럼 開帳 및 絵解き에 주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감로도와 유사한 화면구성을 보여주는 일본 江戸시대의 <熊野観心十界曼荼羅>의 성립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1. 연구성과 및 목적 1
      • 2. 연구범위와 내용 13
      • Ⅱ. 水陸會의 槪念과 甘露圖의 제작 배경 17
      • 1. 水陸會와 甘露圖의 소의경전 17
      • Ⅰ. 머리말 1
      • 1. 연구성과 및 목적 1
      • 2. 연구범위와 내용 13
      • Ⅱ. 水陸會의 槪念과 甘露圖의 제작 배경 17
      • 1. 水陸會와 甘露圖의 소의경전 17
      • 2. 水陸會의 설행 25
      • 1) 中國의 水陸會 25
      • 2) 高麗朝鮮의 水陸會 29
      • 3. 朝鮮時代甘露圖의 제작 배경과 역할 36
      • 1) 甘露圖의 제작배경 36
      • 2) 甘露圖제작의 경제적 상황 38
      • 3) 甘露圖의 기능 43
      • Ⅲ. 甘露圖의 圖像解釋 48
      • 1. 如來및 菩薩의 도상 49
      • 2. 施食壇및 儀式僧侶의 도상 62
      • 3. 餓鬼의 도상 72
      • 4. 仙界및 冥界와 患難의 도상 84
      • Ⅳ. 甘露圖구성요소의 변화 107
      • 1. 도상구성의 다양화 107
      • 1) 圖像의 受用繼承 107
      • 2) 圖像의 變容創出 113
      • 2. 施食壇과 儀式僧侶및 餓鬼의 변화 146
      • 1) 施食壇과 儀式僧侶의 변화 146
      • 2) 餓鬼像의 변화 151
      • Ⅴ. 朝鮮時代甘露圖의 양식 158
      • 1. 16세기의 甘露圖- 화면구성의 모색 158
      • 1) 화면구성의 모색 160
      • 2) 아귀 역할의 인식과 도상 165
      • 3) 표현기법 169
      • 2. 17세기의 甘露圖- 선행 양식의 수용과 변용 180
      • 3. 18세기의 甘露圖- 새로운 화면구성의 구현과 정착 188
      • 4. 19세기의 甘露圖 208
      • 1) 화면구성과 도상의 공유 208
      • 2) 지역성 218
      • Ⅵ. 朝鮮時代甘露圖의 독자성 223
      • 1. 朝鮮時代甘露圖의 독자성 223
      • 1) 중국과 일본의 水陸畵제작 상황 223
      • 2) 중국 水陸畵와의 비교 227
      • 2. 甘露圖의 日本에서의 수용 233
      • 1) 甘露圖의 일본에서의 수용 233
      • 2) 甘露圖의 일본에서의 활용 246
      • Ⅶ. 맺음말 250
      • 參考文獻 256
      • 表 目錄 273
      • 揷圖目錄 274
      • 圖版目錄 279
      • 圖 版 291
      • ABSTRACT 40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우방, 김승희, "甘露幀", 예경출판사, 1995

      2 金煐泰, "한국불교사", 경서원, 1997

      3 김용서, 안명숙, "한국복식사", 예학사, 1998

      4 조병찬, "한국시장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5 金煐泰, "韓國佛敎史槪說", 경서원, 1986

      6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曹溪宗史 근현대편",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 2001

      7 박은경, "조선 전기 불화 연구", 시공사, 2008

      8 토오도오 교순 시오이리 료오도, "차차석 역, 中國불교사", 대원정사, 1992

      9 月精寺, "月精寺 聖寶博物館 圖籙", 예경출판사, 2002

      10 聖寶文化財硏究院, "韓國의 佛畵1-41, 1996-2007.", 聖寶文化財硏究院, 1996

      1 강우방, 김승희, "甘露幀", 예경출판사, 1995

      2 金煐泰, "한국불교사", 경서원, 1997

      3 김용서, 안명숙, "한국복식사", 예학사, 1998

      4 조병찬, "한국시장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5 金煐泰, "韓國佛敎史槪說", 경서원, 1986

      6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曹溪宗史 근현대편", 대한불교 조계종 교육원, 2001

