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오타니(大谷) 컬렉션의 석굴 벽화 연구 = A Study on Otani Collection’s Mural Paintings of the Cave Temple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38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tani Collection is a collection of art Ōtani Kōzui(大谷光瑞, 1876~1948), a Japanese monk, gathered in Central Asia, currently known as Xinjiang Uyghur region in China. Of the entire collection, this paper will be focusing on the cave murals. Mo...

      Otani Collection is a collection of art Ōtani Kōzui(大谷光瑞, 1876~1948), a Japanese monk, gathered in Central Asia, currently known as Xinjiang Uyghur region in China. Of the entire collection, this paper will be focusing on the cave murals. Most of the cave murals in Korea are part of the Otani Collection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paper will talk about the organizations of cave temple murals and its origins in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n the iconography and characteristics.
      Chapter II includes Otani expedition party’s exploration process and how the collection ended up in Korea. For 12 years, starting in 1902, Otani went on three research expeditions (1902~1904(1st), 1908~1909(2nd), 1910~1914(3rd)) to the Silk Road historical sites in Central Asia. During his expeditions, he collected man Buddhist cave murals including Bezeklik(伯孜克里克), Kizil(克 孜爾), Yarhoto(雅爾湖), Kumtura(庫木吐拉), Miran(米蘭). In 1916, Otani settled down in Korea, and that is when his collection was exhibited in Su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景福宮 修政殿).
      Chapter III includes research on the cave temples where Otani expedited in order to find the origins of Otani Collection, especially ones that were abstracted from Bezeklik cave.
      Chapter IV categorizes and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Otani Collection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or this process, research materials had to be restricted. The research materials by the senior scholar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Sinseoyeokgi (新西域記, New Record of the Western Regions)(1937), the Otani expedition journal, and the Seoyeokgogodobo (西域考古圖譜)』(1915), the first catalog of his collection, were selected. In the existing papers on Central Asian art, uses different names and numbers for cave temples, but this paper organized and used consistent numbers of cave temple in present-day. In order to assess the main artifacts and the ownership status, the chapter compares the old expedition records with currently owned murals, and comparing 유리건판 cre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ith the fragment of the murals stor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in the process, the paper confirms that most of the artifacts recorded in Seoyeokgogodobo(西域考古圖譜), Archaeological Research in Chinese Turkestan Album of the Excavated Objects)(1915) and Sinseoyeokgi(新西域記, New Record of the Western Regions), which are the most accurate records of Otani Collection murals, were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appendix of Sinseoyeokgi (新西域記, New Record of the Western Regions)(1937) includes the list of artifacts stored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useum(朝鮮總督府博物館). There were 60 murals on the list, and this is the same amount of Otani Collection murals stor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tells that the Otani Collection murals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Museum were all moved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murals are stored as fragments, so to understand the origins of the murals, we need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original mural the fragments were abstracted. And to do so, Kumagai Nobuo(熊谷宣夫)’s comments were used as reference. Kumagai Nobuo used to work at the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during that time, he observed the murals in person. Early 20th century, England, Germany and France, that investigated and collected artifacts in Central Asia, actively communicated and exchanged information, and Otani’s party was influenced by them. That is why in order to complement the lack of information on Otani’s expedition, the paper includes the expedition journals of German Albert Grünwedel, British Aurel Stein, French Albert von LeCoq as reference. The chapter categorizes the mural fragments that were confirmed to be abstracted from Bezeklik(伯孜克里克), Kizil(克 孜爾), Yarhoto(雅爾湖), Kumtura(庫木吐拉), Miran(米蘭), as well as determining the Stylistic Features.
      Most research thus far on Otani Collection was focused on the chronicles and excavation points. However, this paper attempts to disclose the background and the proceedings of Otani expeditions, in addition to current conditions and details of arrival in Korea from an art history point of view.
      Otani Collection is dispersed throughout the world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This is what make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ving the ownership of catalog and report of Otani expedition collection so interesting and valuable. Acknowledging that the size and the amount is less than that of the British Stein Collection is or the German Grünwedel, Le Coq Collections, however it is specially in its own way that the expedition was carried out by monks, instead of archeologists with government support.
      Most of Otani Collection was from Bezeklik 15th Cave, and the restoration research based on this collection was from the same cave as well. Recently, the Ryukoku Museum, in Ryukoku University, Japan, have been actively researching Otani Collections, and isutilizing various restoration technology in order to exhibit virtual images and appeal to the public. Additionally, the German Museum für Asiatische Kunst, who owns Grünwedel and LeCoq Collections, and the National Museum of New Delhi, India, are introducing the excellence and legitimacy of the Silk Road expedition to the public through exhibitions, lectures and other educational program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o owns as much of Otani Collection as Japan, is also investigating the Silk Road. This is there as on why Otani Collection is disclosed as academic materials, and only a small portion is exhibited to the public. Even though the Otani Collec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ifacts of Central Asia cave temple murals, the value is not recognized by the people due to the difficulty of preservation process. This is why there needs to be research done solely on the Otani Collection.
