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7세기 藝文館의 翰薦制 運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9050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國民大學校,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國民大學校 大學院 , 國史學科 , 2010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11.056 판사항(5)

      • DDC

        951.902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48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43-4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in the 17th century Joseon Dynasty's arts(藝文館) Hallim(翰林) of the starter when Hancheonje(翰薦制) what used to be the maintenance, operation and whether it actually looked. And through Hancheonje chosen by analyzing the compo...

      This paper is in the 17th century Joseon Dynasty's arts(藝文館) Hallim(翰林) of the starter when Hancheonje(翰薦制) what used to be the maintenance, operation and whether it actually looked. And through Hancheonje chosen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Compilation of History(史官) and look at their characteristics, qualifications requirements. For this paper, 《Annals of the Chosun Dynasty(朝鮮王朝實錄)》 including the Chronicle to them with various Gwanan(官案) were used.
      The record of the Compilation of History is beyond the daily record. It is ideology of nation or the public opinion(公論) understanding and will also closely related. That is decided right or wrong, through the record of the Compilation of History, and This is a great role for the direction of he public opinion. So, the political works through of the he public opinion is core of the political operating, in 17th century the importance of the role Compilation of History can be high.
      For now no one knows clearly what Hancheonje trace the origin, but it was record of since early Joseon Period, and the article in early King Taejong period has been mentioned about the Hallim's Jacheonje(自薦制, Recommended replacement is). But, Hancheonje was changing often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This appearance is gradually modified in the late King Seongjong period, but in king Kwanghaegun period, their power to advance the use of Hancheonje. After king Injo period, Sarim Politics(士林 政治) is earnest and Hancheonje were actively operating.
      Hancheonje operating process can be divided broadly into two phases. First, who is recommended become a new candidates. And to verify the qualifications of those candidates would be confirmed the Recommended steps. Second, trying to verify a candidate's ability is Test steps. And recommended steps here again can be divided into three steps. The discussion for recommended is first step. and check the Recommended list who receive the predecessor is second step. Then Finalized the list for the ceremony is final step.
      The terms for joining one of these procedures is the Civil Examination(科擧), and next is Family(家門). That analysis of the target people in The 《Hancheonrok(翰薦錄, Hallim Recommended list)》 with Civil Examination, their's record and Family clan data. As a result, the people of Extraordinary Exams(別試) a lot. It means that the people of Seoul and near-term local is beneficial. Then People of Sanjikin(散職, Prestige Title) are accounted for half. That means their the ancestors is Meritorious statesmen(功臣), in the past, or Children of high officials.
      An analysis of each character's Family clan, at the same time, many people is recommended in one's family. It is figure, that time, the status of the family may be higher. It was the ancestors who have high political influence The background of their In other words, recommended to the Hallim, must pass a difficult several procedures
      In addition, can search for nominee's party. It can be said to reflect that political situation of the 17th centu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nominee's party, Seoin(西人) is overwhelmingly occupies much. After The Injo-banjeong(仁祖反正 The In-jo Restoration), the Bukin(北人) is almost disappearing. So, except that, Compared with the Seoin and the Namin(南人), Seoin is the ratio of two times over. Because, it is that Seoin has political control by Injo-banjeong and Seoin is at the center of the political situation.
      Such a Hancheonje's procedure is can not only see their unique simple procedure They are representative group of the the public opinion, and they was selected by the public opinion. It is for all the discussion for the public opinion and give the power to empower that Recommended for discussion, or check the Recommended list, and Finalized ceremony
      However, in the 18th century, can no longer be called Hancheon system disappeare, and Hallim's selection was arranged by more than first of the third grade(堂上官). This means that the sound turned against the king in the center from Sarim and the press(言論), the public opinion was the center of the political situation. So, typical of Sarim politics in the 17th century, seemed to Hancheonje has been actively operating. Considering these aspects, to observe Arts's Hancheonje of the 17th century is meaning of approaching to the actual 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17세기 藝文館의 專任史官인 翰林들을 선발 할 때 이용되는 翰薦制가 어떻게 정비되고, 운영되었는지 그 실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천제를 통해 배출된 사관들의 성분을 ...

