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4~6世紀 新羅古墳 出土 帽冠 硏究 = (A) Study of the Crown Excavated at Ancient Tombs of shilla Dynasty form 4th to 6th Centu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116386

      • 저자
      • 발행사항

        울산 :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2005. 8

      • 발행연도

        200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4.491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울산

      • 형태사항

        vii, 50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47-48

      • 소장기관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대의 신라관모에 대한 국내외 문헌기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4~6세기의 고분으로 추정되는 경주와 인근 지역의 재지 지배층의 무덤에서는 금, 은, 금동제의 관모류와 관식을 비롯해 백...

      고대의 신라관모에 대한 국내외 문헌기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4~6세기의 고분으로 추정되는 경주와 인근 지역의 재지 지배층의 무덤에서는 금, 은, 금동제의 관모류와 관식을 비롯해 백화수피제의 모관이 다수 출토되었다. 문헌기록이 없는 상태에서 고고학적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4~6세기의 신라역사를 복원하고자 할 때 당시의 역사적 사실과 시대적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금관을 비롯한 관모류로 보고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신라관모의 출현배경을 살펴보고자 지배계급의 무덤인 돌무지 덧널무덤과 신라관모의 관련성과 함께 4~6세기의 신라를 둘러싼 국제정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당시 동아시아의 패권국인 고구려의 존재를 생각하지 않고서는 신라의 변화를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4~6세기의 신라관모의 분석을 위해 유형별로 구분하고 대표적인 사례들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으며, 4~6세기의 신라관모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나타나는 나무, 사슴뿔, 새, 달개와 곱은옥의 종교적 상징성을 밝히고 이들의 의미를 기존의 연구성과와 함께 부분적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나뭇가지 모양 세움장식의 경우, 신성한 우주수목으로서 인간과 하늘세계를 연결하는 통로와 신의 강림처로서의 기능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다.
      둘째, 사슴뿔 모양 세움장식은 이전의 통설처럼 사슴숭배사상에 따라 사슴을 단순화한 것이라기보다는 형태적 특징과 신라가 고구려로부터 전래된 장례풍습과 관련하여 종교적 의미로 첨가된 요소로서 벽사의 의미를 지닌 소나무같은 나무를 상징화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신라의 건국시조 박혁거세를 비롯하여 석탈해의 등장 및 김씨의 시조 김알지의 탄생설화에는 공통적으로 새가 관련되어 있는 바 신라인들과 새의 관계는 각별한 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신라관모의 특징과 변천과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신라관모의 변화는 초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경주교동금관이나 부산 복천동 금동관처럼 사실주의적 나뭇가지 모양 관과 고구려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황남대총 남분의 새날개모양 은관이나 의성 탑리고분의 새날개 모양 장식 금동관이 혼재하다가 세움장식관은 나뭇가지 모양으로 정착 발전되었고 새는 모관의 관장식으로 발전해갔음을 알수 있었다.
      3장에서는 신라관모의 용도와 정치·사회적 성격을 비롯해 역사적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금관은 장례의식과 관련하여 왕이나 왕족의 무덤에 장송용품으로 묻힌 것이며, 금동관이나 금제모관은 현실적으로 최고지배계급의 위세품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를 모방한 관모류를 경주에서 제작하여 재지 지배층에게 사여하거나 현지에서 제작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지방통치의 수단으로도 기능했을 것이다. 금관을 비롯한 신라관모는 왕권의 강화와 영역지배의 관철을 통한 고대국가로의 성장을 반영하는 상징물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신라의 관모는 신라인들의 수목숭배사상과 새를 신성시하는 토속신앙의 바탕 위에서 고구려를 통해 전래된 신문물과 사상이 결합되어 신라화된 것이다.
      또한 고구려가 신라에 대해 그러하였듯이 신라 또한 주변 세력을 제어하며 고대국가를 형성하는 기틀을 다지고 점차 영역지배를 관철해 나가는 과정의 현실적·종교적 산물로서 신라 최고 지배계급의 정치적·사회적 권위를 상징하는 것이며 이러한 권위가 내세에서도 이어지기를 바라는 내세관의 표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herd of diadems and ornaments made of gold, silver, or bronze as well as diadems made of the bark of white birch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upper class tomb grounds of Shilla dynasty from 4th to 6th centuries in Gyeongju area. Given the fact that ...

