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인간성 이해와 이에 대한 기독교 철학적 성찰 -세계관의 스펙트럼과 세계관 변화의 관점에서 = Chung Yahk-Yong`s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Christian Philosophical Reflection -From Viewpoint of Worldview Spectrum and Trans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04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에 대한 관심은 조선 말(末) 이후 오늘날까지 한국 사회에서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산의 실학사상에 나타나는 세계관의 변화와 그 요인을 살...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에 대한 관심은 조선 말(末) 이후 오늘날까지 한국 사회에서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산의 실학사상에 나타나는 세계관의 변화와 그 요인을 살펴보면서 기독교세계관과 다산의 사상을 비교해보는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세계관의 스펙트럼의 관점에서 불교, 성리학, 실학, 다산학, 기독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 논문은 이러한 세계관 변화에서 중심적인 축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차이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다산은 궁극자, 인간, 자연을 일자(一者)로 보는 성리학의 동일철학을 반대하고 인간의 본성과 자연의 본성을 분리하였다. 이러한 인간관 변화는 학문의 방법론적 전환을 가져오고 학문의 목적을 보다 실천에 두게 하였다. 즉 인간은 천(天)으로부터 부여받은 본성을 적극적으로 계발하여 도덕적 주체로서 실천할 것을 요구받는 존재가 된다. 한편 자연에 대해서는 사변적인 형이상학적자연학을 벗어나서 경험주의적 탐구를 시도하는 주체가 된다. 다산의 이러한 인간이해는 외부로부터 온 다른 세계관과의 조우, 즉 천주교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산은 도덕적 근거를 비인격적 궁극자로서의 리(理)의 보편적 내재성에 두지 않고 인격적인 궁극자로서의 상제에 두고자 한다. 그러나 다산의 인간관은 성리학에 비해서 기독교의 인간관에 보다 가깝지만, 여전히 인간성을 낙관적으로 이해한다는면에서 기독교 세계관과 분명한 차이점을 보여준다. 유교는 인간의 노력에 의한 수양가능성을 인정하지만 기독교는 성령이 통치에 의한성화를 주장한다. 유교는 수양된 인간에 의한 이상적 통치(治人)의 가능성을 인정하지만 기독교는 하나님의 통치, 하나님 나라를 말한다. 유교가 인본주의적, 인간중심주의적, 현세적 이상주의라고 한다면 기독교는 신본주의적, 종말론적 이상주의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san(茶山), Chong Yahk-Yong(丁若鏞; 1762-1836), has been paid continuous attention from the end of Chosen(朝鮮) dynasty to the pres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worldview and its factors in Dasan``s Silhak(...

      Dasan(茶山), Chong Yahk-Yong(丁若鏞; 1762-1836), has been paid continuous attention from the end of Chosen(朝鮮) dynasty to the pres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worldview and its factors in Dasan``s Silhak(實學)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Christian worldview. Als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mong Buddhism, Sunglihank(性理學), Silhak, Dasanhak(茶山學), and Christianity from the viewpoint of worldview-spectrum. This article articulates that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of human(人性) and the nature of nature(物性) is the major axis in the transition of worldview. Dasan separated the human nature from the nature of nature by opposing to the identity-philosophy of Sunglihak which views the ultimate, human and nature as the One(一者). This transition of view on man brought the changeover of academic methodology and gave ground for a more praxis based academic purpose. In other words, human, as the subject of morality, is called for moral practice by developing the human nature actively which is granted by the Heaven(天). In regard to nature, human becomes the subject of empirical research, free from scholastic metaphysical theory of nature. Dasan``s understanding of the human nature was caused partly by the encounter with the Roman Catholic worldview. Dasan tried to put the basis of moral practice on the personal ultimate reality of Shangti(上帝) rather than on the impersonal ultimate principle of li(理). However Dasan``s view on human nature is apparently different from Christianity in that he took the optimistic view on human na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길환, "한국철학연구 하권" 동명사 1982