      7 박은경, "조선 전기 불화 연구", 시공사, 2008

      8 토오도오 교순 시오이리 료오도, "차차석 역, 中國불교사", 대원정사, 1992

      9 月精寺, "月精寺 聖寶博物館 圖籙", 예경출판사, 2002

      10 聖寶文化財硏究院, "韓國의 佛畵1-41, 1996-2007.", 聖寶文化財硏究院, 1996

      11 김현중, "「朝鮮時代 神衆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 위논문, 2018

      12 金惠媛, "「朝鮮後期 十王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 위논문, 2008

      13 朴隱美, "「朝鮮時代 甘露王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 학위 논문, 2009

      14 洪潤植, "「下壇幀畵」, 文化財1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1977

      15 김정희, "조선시대 지장시왕도 연구", 一志社, 1996

      16 장희정, "조선후기 불화와 화사연구", 일지사, 2003

      17 申思守, "「朝鮮後期 極樂九品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 사학위논문, 2001

      18 沈昌用, "「朝鮮後期 甘露幀畵의 硏究」",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 공 석사학위논문, 1991

      19 정승현, "「朝鮮時代 三藏菩薩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 사학위논문, 2010

      20 姜潤靜, "「甘露圖 十王圖의 圖像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1 尹宣又, "「조선후기 불화의 초본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 사학위논문, 2008

      22 沈雨晟, "男寺黨牌 硏究,동문선 문예신서 5", 東文選, 1989

      23 문용호, "「朝鮮時代 阿彌陀淨土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24 박은경, 정은우, "西日本지역 한국의 불상과 불화", 도서출판 민족문화, 2008

      25 박도화, "「朝鮮 前半期 佛經版畵의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26 金承熙, "「朝鮮後期 甘露圖의 圖像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0

      27 권보나, "「감로탱에 나타난 사당패 연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과 석사 학위논문, 2015

      28 金成勳, "韓國農村市場의 制度와 機能 硏究", 國立農業經濟硏究所, 1977

      29 유지원, "「朝鮮後期 畫師 義謙의 佛畫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30 심갑식, "「韓國佛敎 紙花莊嚴에 관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31 연제영, "「한국 水陸齋의 儀禮와 설행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 협동과정 민속학전공 박사학위논문, 2015

      32 김승희,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朝鮮時代 甘露幀 - 甘露 通度寺聖寶博物館, 2005

      33 방종주, "「朝鮮後期 甘露圖의 地獄圖像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재 학협동과정 미술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012

      34 朴正敏, "「甘露幀畵의 圖像變遷에 관한 硏究」,",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불교미술전공 석사학위논문, 2000

      35 백은정, "「知恩院 所藏 地藏十王18地獄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36 金寯根, "箕山 金寯根 조선풍속도-스왈른 수집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 교박물관, 2008

      37 洪潤植, "「引路王菩薩信仰」, 宗敎史硏究 2호", 한국종교사학회, 1973

      38 이주영, "「朝鮮 後半期 甘露王圖 演戱場面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 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39 윤혜준, "「甘露帳 風俗場面의 民畵的 要素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 화과 석사학위논문, 2010

      40 韓㳓劤, "儒敎政治와 佛敎 - 麗末鮮初 大佛敎施策 -", 一潮閣, 1993

      41 김승희, "「甘露圖의 圖像과 信仰儀禮」, 甘露幀", 藝耕, 1995

      42 유수란, "「명 청대 寶寧寺 水陸畵의 후원자와 기능」",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미술사학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43 연제영, "「甘露幀畵의 造成背景과 遷度對象의 變化」", 고려대학교 민속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2003

      44 고상현, "「고려시대 수륙재 연구」, 선문화연구 10", 선리연구원, 2011

      45 金寯根, "箕山 金寯根 조선풍속도-매양 김양선 수집본", 숭실대학교 한 국기독교박물관, 2008

      46 이재하, 홍순완, "한국의 장시 대우학술총서 인문사회과학 61", 민음사, 1992

      47 정명희, "「朝鮮時代 佛敎儀式의 三壇儀禮와 佛畵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 원 한국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48 李慶夭, "「朝鮮時代 甘露幀畵에 나타난 風俗場面 考察」", 弘益大學校 美術 史學科 碩士學位論文, 1996

      49 姜友邦, "「甘露幀의 儀式變遷과 圖像解釋」, 甘露幀", 예경, 1995

      50 고은미, "「조선시대 감로회도 하단의 전투이미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51 김승희, "「한국 불교회화의 판타지」, 미술사학보 50", 미술사학연구회, , 6, 2018

