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 분석 = The Perception,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 Selection Factor of General Education from the Sudents'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4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ption, needs, satisfaction, and course selection factors of general education from the students’point of view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re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o this e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ption, needs, satisfaction, and course selection factors of general education from the students’point of view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re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o this e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to identify student characteristics, and IPA analysis and Borich analysis to identify needs, were conducted on the response results of 1,454 students at a private university in Bus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ole and meaning of general education, students responded that general education plays a role in enhancing interest among students in subjects other than those of their major, nurturing human beings with character, and promot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ir majo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respon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ain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univers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the instrumental role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a supplement to major education.
      Second, students' needs for the domain of general education were high in those practical domain field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employment, like career exploration and certification courses, and the associated domains for employment, like foreign languages and IT utilization field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re was a high demand for subject development reflecting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the latest trends, the expansion of student choice through the opening of various subjects, and appropriate class difficulty.
      Third, overall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nd field. In terms of general education operations, it has been shown that expanding the range of student selection through the opening of subjects in various areas, opening subjects reflecting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the latest trends, using appropriate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and the instructors' expertis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tudents consider the convenience and learning expectations first when choosing liberal arts subjects. Among the convenience factors, priority is given to classes that require no team projects, and subjects with little or no assignments are preferred. When it comes to learning expectations, subjects of interest and interesting subject names are given prior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subject sele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the college itself.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our implications were derived and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ganization, operatio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 개편과 운영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위해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A 사립대...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 개편과 운영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위해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A 사립대학 재학생 1,454명의 설문 응답 결과에 대해 기초통계 분석, 학생 특성별 특징 확인을 위한 차이 분석, 요구도 파악을 위한 IPA 분석과 Borich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의 역할과 의미와 관련해 학생들은 교양교육은 전공 분야 외 다른 분야에 관한 관심을 제고하고, 인격을 갖춘 인간을 양성하며, 전공과목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응답했으며, 이 응답의 결과는 성별과 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이하다고 할 만한 점은 보편적 지성 교육이라는 교양교육의 본령과 전공교육의 보완이라는 교양교육의 도구적 역할에 대한인식에서 차이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둘째, 교양교육의 영역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한 결과, 교양교육 영역의 경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교양교육 고유 영역보다 취업과 직접 관련된 실용 분야, 외국어나 IT 활용 영역과 같이 취업을 위해 필요한 능력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는 시대적 변화와 최신 경향을 반영한 교과 개발, 다양한 교과 개설을 통한 학생 선택의 폭 확대, 적절한 수업 난이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만족도는 성별, 학년, 계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여학생, 1학년, 미래융합대학 학생들의 교양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양교육 운영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영역의 교과 개설을 통한 학생 선택의 폭 확대, 시대적 변화 및 최신 경향을 반영한교과 개설, 적절한 교재와 학습자료의 사용, 교수자의 수업 전문성 확보 등이 교양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교과 선택 시 학생들은 편의성과 학습 기대를 먼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성 중에서도 팀 프로젝트가 없고 과제가 없거나 적은 과목을 선호하며, 학습 기대는 평소 관심 있는 주제와 흥미로운 교과목명을 우선 고려한다. 교과 선택의 경향성에도 성별, 학년, 단과대학별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그리고 수업운영의 관점에서 네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선주,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1-37, 2018

      2 강창동,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83-107, 2012

      3 이은화,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편성.운영체제 사례 분석" 교육연구소 8 (8): 91-118, 2007

      4 이지연 ; 김영환 ; 김영배,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30 (30): 163-191, 2014

      5 최문기,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325-348, 2016

      6 신철균 ; 변혜영 ; 어성민 ; 김성목,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 -A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17-231, 2020

      7 강경희, "학생 관점에서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5-44, 2020

      8 이중삼, "탈출구 없는 ‘청년실업 직업교육 강화가대안" 한국대학신문

      9 강선보,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 개혁의 이념" 교육문제연구소 (24) : 49-71, 2006

      10 박병철, "리버럴아츠 교육과 한국의 교양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63-180, 2019

      1 김선주,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1-37, 2018

      2 강창동,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안암교육학회 18 (18): 83-107, 2012

