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명 말의 기녀 이미지― 《吳姫百媚》와 《金陵百媚》의 젠더적 측면을 중심으로 = Courtesan Image of Late Ming Dynasty: Focusing on Gender Aspects of Wujibaimei and Jinlingbaime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0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visualization aspects of Wujibaimei and Jinlingbaimei. And based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I analyze the image of courtesans in th late Ming Dynasty from three aspects. The two books are a ki...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visualization aspects of Wujibaimei and Jinlingbaimei. And based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I analyze the image of courtesans in th late Ming Dynasty from three aspects. The two books are a kind of Hua an in which various poems and prints are recorded after evaluating courtesans by comparing them to flowers and ranking them like the ranks of national exam. The people who took the lead in publishing were those who were influenced by Yangming Studies, enjoyed entertainment culture and popular literature, and started commercial publishing. The visualization method of prints is particularly closely related to the works of Wu Wei and Tang Yin. And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prints of popular literature.
      I analyze the images of courtesans, in terms of literary courtesan, classical female image and romantic romance, and sexual desire and eroticism. A literary courtesan who creates poems and paintings and enjoys high-quality materials, is a newly emphasized femininity. The courtesans used the artistic genre of male elites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produced a cultural context that diverted the orchid as a metaphor for the courtesan. The love, parting, and longing of courtesans borrowed the classic image of a woman. Putting flowers in a woman's hair and holding flowers by hand were highlighted as the visual codes of the courtesans. The romantic romance between a contemporary courtesan and a literary man was expressed by borrowing the anecdote of an old male elite and a courtesan. Sexual desire and eroticism are revealed in prints of the lusts of men and women, erotic body expressions and voyeuristic gazes, and explicit expressions of affection and physical contact. The two books are visual materials that complexly show the femininity that literary man from the periphery of Gangnam discovered in contemporaneous courtesans and the desire they projected onto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吳姬百媚》(1617)와 《金陵百媚》(1618)의 내용과 성격, 시각화 양상을 살피고, 시각적 재현에 근거하여 명 말기 기녀 이미지를 세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두 서책은 기녀를 꽃에...

      이 논문은 《吳姬百媚》(1617)와 《金陵百媚》(1618)의 내용과 성격, 시각화 양상을 살피고, 시각적 재현에 근거하여 명 말기 기녀 이미지를 세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두 서책은 기녀를 꽃에 빗대어 품평하고 과거 합격자의 품계처럼 등급을 정한 뒤 각종 시문과 삽도를 수록한 花案의 일종이다. 이들의 출판에 관여한 周之標, 馮夢龍, 李雲翔은 과거제도 바깥에서 양명학의 자장 하에 청루의 유흥문화와 통속문학을 즐기고 상업 출판에 나선 이들이다. 삽도의 시각화 방식은 오위와 당인의 작품과 특히 친연성이 깊고, 통속문학의 삽도와도 관련을 보인다.
      두 서책의 기녀 이미지는 문사형 기녀, 고전적 사녀 이미지와 낭만적인 로맨스, 성적 욕망과 에로티시즘 측면을 분석하였다. 시서화를 창작하고 고급 물질을 향유하는 문사형 기녀는 새롭게 부각된 여성성으로, 기녀들은 남성들의 예술 장르를 자기표현의 방편으로 활용하고, 난을 기녀의 메타포로 전용하는 문화 맥락을 생산했다. 기녀의 사랑과 이별, 그리움의 정조는 고전적 사녀 이미지를 차용했으며, 簪花와 秉花는 기녀의 시각 코드로 부각되었다. 동시대 기녀와 문사의 낭만적인 로맨스는 옛 명사와 기녀의 일화를 빌어 표현했으며, 성적 욕망과 에로티시즘은 春情圖와 에로틱한 신체 표현과 관음적인 시선, 노골적인 애정 표현과 신체 접촉에서 드러난다. 두 서책은 강남의 주변부 문인들이 당대 기녀들에게 발견한 여성성과 그들에게 투영한 욕망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시각자료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배다니엘, "중국 고전시 중의 桃花 이미지" 중국어문논역학회 (32) : 41-65, 2013

      2 장조, "우초신지" 소명출판 2011

      3 신민야, "왕치등의 「馬湘蘭挽歌詞十二首」 고찰" 외국학연구소 (41) : 207-234, 2017

      4 김세서리아, "양명학의 도덕 주체를 통한 여성 주체 형성과 모색" 한국양명학회 (15) : 77-108, 2005

      5 우런수, "사치의 제국 : 명말 사대부의 사치와 유행의 문화사" 글항아리 2019

      6 유순영, "명대 강남 문인들의 원예취미와 화훼화" 홍익대 2018

      7 유순영, "명대 甁花⋅盆景圖 : 강남 문사들의 자기표현과 취향" 온지학회 (61) : 179-220, 2019

      8 서연주, "馮夢龍 민가집 연구" 서울대 2017

      9 大木康, "風月秦淮—中國游里空間" 聯經 2007

      10 "金陵百媚"

