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군-부루-주몽 계보의 역사성과 하백녀 = The Historicality of Dangun(檀君)-Buru(夫婁)-Jumong(朱蒙) Genealogy and Habaek-Nyeo(河伯女)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1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genealogy relationship among Dangun(檀君) and Buru(夫婁) and Jumong(朱蒙) recorded in the Dangungi(檀君紀), Dangunbongi(檀君本紀), Samguksagi(三國史記), Samgukyusa(三國遺事), Jewangungi(帝王韻紀), and e...

      This study analyzed the genealogy relationship among Dangun(檀君) and Buru(夫婁) and Jumong(朱蒙) recorded in the Dangungi(檀君紀), Dangunbongi(檀君本紀), Samguksagi(三國史記), Samgukyusa(三國遺事), Jewangungi(帝王韻紀), and examine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medium of Habaek-Nyeo.
      The Samgukyusa assumed that Jumong was the son of Dangun. After referring to the blood relationship between Haemosu(解慕漱) and Habaek-Nyeo by quoting Samguksagi, this book emphasized the records of Dangungi and described the genealogy of Jumong and Buru centered on Dangun and Habaek-Nyeo of Seoha(西河), On the other hand, Jewangungi mentioned that Jumong's parents were Haemosu and Habaek-Nyeo. But it described the genealogy between Jumong and Buru, citing the Dangunbongi that Dangun and Habaek-Nyeo of Biseogap(非西岬) had married and had a Buru. Since the two genealogical relations were noted that Habaek-Nyeo was mediated, it pursue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gene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angun and Buru and Jumong related to her.
      The fact that the existence of eastern Buyeo(夫餘) who mediated the genealogy record was from the end of the 3rd century to the early 5th centur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Habaek-Nyeo of Seoha who were irregular in Eunryul-gun(恩律郡), Hwanghae Province(黃海道) and the Habaek-Nyeo of Biseogap who were irregular in Yongbyon-gun(寧邊郡), North Pyongan Province(平安北道) was noted. Originally, it was Haemosu who married Habaek-Nyeo, but the fact that she was married to Dangun also considered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time.
      As a movement to move the capital to Seogyeong(西京) by Myocheong(妙淸) occurred, Pyongyang(平壤)'s local god attempted to convert into the ancestor god of the country in 1131. The ritual of resistance to Mongolia re-recognized Dangun as a national god, and connected with her to form a genealogy centered on Dangun. In addition to Gojoseon(古朝鮮) and Buyeo, Jewangungi also understood Silla(尸羅), Goguryeo(高禮), North and South Okjeo(南北沃沮) and Yemak(濊貊) as descendants of Dangun, which is a one-sided expression of such historical consciousness. There was no specific research result on this problem, and this study pursued it. This study also reveals that the tradition related to this was more added after the Joseon(朝鮮)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삼국사기 고기, 단군기, 단군본기, 제왕운기, 삼국유사 등에 기록되어 있는 단군과 부루・주몽의 계보 관계를 검토하고, 하백녀를 매개로 하여 그 역사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삼국유...

      본고는 삼국사기 고기, 단군기, 단군본기, 제왕운기, 삼국유사 등에 기록되어 있는 단군과 부루・주몽의 계보 관계를 검토하고, 하백녀를 매개로 하여 그 역사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삼국유사는 왕력에서 주몽이 단군의 아들이라 전제하였다. 삼국사기를 인용하여 주몽이 해모수와 하백녀에 혈연관계를 언급하고, 단군기의 기록을 중시하여 단군과 서하 하백녀를 중심으로 주몽과 부루의 계보를 서술하였다. 반면에, 제왕운기에서는 주몽이 해모수와 하백녀에 혈연관계를 언급하였으나, 단군본기를 인용하여 단군과 비서갑 하백녀를 중심으로 주몽과 부루의 계보관계를 서술하였다. 이들 계보 관계에는 하백녀가 매개로 되어 있다는 점이 주목되었으므로, 하백녀와 관련된 단군과 부루・주몽의 계보 관계의 역사적 의미를 추구하였다. 계보 기록에 매개역을 한 동부여의 존재 시기는 3세기 말엽~5세기 초엽인 점, 황해도 은율군에 비정되는 서하 하백녀와 평안북도 영변군에 비정되는 비서갑 하백녀는 출신 지역이 다른 점이었다. 원래는 하백녀와 해모수가 혼인한 것이지만, 그 후에 하백녀가 단군과도 혼인한 것으로 견강부회한 사실에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고려해 보았다. 묘청의 평양 천도운동이 일어나면서 1131년에 평양의 지역신은 국가의 신으로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대몽항쟁의식은 단군을 국조로 재인식하게 된 상황에서 하백녀를 연결고리로 삼아 단군 중심의 계보를 구성하였다. 제왕운기에서는 고조선 부여 외에 시라・고례・남북옥저・예맥 또한 단군의 후손으로 이해하였는데, 이는 그와 같은 역사의식을 드러내는 한 편린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성과가 없었는데, 본고는 이를 추구해 본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배,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2 김철준,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3 이승호, "특집1논문: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천제지자(天帝之子) 관념 형성의 사적(史的) 배경" 한국역사연구회 (81) : 99-138, 2011

      4 송호정, "처음 읽는 부여사-한국 고대국가의 원류 부여사 700년" 사계절 2015

      5 "중원고구려비"

      6 노태돈, "주몽의 출자전승과 계루부의 기원" 5 : 1993

      7 "조연수묘지명"