      3 이은화,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편성.운영체제 사례 분석" 교육연구소 8 (8): 91-118, 2007

      4 이지연 ; 김영환 ; 김영배,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30 (30): 163-191, 2014

      5 최문기,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전공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325-348, 2016

      6 신철균 ; 변혜영 ; 어성민 ; 김성목, "학생⋅교원의 교양교육과정 인식 및 요구 분석 -A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17-231, 2020

      7 강경희, "학생 관점에서의 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선 요구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5-44, 2020

      8 이중삼, "탈출구 없는 ‘청년실업 직업교육 강화가대안" 한국대학신문

      9 강선보,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 개혁의 이념" 교육문제연구소 (24) : 49-71, 2006

      10 박병철, "리버럴아츠 교육과 한국의 교양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63-180, 2019

      11 안현용 ; 박지회 ; 고장완, "대학평생교육 성과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인식 분석"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12 (12): 19-48, 2021

      12 임이랑, "대학에서의 K-MOOC 강좌활용도 제고방안 연구: 교수자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4 (34): 79-102, 2021

      13 장유진 ; 남교민 ; 박현지 ; 송지훈, "대학생의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요구 분석-수정된 IPA, Borich 요구도, 주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333-347, 2022

      14 최영준, "대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 변인과 변인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6 (16): 61-83, 2013

      15 이보경 ; 이재성 ; 김은경,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문제연구소 (38) : 1-23, 2010

      16 이혜정, "대학생들의 대학교육의 의미에 대한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47-1076, 2020

      17 권현용, "대학생들의 교양교육 만족도 및 인식"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6 (6): 109-132, 2019

      18 구유영 ; 박돈하 ; 김정재 ; 박영희 ; 고철기 ; 이보경, "대학생 전공-교양 교과목 이수 특성에 나타난 교육과정 구조와 이수체계의 문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69-396, 2019

      19 이은화 ; 강이화, "대학간 교양교육 공유 협력 현황과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81-93, 2022

      20 목영해, "대학 수업에 적합한 수업기법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30 : 54-64, 2004

      21 김남희 ; 정미애,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41-66, 2018

      22 손종현,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프레임 탐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1-39, 2018

      23 이숙정 ; 이수정,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역량기반 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1-42, 2012

      24 노지예, "대학 교양교육에서 학습자특성에 따른 수강신청기준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83-497, 2019

      25 박주호 ; 유기웅,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43-82, 2014

      26 이청민 ; 정제영 ; 양민석,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운영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09-121, 2020

      27 유기웅 ; 신원석, "대학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강의 선택 관련 요인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45) : 31-54, 2012

      28 유재천, "국제화⋅정보화시대의 교양교육 실행 및 평가 프로그램 연구" 한국연구재단 2002

      29 김성원, "교양교육의 실용성 문제에 관한 재고(再考)"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43-77, 2012

      30 손동현,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5-22, 2009

      31 손동현,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균형과 수렴에 관해"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9-27, 2010

      32 백평구, "교양교육 만족도,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 A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431-466, 2012

      33 이효진 ; 박인우 ; 윤가영,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에 따른 대학생의 수강신청 기준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23 (23): 79-99, 2017

      34 한민선, "겨우 뽑았는데 3분의 1 그만 둬 신입생자퇴에 두 번 우는 지방대" 머니투데이

      35 최예정 ; 김지영 ; 윤승준, "강사제도 시행이 대학 교양교육 환경에 미친 영향 - 교원 구성과 개설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33-57, 2020

      36 이혜주, "Q 방법을 활용한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103-113, 2021

      37 Witkin, B. R,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s: A Practical Guide" SAGE Publications, Inc 1995

      38 김현숙 ; 김경미, "MZ세대인 대학생들의 수강 신청 의사결정에 미치는 요인 연구" 인문사회 21 13 (13): 2329-2342, 2022

      39 정혜진 ; 김경원, "AHP를 활용한 대학생의 수강신청 기준에 관한 연구 - 교양외국어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23-745, 2016

      40 조헌국,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53-89, 2017

      41 홍석민, "4차 산업혁명과 교양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교양교육과정의 개혁 필요성"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65-79, 2022

      42 백승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51, 2017

      43 윤유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311-325,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