      52 鄭于澤, "「佛敎美術 서술의 用語 문제」, 美術史學 17", 한국미술사교육학 회, 2003

      53 김화미, "「甘露幀과 현행 재의식에 나타난 作法舞 硏究」", 동방대학교 대학 원 불교문예학과 불교의식 박사학위논문, 2013

      54 김지영, "「금곡당 영환작 남양주 흥국사 감로왕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 원 미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

      55 강수영, "「十王幀ㆍ甘露幀을 통한 死後世界 이미지 硏究」", 홍익대학교 대 학원 동양화과 석사학위논문, 2013

      56 민보라, "「甘露幀畵를 통해서 본 藝人 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57 김정희, "「감로도 도상의 기원과 전개」, 강좌미술사 47", 한국미술사연구 소, 2016

      58 감로도에, 김승희, "보이는 공양물의 내용과 그 의미」, 미술사학 27", 한 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59 최 엽, "「古山堂竺演의 佛畵 硏究」, 東岳美術史學 5호", 東岳美術史學會, 2004

      60 정명희, "「조선시대 불화와 의례공간」, 불교문예연구 6", 동방문화대학원 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5

      61 姜好鮮, "「宋 元代 水陸齋의 성립과 변천」, 歷史學報 206", 역사학회, 2010

      62 윤보영, "「朝鮮時代 甘露王圖 硏究 - 19 20세기를 중심으로 -」", 東國大學 校 大學院 美術史學科 석사학위논문, 2005

      63 姜友邦, "「興國寺 甘露幀의 圖像과 樣式」, 美術史學誌 1", 韓國考古美術 硏究所, 1993

      64 장희정, "「년작, 흥천사 감로왕도」, 東岳美術史學 제9호", 東岳美術史 學會, 2008, 1939

      65 정 현, "「민화 感慕如在圖의 불교적 성격」, 한국민화 6", 한국민화학회, 2015

      66 朴正原, "「朝鮮前期 水陸會圖 硏究」, 美術史學硏究 270호", 韓國美術史學 會, 2011

      67 곽민경, "「감로탱화 속 조선여인들의 머리모양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미용산업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68 심효섭, "「조선전기 水陸齋의 設行과 의례」, 동국사학 40", 동국사학회, 2004

      69 윤은희, "「화승 성징(性澄)의 불화 연구」, 강좌 미술사 26", 한국불교미술 사학회, 2006

      70 곽승범, "「조선시대 감로탱 도상에 나타난 작법무 형태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불교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71 최 엽, "「불화 畵記의 畵題 및 명칭 검토」, 미술사논단」 45", 한국미술연 구소, 2017

      72 김효정, "「18세기 「甘露幀」 연희패 등장의 다면적 의미 연구」", 한국예술종 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예술전문사논문, 2010

      73 윤선우, "「朝鮮後期 佛畵 草本 硏究」, 東岳美術史學 제12호", 東岳美術史 學會, 2011

      74 김승희, "「朝鮮時代 甘露圖의 圖像硏究」, 美術史學硏究 196", 한국미술사 학회, 1992

      75 양경애, "「朝鮮時代 甘露幀畵에 表現된 服飾 硏究」, 服飾 19", 한국복식 학회, , 11, 1992

      76 신광희, "「여수 興國寺 十六羅漢圖 연구」, 美術史學硏究 255", 한국미술 사학회, 2006

      77 박은경, "「16세기 수륙회 불화, 감로도」, 조선 전기 불화 연구", 시공사, 2008

      78 신광희, "「朝鮮前期 明宗代의 社會變動과 佛畵」, 美術史學 23", 한국미술 사교육학회, 2009

      79 鄭于澤, "「미국소재 한국불화 조사 연구」, 동악미술사학 13호", 동악미술 사학회, 2012

      80 朴正原, "「朝鮮前期 水陸會圖 硏究」, 한국 수륙재와 공연문화", 한국공연 문화학회, 2015

      81 김승희, "「조선시대 甘露圖에 대한 몇 가지 斷想-題名과 관련하여」", 경계를 넘어서-한 중 회화 국제학술 심포지엄 논문집, 국립중앙박물관, 2008

      82 황금순, "「觀音 地藏菩薩像의 來世救濟 信仰」, 미술사연구 19호", 미술사 연구회, 2005

      83 김승희, "「甘露幀畵에 나타난 人間像의 分類」, 朝鮮時代 風俗畵", 國立中 央博物館, 2002

      84 朴正原, "「初期 經典과 餓鬼 圖像에 관한 一考察」, 佛敎美術 28호", 동국 대학교박물관, 2017

      85 차영수, "「조선후기 불화에 나타난 해금 연구: 감로탱화를 중심으로」", 동 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한국음악전공 석사학위논문, 2000