      8 오강원, "전근대시기 단군 세계 인식의 확대 과정과 맥락" 진단학회 (124) : 1-25, 2015

      9 선석열, "일인 관학자들의 단군신화의 불가조작설과 그 비판" 한일관계사학회 (76) : 181-208, 2022

      10 김남중, "위만조선의 성립과 발전 과정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1 김정배,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2 김철준,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3 이승호, "특집1논문: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천제지자(天帝之子) 관념 형성의 사적(史的) 배경" 한국역사연구회 (81) : 99-138, 2011

      4 송호정, "처음 읽는 부여사-한국 고대국가의 원류 부여사 700년" 사계절 2015

      5 "중원고구려비"

      6 노태돈, "주몽의 출자전승과 계루부의 기원" 5 : 1993

      7 "조연수묘지명"

      8 오강원, "전근대시기 단군 세계 인식의 확대 과정과 맥락" 진단학회 (124) : 1-25, 2015

      9 선석열, "일인 관학자들의 단군신화의 불가조작설과 그 비판" 한일관계사학회 (76) : 181-208, 2022

      10 김남중, "위만조선의 성립과 발전 과정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11 정구복, "역주 삼국사기 4 주석편(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2 이성규, "신편 한국사1(한국사의 전개)" 국사편찬위원회 2002

      13 송호정, "신편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97

      14 이강래, "삼국사기 전거론" 민족사 1996

      15 임기환, "부여사와 그 주변" 동북아역사재단 2008

      16 노태돈, "부여국의 경역과 그 변천" 4 : 1989

      17 이승호, "부여 정치사 연구" 동국대학교 2018

      18 임기환, "백제 시조전승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고찰" 28 : 1998

      19 이도학, "방위명 부여국의 성립에 관한 검토" 38 : 1991

      20 최병헌, "단군-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21 서영대, "단군-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22 조경철, "근대 이전 한국사 속에서의 단군인식" 한국사상사학회 (45) : 95-121, 2013

      23 공석구, "광개토왕릉비의 동부여에 대한 고찰" 70 : 1990

      24 "광개토왕릉비"

      25 리상호, "고조선에 관한 토론 논문집" 과학원출판사 1963

      26 김성환, "고조선 건국신화의 계승과 고조선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47) : 11-56, 2015

      27 김광수, "고려조의 고구려계승의식과 고조선인식" 43 : 1988

      28 김성환, "고려시대의 단군전승과 인식" 경인문화사 2002

      29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30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31 이종태, "고구려 태조왕계의 등장과 주몽국조의식의 성립" 2 : 1990

      32 권순홍, "고구려 초기의 都城과 改都 - 태조왕대의 왕실교체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78) : 185-231, 2015

      33 김종은, "고구려 초기 천도기사로 살펴본 왕실교체" 3 : 2003

      34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35 여호규, "고구려 초기 那部統治體制의 성립과 운영" 27 : 1992

      36 김용선, "고구려 유리왕고" 87 : 1980

      37 김성환, "고구려 건국신화에서 보이는 고조선 인식의 검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3) : 59-97, 2013

      38 김기흥, "고구려 건국사" 창작과 비평사 2002

      39 윤성용, "고구려 建國神話와 祭儀" 한국고대사학회 (39) : 5-30, 2005

      40 "魏書"

      41 김성환, "高麗時代의 檀君傳承과 古朝鮮 認識" 고조선단군학회 8 : 109-144, 2003

      42 이도학, "高句麗의 夫餘 出源에 관한 認識의 變遷" 고구려발해학회 27 : 125-146, 2007

      43 池內宏, "高句麗王家の上世の世系について" 3 : 1940

      44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1989

      45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1989

      46 이귀숙, "高句麗 初期의 王統變化와 朱蒙 始祖認識의 成立" 역사교육학회 (39) : 129-174, 2007

      47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48 白鳥庫吉, "白鳥庫吉全集 6" 岩波書店 1970

      49 이준성, "濊君 南閭의 동향과 滄海郡․玄菟郡 설치" 백산학회 (116) : 91-116, 2020

      50 池內宏, "滿鮮史硏究(上世編)" 祖國社 1951

      51 津田左右吉, "津田左右吉全集12" 岩波書店 1964

      52 이지영, "河伯女, 柳花를 둘러싼 고구려 건국신화의 전승 문제" 동아시아고대학회 (13) : 19-48, 2006

      53 "檀君記"

      54 白鳥庫吉, "檀君考" 學習院輔仁會 28 : 1894

      55 今西龍, "檀君考" 1 : 1927

      56 "檀君本紀"

      57 林泰輔, "朝鮮史" 吉川半七 1892

      58 那珂通世, "朝鮮古史考-朝鮮樂浪玄菟帶方考" 5 (5): 1894

      59 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國書刊行會 1971

      60 "新增東國輿地勝覽"

      61 송기호, "扶餘史 연구의 쟁점과 자료 해석" 한국고대사학회 (37) : 15-54, 2005

      62 "帝王韻紀"

      63 "宋書"

      64 高橋亨, "同源" 同源社 1920

      65 "古記"

      66 崔南善, "六堂崔南善全集 5" 매일신보사 1939

      67 申采浩, "丹齋申采浩全集(上)" 丹齋 申采浩先生 紀念事業會 1987

      68 "三國遺事"

      69 津田左右吉, "三國史記高句麗紀の批判" 9 : 1922

      70 "三國史記"

      71 김남중, "『제왕운기』에 인용된 단군본기의 저자와 성격" 한국학연구소 (74) : 5-37, 2020

      72 宣石悅, "<三國史記>新羅本紀 初期記錄 問題와 新羅國家의 成立"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6

      73 이정신, "12・13세기의 삼국부흥운동" 1 :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