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시가 연구 100년의 자취와 전망 = Traces and Prospects of 100 Years of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3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전시가에 대한 100여 년에 걸친 연구사를 학문 주체, 학문의 경향, 시대적 맥락에 따라 일제강점기의 1세대의 연구, 해방이후부터 70년대 초반의 2세대의 연구, 7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사이...

      고전시가에 대한 100여 년에 걸친 연구사를 학문 주체, 학문의 경향, 시대적 맥락에 따라 일제강점기의 1세대의 연구, 해방이후부터 70년대 초반의 2세대의 연구, 7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사이의 3세대의 연구, 90년대 이후의 4세대의 연구로 나누어 되돌아보면서 앞으로의 길을 전망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김태준과 조윤제 등 1세대 학자들에 의한 시가연구의 핵심은 ‘타자의 발견으로서 근대’, ‘식민지적 침탈 대 저항으로서 민족문학 수립’, ‘실증주의와 마르크시즘 연구방법론’이다.
      해방 직후부터 70년대 초반까지 구자균과 고정옥, 정병욱 등 2세대 학자들에 의한 시가 연구의 가장 큰 흐름은 ‘민족 문학의 정립’과 ‘한국 문학의 내재적 근대성,’ ‘한국문학의 ‘전후의 복구와 진보적 해석의 타자화/주변화,’ ‘남북한 문학의 분리’다.
      최동원, 조동일, 박노준 등 3세대가 주도한 70년대-90년대 시가연구의 큰 흐름은 ‘역사·실증주의의 압도와 탈주,’ ‘(이에 따른) 시가연구의 화려한 개화’와 ‘굳건한 연구 토대의 구축’이다. 이들은 실증주의 방법론에 역사주의 비평을 접목하여 작품에 대한 치밀한 고증과 해석을 하였으며, 반면에 몇몇 학자들은 이에서 탈주하여 시가의 형식과 시학적 분석을 하고 미학적 가치를 드러내는 데 치중하였다.
      21세기를 맞아 고전시가 연구자들은 형식주의 비평이나 기호학, 자율성의 미학에 맑스주의 비평과 타율성의 미학, 문화연구를 융합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자들이 동일성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차이의 패러다임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창조적 연구의 지평이 열릴 것이다. 아울러, 연구자들이 지배적 담론에서 벗어나 배제되거나 경계에 선 이들을 주목하며 서발턴(subaltern)의 입장에서 ‘결을 거스리는 읽기’를 하면 기존과 다른 해석들이 풍성하게 생산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鄭炳昱, "李朝後期詩歌의 變異過程考" 31 (31): 138-163, 1974

      2 임기중, "歷代歌辭文學全集 1~30권" 東西文化院 1999

      3 이도흠,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한양대출판부 1999

      4 김학성, "현대시조의 이론과 비평" 보고사 2015

      5 홍기문, "향가해석" 여강출판사 1990

      6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출판부 1990

      7 박노준,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8 박노준, "향가여요 종횡론" 보고사 2014

