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초 왜구의 퇴조와 조선 조정의 ‘회유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1396년(태조 5년) 나가온 왜구 집단의 투항과김사형의 이키・대마도 정벌군 출진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 A Critical Review on Waegu’s Decline and the Joseon Government’s ‘Appeasement Policy’ in Early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urrender of Nakaon Waegu Group and the Campaigns of Kim Sahyeong’s Conquering Army to Iki Island 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7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초 왜구 투항에 관한 최초・최대 규모 사례인 1396년(태조5) 12월 9일 나가온 왜구 집단 투항의 배경 및 양상을 고찰하면서, 이에 관한 기존의 통설적 견해를 재검토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초 왜구 투항에 관한 최초・최대 규모 사례인 1396년(태조5) 12월 9일 나가온 왜구 집단 투항의 배경 및 양상을 고찰하면서, 이에 관한 기존의 통설적 견해를 재검토하는 것이다.
      기존의 통설적 견해는 왜구 투항의 주된 배경을 ‘조선 조정의 회유책’에서 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견해에는, 사료상 근거가 없고 오히려 기존 사료의 문언과 모순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396년 12월 김사형 정벌군 출진이 나가온 왜구 집단 투항의 배경이었다는 견해를 다음 4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나가온 왜구는 1396년 11월 하순부터 12월 초까지의 기간 중에 있었던 조선군과의 전투 과정에서 김사형 정벌군에 관한 첩보를 입수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나가온 왜구 집단은 조선 조정의 적극적 군사 조치에 위협을 느껴 급히 투항했던 것이다.
      둘째, 김사형 정벌군은 이키・대마도 정벌 및 한반도 내에서의 왜구 토벌이라는 두 가지 과업을 갖고 결성되었다. 즉 조선 조정은 당시 왜구 근절 목적을 위하여 조선의 국방력을 김사형 정벌군의 명령 체계 하에 통합시켰다고 보인다.
      셋째, 나가온 왜구 집단이 투항함으로써 김사형 정벌군은 실제 이키・대마도 정벌 없이도 출진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이키・대마도에서의 실제 전투가 없었음에도 조선 조정은 김사형 정벌군의 귀경을 크게 환영하였다.
      넷째, 나가온 왜구 집단의 투항은, 자신들의 병선 및 병력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선에 대한 적대행위만을 중지하는 정도의 제한적인 투항이었다. 조선 조정은 항왜들을 경계했으므로, 항왜 집단 중 구륙, 나가온 등 지도자들을 서로 분리한 후 10명 정도의 소수 인원만 붙여서 순차적으로 한양으로 상경시켰다. 또한 조선 측은 경상도에 남은 나머지 항왜 세력을 섬멸하고자 하는 시도를 최소 2차례 이상 계획 또는 실행하였다.
      조선초 왜구 투항에 관하여 확인된 위와 같은 사실들은 ‘조선 조정의 회유책’을 위주로 하는 기존의 통설적 견해로는 설명될 수 없다. 기존의 통설적 견해 및 이에 근거한 조선초 향화왜인에 대한 연구는 근본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장준혁, "麗末鮮初 동아시아 국제정세 속의 대마도 정벌" 역사실학회 (53) : 51-85, 2014

      2 村井章介, "중세 왜인의 세계" 소화 2003

      3 한문종, "조선초기의 向化倭人과 李藝" 한일관계사학회 (28) : 89-118, 2007

      4 송종호, "조선초 왜구 활동과 조선-일본 관계 연구-태조~태종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8

      5 한문종, "조선전기 일본인의 向化와 정착" 동양학연구원 (68) : 153-173, 2017

      6 나종우, "조선은 왜 대마도를 정벌했나" 10 : 142-153, 2002

      7 "조선왕조실록(『태조실록』 ~ 『세종실록』)"

      8 河宇鳳,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신편 한국사 22)" 367-410, 2002

      9 이영, "일본고중세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7

      10 이규철, "여말선초의 국제정세 변화와 대외정벌" 전북사학회 (50) : 81-106, 2017

      1 장준혁, "麗末鮮初 동아시아 국제정세 속의 대마도 정벌" 역사실학회 (53) : 51-85, 2014

      2 村井章介, "중세 왜인의 세계" 소화 2003

      3 한문종, "조선초기의 向化倭人과 李藝" 한일관계사학회 (28) : 89-118, 2007

      4 송종호, "조선초 왜구 활동과 조선-일본 관계 연구-태조~태종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8

      5 한문종, "조선전기 일본인의 向化와 정착" 동양학연구원 (68) : 153-173, 2017

      6 나종우, "조선은 왜 대마도를 정벌했나" 10 : 142-153, 2002

      7 "조선왕조실록(『태조실록』 ~ 『세종실록』)"

      8 河宇鳳,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신편 한국사 22)" 367-410, 2002

      9 이영, "일본고중세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7

      10 이규철, "여말선초의 국제정세 변화와 대외정벌" 전북사학회 (50) : 81-106, 2017

      11 정영현, "동해안의 왜구와 쓰시마 早田氏"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7) : 199-233, 2018

      12 "동문선 (권90 「序」, 「送密陽朴先生敦之奉使日本序」 ; 권93 「序」, 「贈李府使詩序」)"

      13 윤성익, "김보한의 왜구론과 왜구 연구에의 제언, 해양・해역으로 본 한일관계 ; 갈등과 공생의 동아시아" 19-47, 2021

      14 "고려사"

      15 孫弘烈, "麗末・鮮初의 對馬島征伐" 6 : 111-140, 1978

      16 羅鐘宇, "韓國中世對日交涉史硏究"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2

      17 佐伯弘次, "街道の日本史49:壱岐・対馬と松浦半島" 吉川弘文館 2006

      18 有井智徳, "村上四郎博士和歌山大学退官記念 朝鮮史論文集" 開明書院 275-362, 1982

      19 韓文鍾, "朝鮮前期 對馬島의 通交와 對日政策" 3 : 125-172, 1995

      20 李鉉淙, "朝鮮初期倭人接待考(上)" 3 : 25-75, 1959

      21 李鉉淙, "朝鮮初期 向化倭人考" 4 : 340-368, 1959

      22 "明太祖實錄"

      23 朴元熇, "明初朝鮮關係史硏究" ー潮閣 2002

      24 中村栄孝, "日鮮関係史の研究(上)" 吉川弘文館 1965

      25 한춘순, "太祖 7年(1398) ‘제1차 왕자 난’의 재검토" 조선시대사학회 (55) : 5-39, 2010

      26 田中健夫, "倭冦と勘合貿易" 至文堂 1961

      27 川添昭二, "今川了俊" 吉川弘文館 1988

      28 松尾弘毅, "中世日朝關係における前期受職人とその變遷" 전북사학회 (35) : 281-317, 2009

      29 長節子, "中世日朝関係と対馬" 吉川弘文館 1987

      30 田村洋幸, "中世日朝貿易の研究" 三和書房 1967

      31 사에키 고지, "14~15세기 동아시아의 해역세계와 일한관계" 19-48, 2010

      32 이규철, "1419년 대마도 정벌의 의도와 성과" 한국역사연구회 (74) : 419-451,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