      1 배다니엘, "중국 고전시 중의 桃花 이미지" 중국어문논역학회 (32) : 41-65, 2013

      2 장조, "우초신지" 소명출판 2011

      3 신민야, "왕치등의 「馬湘蘭挽歌詞十二首」 고찰" 외국학연구소 (41) : 207-234, 2017

      4 김세서리아, "양명학의 도덕 주체를 통한 여성 주체 형성과 모색" 한국양명학회 (15) : 77-108, 2005

      5 우런수, "사치의 제국 : 명말 사대부의 사치와 유행의 문화사" 글항아리 2019

      6 유순영, "명대 강남 문인들의 원예취미와 화훼화" 홍익대 2018

      7 유순영, "명대 甁花⋅盆景圖 : 강남 문사들의 자기표현과 취향" 온지학회 (61) : 179-220, 2019

      8 서연주, "馮夢龍 민가집 연구" 서울대 2017

      9 大木康, "風月秦淮—中國游里空間" 聯經 2007

      10 "金陵百媚"

      11 최수경, "詩集의 俗化 : 17세기 女性 詩文總集 『蘭咳集』 硏究" 중국어문학연구회 (79) : 335-361, 2013

      12 許淑眞, "華夏之美-花藝" 幼獅文化事業公司 1987

      13 王鴻泰, "美人相伴-明清文人的美色品賞與情藝生活的經營" 三民書局 24 (24): 2013

      14 厲鶚, "玉臺書史 玉臺畵史" 浙江人民美術出版社

      15 毛文芳, "物・性・觀看-明末清初文化書寫新探" 學生書局 2001

      16 박청아, "淸代 仕女畵 硏究" 홍익대 2017

      17 박정숙, "梅鼎祚의 『靑泥蓮花記』에 관한 연구" 중국문화연구학회 (48) : 71-99, 2020

      18 金丹丹, "析《吳姬百媚》一書及其影响與傳播" 5 : 2020

      19 華奈子, "李雲翔の南京秦淮における交友と編著活動" 九州大學中國文學會 43 : 2014

      20 許文美, "晩明靑樓畫家馬守眞的蘭竹畫" 國立故宮博物院 21 (21): 1993

      21 王陽, "晩明花榜文學集《吳姫百媚》的文獻價値考略-兼與《金陵百媚》比較" 社會科學文獻出版社 9 : 2012

      22 合山究, "明清時代の女性と文学" 汲古書院 2016

      23 毛文芳, "明淸女性畵像文本探論" 學生書局 2013

      24 최수경, "明淸時期 女性文學 資料 譯註와 解題(1)" 중국학연구소 (19) : 203-228, 2006

      25 박청아, "明末淸初 仕女畵에 나타난 妓女 이미지 考察" 2017

      26 崔秀景, "明末 기녀를 둘러싼 문화적 이미지와 그 의미" 중국어문연구회 (31) : 233-263, 2006

      27 김원동, "明末 妓女들의 삶과 文學과 藝術(1)・(2): 馬守眞, 薛素素, 柳如是" 韓國中國語文學會 35-36 : 2001

      28 이봉상 ; 권호종, "明代 妓女 馬守眞 硏究 - 《靑樓韻語》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학회 (63) : 91-118, 2018

      29 권호종 ; 신민야, "明代 妓女 景翩翩 詩歌 小考" 외국학연구소 (37) : 295-322, 2016

      30 許文美, "宮中行樂-仇英"漢宮春曉"研究" 國立故宮博物院 36 (36): 2019

      31 馮幼衡, "唐寅仕女畫的類型與意涵-江南第一風流才子的曠古沉哀" 國立故宮博物院 22 (22): 2005

      32 溫珮琪, "品花評豔-論《吳姫百媚》的文學評點與圖像敍事" 國立高雄師範大 44 : 2018

      33 鄧嫣, "周之標戱曲活動硏究" 南京師範大 2020

      34 "吳姫百媚" 北京圖書館出版社 2002

      35 錢謙益, "列朝詩集小傳" 上海古籍出版社 2008

      36 배다니엘, "中國 古典詩에 나타난 桂樹 묘사 고찰" 남서울대학교 18 : 2012

      37 이기훈 ; 황영희, "『靑樓韻語』 詩歌에 대한 통시적 고찰" 세계문학비교학회 (51) : 81-110, 2015

      38 高洪鈞, "《金陵百媚》與馮夢龍跋" 6 : 1994

      39 Weidner Marsha, "Views from Jade Terrace: Chinese Women Artists 1300~1912" Indianapolis Museum of Art 1988

      40 Lee Wun Sze Sylvia, "The Icon of Garden: How Seventeenth-century Women Painter in Jiangnan Constructed and Developed their Public Personae and Artistic Identites"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1

      41 Ko Dorothy, "Teachers of the Inner Chambers: Women and Culture in Seventeenth Century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42 Weidner Marsha, "Flowering in the Shadows: Women in the History of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43 Laing Ellen Johnston, "Chinese Palace-Style Poetry and the Depiction of a Palace Beauty" 72 (72): 1990

      44 장준구, "16, 17세기 중국의 여성화가" 한국예술연구소 (21) : 223-248,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