      9 조동일, "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 한길사 1982

      10 김학성, "한국시가의 담론과 미학" 보고사 2004

      1 鄭炳昱, "李朝後期詩歌의 變異過程考" 31 (31): 138-163, 1974

      2 임기중, "歷代歌辭文學全集 1~30권" 東西文化院 1999

      3 이도흠,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한양대출판부 1999

      4 김학성, "현대시조의 이론과 비평" 보고사 2015

      5 홍기문, "향가해석" 여강출판사 1990

      6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출판부 1990

      7 박노준, "향가여요의 정서와 변용" 태학사 2001

      8 박노준, "향가여요 종횡론" 보고사 2014

      9 조동일, "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 한길사 1982

      10 김학성, "한국시가의 담론과 미학" 보고사 2004

      11 성기옥, "한국시가율격의 이론" 새문社 1986

      1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84

      13 황패강, "한국문학작가론" 집문당 2000

      14 조동일, "한국문학의 갈래이론" 집문당 1992

      15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전통과 계승" 성균관대출판부 2009

      16 임기중, "한국가사문학 주해연구 1~20권" 아세아문화사 2005

      17 이민홍, "한국 민족예악과 시가문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1

      18 김학성, "한국 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출판부 1980

      19 김학성, "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1987

      20 정병욱, "증보판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3

      21 윤재민, "중인문학(中人文學)의 개념과 성격" 17 : 391-405, 1994

      22 박노준, "조선후기시가의 현실인식"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1998

      23 金興圭, "욕망과 형식의 詩學 : 韓國古典詩歌論" 태학사 1999

      24 김흥규, "옛시조의 모티프·미의식과 심상공간의 역사" 소명 2016

      25 아렌트, 한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6

      26 임경화, "식민지기 일본인 연구자들의 향가 해독 : 차용체(借用體)에서 국문으로" 국어학회 (51) : 365-384, 2008

      27 김대행, "시조 유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28 이도흠, "사설시조 담론 주도층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예술적 지향성 - 유가적 미학·놀이의 興·통속성·탈중세성 -" 한국시가학회 36 : 79-116, 2014

      29 이도흠, "동아시아 문학, 새로운 패러다임과 방법론" 한국비교문학회 (77) : 85-117, 2019

      30 밀그램, 스탠리, "권위에 대한 복종" 에코리브르 2009

      31 신동흔, "국문학자 열전2-고정옥의 삶과 학문세계(상)" 민족문학사학회 7 : 270-316, 1995

      32 옹, 월터 J,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2000

      33 김태준, "교주 조선가요집성" 도서출판 다운샘 2007

      34 김헌선, "고정옥의 구비문학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 : 323-343, 1995

      35 김영희, "고정옥의 <조선민요연구>: 탈식민적 전환의 모색과 잉여" 온지학회 (49) : 29-80, 2016

      36 고정옥, "고장시조선주(古長時調選註)" 보고사 2005

      37 최동원, "고시조론" 삼영사 1986

      38 김흥규, "고시조대전"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012

      39 김흥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계량적 분석과 시조사의 지형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40 김학성, "가사의 쟁점과 미학" 월인 2019

      41 박노준, "高麗歌謠의 硏究" 새문社 1995

      42 金大幸, "韓國詩의 傳統硏究" 開門社 1980

      43 김대행, "韓國詩歌構造硏究" 三英社 1982

      44 이민홍, "韓國民族樂舞와 禮樂思想" 集文堂 1997

      45 朴乙洙編, "韓國時調大事典" 亞細亞文化社 1992

      46 黃浿江, "韓國古代歌謠" 새문社 1986

      47 黃浿江, "鄕歌麗謠硏究" 二友出版社 1985

      48 고운기, "鄕歌의 근대 2 - 小倉進平가 [鄕歌及び吏讀の硏究]에 붙인 自筆 메모" 한국시가학회 37 : 173-211, 2014

      49 고운기, "鄕歌의 근대 1-金澤庄三郞와 鮎貝房之進의 향가 해석이 이루어지기까지-" 한국시가학회 25 : 5-36, 2008

      50 김완진, "鄕歌解讀法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82

      51 小倉進平, "鄕歌及び吏讀の硏究" 京城帝国大学 1931

      52 김대행, "詩歌詩學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1

      53 沈載完, "校本歷代時調全書" 世宗文化社 1972

      54 趙潤濟, "朝鮮詩歌史綱" 東光堂書店 1937

      55 고정옥, "朝鮮民謠硏究-原始藝術로서의 民謠一般과 庶民文學으로서의 朝鮮民謠" 首善社 1949

      56 김흥규, "朝鮮後期의 詩經論과 詩意識" 高大民族文化硏究所出版部 1982

      57 具滋均, "朝鮮平民文學史" 民學社 1974

      58 양주동, "朝鮮古歌硏究" 博文書館 1942

      59 이민홍, "朝鮮中期詩歌의 理念과 美意識"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93

      60 鄭炳昱, "時調文學事典" 新丘文化社 1971

      61 박노준, "新羅歌謠의 硏究" 悅話堂 1982

      62 임기중, "新羅歌謠와 記述物의 硏究 : 呪力觀念을 中心으로" 二友出版社 1981

      63 최철, "新羅歌謠硏究 : 그 作者와 背景說話를 中心으로" 開文社 1979

      64 김학성, "國文學의 探究"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7

      65 "Online Etymology Dictionary"

      66 Moore, J, W, "Anthropocene or Capitalocene? Nature, History, and the Crisis of Capitalism" PM Press 2016

      67 정옥자, "19세기 초 中人文學의 새로운 結集形態 : 溪社遺唾" 翰林大學校泰東古典硏究所 10 : 437-457, 1993

      68 이도흠, "18-19세기 한국문학-차이의 근대성" 소명출판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