      A herd of diadems and ornaments made of gold, silver, or bronze as well as diadems made of the bark of white birch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upper class tomb grounds of Shilla dynasty from 4th to 6th centuries in Gyeongju area. Given the fact tha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styles and features of royal crowns during the period, the unearthed diadems have great importance in analyzing the social and political trends of the time as well as the specific historical fact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period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n the first chapter, the study explores the diplomatic relations among the kingdoms neighboring Shilla and the features of the upper class tombs known as Dolmuji-deonneol-mudeom(wooden casket in the stone mound) with a view to find the origin of the style of Shilla royal crowns. The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role of Goguryeo, one of the hegemonic kingdoms at that time.
      In the second chapter, the study tries to categorize the types of diadems excavated, and also tries to find new meanings of the designs embedded in diadems that are believed to symbolize religious things and thoughts. The main designs include trees, birds, deer horns, and Gogok(comma-shaped jade) or Dalgae(spangle).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ee-spray type upright ornaments seem to symbolize the channel or bridge between human world and the haven where god advents.
      Second, deer-horn-shaped ornaments do not seem to symbolize the worshipped deer. Instead, it seems to symbolize pine trees reflecting the religious thoughts and funeral customs that are imported from Goguryeo.
      Third, the birds in the diadems imply that the people in Shilla are closely related with birds. In fact, in the episodes relative to the births of celebrities including Park Hyukgeosae, Seok Talhae, and Kim Algie who are founding fathers of the kingdom or others, birds play important roles.
      The study also explores the features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Shilla diadems. The study finds that the pattern of Shilla's royal crowns changes over time from those that are realistic tree-spray types as shown in the crowns from Gyeongju Gyodong and Busan Bokcheondong, to those that emphasize the birds as shown in crowns from The south mound of Hwangnamdaechong and Euiseong Tapri burial mounds. The latter patterns reflect Goguryeo style.
      In the third chapter, the study explores the use and the historic implications of the Shilla's crowns under its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s. Crowns were buried along with the body of the deceased Kings, and symbolize the utmost and highest status of the bearer. The diadems or crowns were produced and sent to the local powers to deliver the meaning of political power. The crowns were used to centralize political power and build the state system.
      To summarize, Shilla,s crowns were the assets that were localized combining the indigenous popular thoughts of worship and the imported religious beliefs. They also play roles in centralizing the powers and building the state system as done in Goguryo.
      They symbolize the authorities of the ruling elites and also express the people's view on the human life and dea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目次 = ⅰ
      • 국문요약 = ⅵ
      • 머리말 = 1
      • Ⅰ. 新羅冠帽의 時代的 背景 = 4
      • 1. 新羅冠帽와 돌무지덧널무덤 = 4
      • 目次 = ⅰ
      • 국문요약 = ⅵ
      • 머리말 = 1
      • Ⅰ. 新羅冠帽의 時代的 背景 = 4
      • 1. 新羅冠帽와 돌무지덧널무덤 = 4
      • 2. 4~6世紀의 新羅와 周邊情勢 = 5
      • Ⅱ. 新羅冠帽의 類型과 特徵 = 10
      • 1. 新羅冠帽의 類型別 分類 = 10
      • 2. 新羅冠帽의 構成要素와 象徵性 = 18
      • 3. 新羅冠帽의 特徵과 變遷過程 = 25
      • Ⅲ. 新羅冠帽의 用度와 性格 = 38
      • 1. 新羅冠帽의 用度 = 38
      • 2. 新羅冠帽의 政治·社會的 성격 = 40
      • 3. 新羅冠帽의 歷史的 意義 = 43
      • 맺음말 = 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