      86 朴正原, "「Petavatthu를 통해 살펴본 餓鬼 개념과 圖像 성립 제24호", 東岳美術史學會, 2018

      87 전경욱, "「才僧계통의 연희자」, 민속학술자료총서 551-민속총론 12", 우 리마당 터, 2006

      88 鄭于澤, "「朝鮮王朝時代前期 宮廷畵風 佛畵의 硏究」, 美術史學 13", 미술 사학연구회, 1999

      89 김승희, "「餓鬼考-初期 漢역經典에 나타난 餓鬼-」, 韓國의 佛畵 19", 성 보문화재연구원, 1999

      90 정명희, "「조선시대 불교의식과 승려의 소임분화」, 미술사연구 31", 미술 사연구회, 2016

      91 鄭于澤, "「조선왕조시대 釋迦誕生圖像 연구」, 美術史學硏究 250 251", 韓 國美術史學會, 2006

      92 남희숙, "「16~18세기 佛敎儀式集의 간행과 佛敎大衆化」, 佛敎文化 34", 서울大學校 韓國文化硏究所, 2004

      93 유경희, "「양주 청련사 봉안 불화의 특징과 의미」, 불교문예연구 11", 동 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8

      94 박도화, "「의미와 유형으로 본 ‘變相’의 분화」, 미술사학연구 277", 한국 미술사학회, 2013

      95 林玲愛, "「朝鮮時代 甘露圖에 나타난 引路菩薩 硏究」, 講座美術史 7", 韓 國美術史硏究所, 1995

      96 이승희, "「조선후기 甘露幀의 餓鬼 圖像의 재해석」, 불교미술사학 4", 불 교미술사학회, 2006

      97 梁慶愛, "「朝鮮時代 甘露幀畵에 表現된 服飾의 類型分析과 象徵性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복식의장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988

      98 柳永淳, "「朝鮮朝 甘露幀畵에 表現된 民俗演戱服飾 硏究」, 論文集 20", 가톨릭尙志專門大學, 1990

      99 홍기용, "「中國 元 明代의 水陸法會圖에 관한 考察」, 美術史學硏究219", 한국미술사학회, 1998

      100 朴紋瑄, "「朝鮮後期 甘露王圖에 對한 考察: 構造와 表現樣式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1994

      101 문명대, "「朝鮮朝 佛畫의 양식적 특징과 변천」, 朝鮮佛畫-韓國의 美 16", 中央日報社, 1984

      102 박영숙, "「高麗時代 地藏圖像에 보이는 몇 가지 문제점」, 考古美術 157", 한국미술사학회, 1983

      103 김승희, "「19세기 감로도의 인물상에 보이는 새로운 양상」, 韓國文化 4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104 연제영, "「甘露幀畵에 나타난 追薦對象의 持續과 變化」, 역사민속학 21", 한국역사민속학회, 2005

      105 李慶夭, "「朝鮮時代 甘露幀畵 下壇畵 風俗場面 考察」, 美術史學硏究 220", 한국미술사학회, 1998

      106 유경희, "「朝鮮後期 白衣觀音壁畵의 圖像과 信仰硏究」, 美術史學硏究 26", 한국미술사학회, 2010

      107 김승희, "「모던불화의 탄생, 興天寺 甘露圖」, 麻谷寺 근대불화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2

      108 김남희, "「조선시대 감로탱화에 나타난 시간성과 공간성 표현에 관한 연 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미술 디자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109 安仙姬, "「朝鮮後期 甘露幀畵의 圖像學的 考察-18世紀 甘露幀畵를 中心으 로」", 창원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서양화전공 석사학위논문, 1997

      110 연제영, "「朝鮮時代 甘露幁畵 下段場面과 社會相의 相關性」, 韓國文化 4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111 연제영, "「甘露幀畵의 意味 考察 : 追薦 對象을 中心으로」, 역사민속학 19", 한국역사민속학회, 2004

      112 홍태한, "「수륙재 <하단>에 보이는 죽음 형상의 보편성」, 남도민속연구 24", 남도민속학회, 2012

      113 허상호, "「朝鮮後期 佛畵와 佛殿莊嚴具에 表現된 器物 研究」, 文化史學 27", 한국문화사학회, 2007

      114 柳麻理, "「朝鮮朝 甘露王圖의 硏究」, 朝鮮朝 佛畵의 硏究(2) - 지옥계불 화",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3