      본 논문에서는 17세기 藝文館의 專任史官인 翰林들을 선발 할 때 이용되는 翰薦制가 어떻게 정비되고, 운영되었는지 그 실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천제를 통해 배출된 사관들의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특성과, 翰林의 자격 요건을 보았다. 이를 위해 《朝鮮王朝實錄》을 비롯한 연대기 자료와 더불어 각종 관안이나 관서지를 이용하였다.
      사관의 기록은 일상의 기록차원을 넘어 公論 혹은 國是의 이해와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史官의 기록을 통해서 是非가 결정되고 이것이 公論의 향배에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조선 정치사에서 公論을 통한 정국운영방식이 정치 운영의 핵심이었던 17세기에 史官의 역할은 중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천제가 어디에서 연원한 것인지 현재로써는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朝鮮朝 초기부터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 太宗朝 초기 기사에서도 翰林의 自薦制에 대해서 언급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 당시에도 시행되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한천제는 정국 상황 등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成宗代 후반에 가면서 점차 정비 되었다가, 光海君代에 李爾瞻주도의 정국에서 自派세력의 진출에 한천제가 활용되는 등 파행적인 운영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仁祖代 이후 士林政治가 본격화되면서 한천제가 활발하게 운용되었다.
      翰薦制의 운영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새로 천거가 되고, 그 후보자들의 자질을 검증받는 薦擧단계를 들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렇게 추천을 거친 인물의 능력을 검증해보는 取才단계로 볼 수 있다. 여기서 薦擧단계는 다시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어떤 사람을 薦擧할 것인가 논의하는 단계가 있고, 그 다음으로는 전임자들에게 천거명단을 확인 받는 回薦단계,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결정된 명단을 가지고 焚香을 하는 단계가 있다.
      이러한 절차의 翰薦에 들기 위한 1차적인 조건이 科擧이고, 그 다음 조건이 바로 가문이다. 《翰薦錄》에 수록된 인물들을 대상으로 科擧와 前歷, 本貫등을 분석해본 결과, 그들은 서울 근기 지방의 인물들에게 유리한 別試출신이 많았고, 과거에 功臣으로 책봉된 조상이 있거나, 고위 관료의 자제를 의미하는 散職이나 蔭職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절반을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
      각 인물의 本貫을 분석해 보면 한 가문에서 비슷한 시기에 史官이 여러 명 薦擧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당시 그 가문의 위상이 높았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 배경에는 先代의 인물 중에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높았던 사람이 있음이 확인된다. 즉 翰林이 천거되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그것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천거되는 인물의 됨됨이와 가문의 배경이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被薦者들의 黨色을 살필 수 있다. 이는 17세기의 정치적인 상황을 단적으로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피천자들의 당색을 분석해 본 결과 西人이 압도적으로 많이 차지함을 알 수 있다. 仁祖反正이후 거의 사라지는 北人을 제외하고, 南人과 비교해 보더라도 2배가 넘는 비율을 차지한다. 이는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정국을 장악하면서 서인 중심으로 정국이 흘러갔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翰薦制의 절차는 단순히 翰林들의 독특한 절차로만 볼 수 없다. 이들은 17세기에 公論을 대표하는 집단으로 볼 수 있으며, 그 公論에 의해서 선발된다고 할 수 있다. 新薦을 논의하는 모습이나 回薦을 하는 모습, 焚香을 하는 과정들은 모두 公論을 위해 논의하고 거기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한천제는 18세기로 넘어가면 더 이상 翰薦이라고 불릴 수 있는 제도가 사라지게 되고, 이제 한림의 임용은 翰林들의 것이 아닌, 당상관 이상이 주관하게 되었다. 이는 사림과 언론, 공론이 중심이었던 정계에서 국왕중심의 정계로 돌아섰음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림정치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였던 17세기에 翰薦制가 활발하게 운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할 때 17세기 藝文館 翰林들의 翰薦制를 살피는 것은 그 운영의 실제에 접근하는 데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머리말
      • 2. 17세기 翰薦制의 實際
      • 1) 薦擧 단계
      • 2) 取才 단계
      • 국문 요약
      • 1. 머리말
      • 2. 17세기 翰薦制의 實際
      • 1) 薦擧 단계
      • 2) 取才 단계
      • 3. 被薦者의 性分 分析
      • 1) 被薦者와 科擧
      • 2) 被薦者의 出身家門과 黨色
      • 4. 맺음말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