      Although Central Asian murals are only a fragment of the intercultural aspect and religion, it is evidence of how the stone cave temples were reflected at the time. The murals are also affected by the dominant religion in the region when cave temples were restored. The murals that were abstracted by the expedition parties (from England, Germany, Russia, Japan and others) are now dispersed through the world. Under the circumstance, Otani Collection is an essential part to restore the historical value of the murals that are damaged and scattered.
      Early 20th century, there many countries, such as England, Germany and France, that investigated and collected artifacts in Central Asia. They were very active in communicating and sharing information amongst each other, and Otani expedition party may have been part of this circle. And in order to complement the lack of information on Otani’s expedition, the paper includes information on other explorers who were active during the same period.
      Currently most art pieces from Central Asia, including Turpan(吐魯番), is damaged or destroyed. The continuation of Central Asian art research will legitimize the ownership of the collections, and will further assist any Central Asian art research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타니(大谷) 컬렉션은 일본의 승려 오타니 고즈이(大谷光瑞, 1876~1948)가 중앙아시아, 지금의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일대에서 수집한 것들이다. 그 중 본 논문에서는 중...

      오타니(大谷) 컬렉션은 일본의 승려 오타니 고즈이(大谷光瑞, 1876~1948)가 중앙아시아, 지금의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일대에서 수집한 것들이다. 그 중 본 논문에서는 중앙아시아 벽화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현재 국내에서 소장하고 있는 중앙아시아 벽화 대부분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오타니 컬렉션에 해당한다. 본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오타니 컬렉션 석굴사원 벽화를 정리하여 그 유래를 밝히고, 도상 및 특징을 살펴본 연구이다.
      유럽 열강들과 아시아인들이 각 나라의 목적에 따라 시도한 중앙아시아 탐험사를 흥미롭게 본 것을 계기로, 아시아 중에서는 가장 처음으로 중앙아시아 탐험을 시도한 일본의 오타니 탐험대의 탐험사를 조명하였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오타니 컬렉션 석굴벽화를 다루기에 앞서 오타니 탐험대의 탐사과정 및 국내소장 경위를 정리하였다. 오타니는 1902년부터 12년간 3차례(1902~1904(1차), 1908~1909(2차), 1910~1914(3차))에 걸쳐 연구를 목적으로 중앙아시아 실크로드 유적지 일대를 탐사하였다. 그 과정에서 베제클리크(伯孜克里克, Bezeklik), 키질(克孜爾, Kizil), 야르호(雅爾湖, Yarhoto), 쿰트라(庫木吐拉, Kumtura), 미란(米蘭, Miran)사원 등의 불교 석굴사원에서 벽화를 수집했다. 그리고 1916년에 한국에 정착한 오타니 컬렉션 벽화 일부가 경복궁 내 수정전에 전시되면서 국내에 공개되었다.
      세 차례의 탐험과정을 통해 들여온 오타니 컬렉션의 석굴벽화는 현재 일본과 한국에 소장되어있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국내 소장 오타니 컬렉션 벽화 단편들의 유래를 살펴보고 각 벽화 단편들의 도상을 분류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과정에서 각 단편들이 수집된 석굴들의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중앙아시아 종교벽화의 현황을 전체 수량, 지역별 분포, 출토 유적과 주제 측면에서 논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연구했던 선학들의 연구 자료를 비롯하여 오타니 탐험대의 일기를 엮은 『신서역기(新西域記)』(1937)와 그들의 수집품을 담은 최초의 도록인 『서역고고도보(西域考古圖譜)』(1915)를 통해 주요벽화를 선정하였다. 기존 중앙아시아 회화 연구에서도 학자들 간 석굴 편호를 다르게 부르는 등 명칭이 상이한 경우가 있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현)석굴 사원의 석굴 편호를 따라 어느 정도 통일성 있게 컬렉션을 정리하였다. 더불어 (구)보고서와 현재의 소장벽화 현황을 비교하고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는 유리건판과 현재의 벽화 단편들의 모습을 비교하여 과거와 현재 주요 유물과 소장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과정에서 오타니 컬렉션 벽화를 가장 정확하게 담고 있는 주요 자료인 『서역고고도보』(1915)와 『신서역기』(1937)에 담긴 유물 대다수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신서역기』(1937) 부록에 조선총독부박물관 소장 유물목록이 실려 있는데, 그 중 벽화 유물만을 추려보면 총60점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오타니 컬렉션 벽화 수량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오타니 컬렉션 벽화가 니라쿠소를 거쳐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그대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동해 왔음을 말해준다.