      115 장희정, "「조선말 극락정토계 불화의 傳承과 創意」, 東岳美術史學 제16 호", 東岳美術史學會, 2014

      116 朴正原, "「初東國大學校 博物館 소장 龜龍寺 水陸會圖 考察」, 佛敎美術 27호", 동국대학교박물관, 2016

      117 鄭于澤, "「日本 四國地域 朝鮮朝 前期 佛畵 調査 硏究」, 東岳美術史學 제9호", 東岳美術史學會,, 2008

      118 윤동환, "「감로도에 나타난 수륙재의 장엄 설단과 구성」, 남도민속연구 30집", 남도민속학회, 2015

      119 연제영, "「儀禮的 관점에서 甘露幀畵와 水陸畵의 內容 비교」, 불교학연구  16", 불교학연구회, , 4, 2007

      120 정외순, "「조선시대 감로탱화에 나타난 악기 연구: 18세기 감로탱화를 중심으 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한국음악전공 석사학위논문, 2004

      121 權泰珦, "「朝鮮朝 甘露탱화의 圖象에 關한 硏究: 慶尙北道 甘露幀畵를 中 心으로」",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전공 석사학위논문, 1999

      122 朴正原, "「조선 16세기 감로도의 위난 이미지를 통해 본 사회상」, 韓國文 化 4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123 韓正熙, "「風神雷神圖像의 起源문제와 韓國의 風神雷神圖」, 미술사연구 제 10호", 미술사연구회, 1996

      124 박은경, "「일본 소재 조선 16세기 수륙회 불화, 甘露幀」, 朝鮮時代 甘露 幀 - 甘露", 通度寺聖寶博物館, 2005

      125 朴正原, "「朝鮮前期 水陸會圖의 日本 수용과 인식에 대하여」,東岳美術史 學 제23호", 東岳美術史學會, 2018

      126 이경진, "「조선 시대 불교계 연희집단과 유랑연희패의 관계 양상」, 泮橋 語文硏究 35", 반교어문학회, 2013

      127 姜好鮮, "「고려시대 水陸齋의 전개와 공민왕대 國行水陸齋 설행의 의미」, 불교연구 38", 한국불교연구원, 2013

      128 鄭于澤, "「日本 아이치현(愛知縣)지역 조선시대 전기 불화의 조사 연구」, 미술사논단 33", 한국미술연구소, 2011

      129 김아름, "「관음 지장병립 도상의 연원과 당 송대의 관음 지장병립상」, 강 좌미술사 45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5

      130 한정미, "「佛敎儀禮舞의 淵源과 甘露幀畵에 나타난 作法舞 고찰」, 동아시 아불교문화 27",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131 法 藏, "「떠돌이 놀이패와 寺刹과의 關係考察 - 특히 男寺黨牌를 中心으 로」, 修多羅 10", 해인사승가대학, 1995

      132 양숙향, 이태호, 이경화, "「조선시대 감로탱화 풍속장면의 복식 연구」, 한 국의류산업학회지 제5권 제5호", 한국의류산업학회, 2003

      133 윤은희, "「甘露王圖 圖像의 形成 문제와 16,17세기 甘露王圖 硏究-水陸齋 儀軌集과 관련하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 문, 2003

      134 강소연, "「‘大乘菩薩’로서 ‘餓鬼’의 造形的 表現과 象徵」, 원불교사상과 종 교문화 67",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135 김승희, "「宇鶴文化財團 所藏 甘露幀畵-圖像의 意味와 畵面 構成을 중심 으로-」, 丹豪文化硏究 제5권", 龍仁大學校 傳統文化硏究所, 2001

      136 이 욱, "「朝鮮前期 寃魂을 위한 祭祀의 변화와 그 의미 - 水陸齋와 여제 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3",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01

      137 정명희, "「朝鮮時代 主佛殿의 불화 배치와 기능 - 三壇의 형성과 불화 봉 안을 중심으로」, 美術史學硏究 288", 한국미술사학회, 2015

      138 김진영, "「힌두 죽음의례의 신성화 구조와 그 기능-베다 텍스트의 슈라다 (śrāddha)제를 중심으로」 19호, 남아시아연구", 한국외국어대학 교 인도연구소, 2014

      139 이태진, "「조선 중기의 자연 대재난과 사상, 종교계의 동향」, 위대한 변 혁기, 17세기 미술 - 인조에서 숙종까지의 미술-", 제 16회 한국미 술사연구소 학술대회,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