      2 이을호, "한국철학연구 하권" 한국철학연구 1982

      3 배종호, "한국철학연구 중권" 동명사 1982

      4 금장태, "한국유교와 타종교" 박문사 2011

      5 이남영,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우석 1982

      6 박종홍, "한국사상사논교" 서문당 1983

      7 이을호, "한국개신유학사시론" 박문사 1982

      8 나일수, "천주실의와 다산의 세계관" 2 (2): 1990

      9 송영배, "정약용 철학과 성리학적 리기관의 해체: 천주실의와의 영향관계를중심으로" 13 : 2001

      10 송재소, "정본여유당전서 1" 도서출판사암 2012

      1 김길환, "한국철학연구 하권" 동명사 1982

      2 이을호, "한국철학연구 하권" 한국철학연구 1982

      3 배종호, "한국철학연구 중권" 동명사 1982

      4 금장태, "한국유교와 타종교" 박문사 2011

      5 이남영,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우석 1982

      6 박종홍, "한국사상사논교" 서문당 1983

      7 이을호, "한국개신유학사시론" 박문사 1982

      8 나일수, "천주실의와 다산의 세계관" 2 (2): 1990

      9 송영배, "정약용 철학과 성리학적 리기관의 해체: 천주실의와의 영향관계를중심으로" 13 : 2001

      10 송재소, "정본여유당전서 1" 도서출판사암 2012

      11 윤사순, "정다산 연구의 현황" 민음사 1985

      12 김길환, "율곡성리학에 있어서 실학개념과 체계: 성리구현을 위한 실학으로서" 46 : 1972

      13 한자경, "유교와 천주교 사이의 다산: 인간 본성의 이해를 중심으로 논함" 13 : 2013

      14 정약용, "여유당전서" 한국고전번역원

      15 이을호, "실학논총" 전남대학교출판부 1983

      16 이을호, "실학논총" 전남대학교출판부 1983

      17 금장태, "성호와 성호학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18 허남진, "성리학에서 다산학으로: 서학으로 해석한 유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10) : 1-35, 2013

      19 이정배, "불교적 유교에서 기독교적 유교에로: 다산 정약용의 유교해석에있어서 기독교적 영향 탐구" 52 : 2005

      20 형려국, "맹자 四端說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해석 ―퇴계, 율곡과 다산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7) : 399-423, 2010

      21 황종렬,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 선교의 신학적 의의와 한계" 20 : 2003

      22 김영우, "마음과 철학: 유학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23 이을호, "다산철학의 현대적 의의" 한국철학회 25 : 1986

      24 정순우, "다산의 형이상학" 5 : 1983

      25 오종일, "다산의 이기관(理氣觀)" 6 : 1984

      26 김치완, "다산의 상제관과 서학의 상제관" (재)한국교회사연구소 (39) : 163-197, 2012

      27 금장태, "다산의 사천학과 서학수용" 16 : 2003

      28 이남영, "다산의 경세사상" 25 : 1986

      29 박흥기, "다산 정약용과 아담 스미스" 백산서당 2008

      30 금장태, "다산 심성론의 체계와 쟁점" 26 : 2000

      31 금장태, "논문 : 다산의 심개념과 마테오 릿치의 영혼론" 종교문제연구소 (8) : 63-94, 2002

      32 이경직, "기독교 철학의 모색" 기독교연합신문사 2006

      33 朱熹, "四書集注" 世界書局 1982

      34 조성환, "‘실천학’으로서의 ‘실학’ 개념 - 율곡 개혁론의 철학적 기초 -" 철학연구소 33 : 87-121, 2013

      35 Hiebert, Paul G, "Transforming Worldviews" Baker 2008

      36 Berger, Peter L, "The Sacred Canopy: Elements of a Sociological Theory of Religion" Doubleday 1967

      37 Netland, Harold A, "Encountering Religious Pluralism: The Challenge to Christian Faith and Mission" Intervarsity Press 2001

      38 Clark, Anthony E., "Early Modern Chinese Reactions to Western Missionary Iconography" 30 : 2008

      39 Hiebert, Paul G, "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aries" Baker 1985

      40 Plantinga, Alvin, "Advice to Christian Philosopher" 1 :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1-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신학연구원 -> ACTS 신학연구소
      영문명 : Asia United Theological University -> ACTS Theology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