      현재 남아있는 벽화들은 단편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유래를 알기 위해서는 그러한 단편들이 절취되었던 본래의 벽화 내용을 추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조선총독부 박물관에 근무하면서 한국 소장 중앙아시아 유물들을 실견한 바 있는 구마가이 노부오(熊谷宣夫)의 의견을 참고하였다. 20세기 초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조사와 유물 수집 활동을 했던 영국, 독일, 프랑스를 비롯한 각국의 인물들은 서로의 활동에 관심을 갖고 정보를 주고받았으며 오타니 탐험대도 이들의 영향을 받았다. 그 당시 서구 열강들의 중앙아시아 탐험 내용이 담긴 독일의 앨버트 그륀베델(Albert Grünwedel), 영국의 오렐 스타인(Aurel Stein), 프랑스의 앨버트 본 르코크(Albert von Le Coq) 등의 보고서를 비교자료로 활용하여 탐험보고서가 제대로 발간되지 않은 오타니 탐험대 자료를 보완할 수 있었다. 특히 과반수를 차지하는 베제클리크 석굴에서 수집된 서원화(誓願畵)를 중심으로, 키질, 야르호, 쿰트라 석굴, 미란 사원이 출토지로 판명된 벽화 단편들의 도상을 분류하고, 양식적 특징을 밝혔다. 오타니 컬렉션 석굴벽화 대부분은 경전적 내용을 도해한 것이며, 본존불 보다는 본존불을 외호하는 공양자상들이 많은데, 그 표현기법에 있어서도 부처나 보살 등에 나타나는 기법과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오타니 컬렉션 벽화는 한국, 중국, 일본 등 각국으로 흩어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타니 탐험대 소장품을 담은 초기 도록 및 보고서에 공개된 주요유물이 한국의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는 점은 흥미로운 사실이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오타니 컬렉션이 갖고 있는 가치이다. 물론 영국의 스타인 컬렉션(Stein Collection)이나 독일탐험대(Grünwedel, Le Coq)등 유럽의 타 컬렉션들에 비해서는 그 규모와 수량 면에서는 적다. 하지만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국가의 공식적인 지원 없이 불교 동점의 목적으로 고고학자가 아닌 승려들을 이끌고 탐험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분명한 특이점과 의의가 있다.
      중앙아시아 벽화들은 단편이긴 하지만, 그 당시 중앙아시아 문화교류양상과 종교가 석굴벽화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그밖에도 중앙아시아 벽화들은 석굴사원이 중수되었을 시기에 성행했던 종교 및 발원자의 성격에 영향을 받는다. 영국, 독일, 러시아, 일본 등의 탐험대들에 의해 동일한 지역, 동일한 석굴에서 절취된 벽화들이 전 세계적으로 흩어져 있다. 이렇게 흩어져있는 벽화들의 퍼즐을 맞추어 지금은 훼손되어 현지에서도 그 가치를 알아보기 힘든 벽화들의 미술사적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데 있어서 오타니 컬렉션 또한 꼭 필요한 존재이다.
      그동안의 오타니 컬렉션 벽화 연구는 편년과 발굴지를 추정하는 등의 고고학적인 관점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오타니 컬렉션의 탐사 배경 및 과정을 밝히고, 국내 소장 경위와 현황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컬렉션을 목록화하고, 미술사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재 투루판(吐魯番, Turpan)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지역의 많은 작품들이 훼손되어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국내 소장 중앙아시아 컬렉션의 국내 소장 당위성을 부여하고 향후 중앙아시아 회화 연구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사 = 1
      • 2. 연구방법 및 목적 = 11
      • Ⅱ. 오타니(大谷) 탐험대의 서역탐사 = 15
      • Ⅰ. 서론 = 1
      • 1. 연구사 = 1
      • 2. 연구방법 및 목적 = 11
      • Ⅱ. 오타니(大谷) 탐험대의 서역탐사 = 15
      • 1. 오타니 컬렉션의 국내 소장경위 = 15
      • 2. 오타니 탐험대의 탐사배경 및 과정 = 18
      • 1) 오타니 탐험대의 탐사배경 = 19
      • 2) 오타니 탐험대의 탐사과정 = 24
      • (1) 제1차 탐사(1902-1904) = 27
      • (2) 제2차 탐사(1908-1909) = 32
      • (3) 제3차 탐사(1910-1914) = 35
      • Ⅲ. 오타니 컬렉션이 수집된 석굴사원 = 41
      • 1. 베제클리크(伯孜克里克) 석굴사원 = 41
      • 2. 키질(克孜爾) 석굴사원 = 62
      • 3. 야르호(雅爾湖) 석굴사원 = 66
      • 4. 쿰트라(庫木吐拉) 석굴사원 = 68
      • 5. 미란(米蘭) 사원 = 70
      • Ⅳ.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오타니 컬렉션 석굴벽화 = 72
      • 1. 서원화(誓願畵) = 93
      • 1) 베제클리크 석굴 출토 벽화 = 95
      • 2. 변상도(變相圖) = 120
      • 1) 베제클리크 석굴 출토 벽화 = 120
      • 2) 키질 석굴 출토 벽화 = 122
      • 3) 미란사원 출토 벽화 = 125
      • 3. 천불도(千佛圖) = 127
      • 1) 쿰트라 석굴 출토 벽화 = 127
      • 2) 야르호 석굴 출토 벽화 = 129
      • 3) 출토지 미정 벽화 = 131
      • 4. 금강상(金剛像)과 악귀상(惡鬼像) = 133
      • 5. 명문(銘文) = 136
      • Ⅴ. 결론 = 1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