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거주 일본인의 문화적응 모형과 다문화적 수용태도 연구 = A Study on the Model of Accultura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20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acculturation and to consider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model of acculturation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is the third ty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acculturation and to consider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model of acculturation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is the third type (assimilation) and the fourth type (integration) those were higher than other types. These results show that Japanese Residents in Korea can assume so that acculturation level is very high. However, they were in lots of stress to adopt Korean culture that assumes also high.
      An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are strategically acculturation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which is strong anti-Japan sentiment. This means Korean society did not show yet a multicultural society for foreigners. Political and cultural factors along with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lso affect the results. It show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Korean society accepts a little more multicultural family and admit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재한일본인의 문화적응 모형을 개발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화적응 유형의 도출과 다문화적 수용태도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재한일본인들은 베리(Berry, 1997)의 문화적응...

      이 연구는 재한일본인의 문화적응 모형을 개발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화적응 유형의 도출과 다문화적 수용태도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재한일본인들은 베리(Berry, 1997)의 문화적응 유형 중 제3유형, 즉 동화유형으로 개인이 한국사회와의 관계를 긴밀히 유지하지만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과 특성을 포기하는 유형, 제4유형, 즉 통합유형으로 한국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일본문화의 문화적 정체성과 특성을 유지하는 문화적응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한일본인들이 한국사회에 문화적응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한국 문화적응에 대한 스트레스도 높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반일감정이 강한 한국에서 재한일본인들이 생존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선택한 동화와 통합의 문화적응 유형은 반대로 150만 명에 육박하는 외국인들에게 다양화된 한국사회를 보여주고 있지 않다는 연구결과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재한일본인의 문화적응과 수용태도가 언어능력이나 체류기간도 중요하지만 한일관계에 따른 문화적 요인이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다문화시대 향후 한국사회가 좀 더 다문화가정을 포용하고 인정하는 다양화된 사회형태로 발전해 나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2 임영언, "재한일본인의 집거지 공동체 형성과 디아스포라적 문화의 특성 고찰"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7 (27): 259-297, 2012

      3 임영언, "재한일본인의 이주역사와 동부이촌동 일본인집거지 형성배경 고찰" 2011

      4 김응렬, "재한일본인의 생활사" 1996

      5 김석란, "재한일본인아내의 국적에 관한 연구- 해방이전 결혼자를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36) : 339-352, 2007

      6 Furukawa, Ayako., "재한 일본인의 문화 충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2006

      7 서선자, "재한 일본인 유학생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이명관, "재한 일본인 유학생들의 학교 및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통일교회 신앙을 지닌 중·고생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9 최경린, "자아구성이 문화변용전략에 미치는 영향: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185-204, 2011

      10 송석원, "일본정부의 일계인(日係人) 정책 : JICA의 해외일계인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37) : 103-119, 2009

      1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2 임영언, "재한일본인의 집거지 공동체 형성과 디아스포라적 문화의 특성 고찰"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7 (27): 259-297, 2012

      3 임영언, "재한일본인의 이주역사와 동부이촌동 일본인집거지 형성배경 고찰" 2011

      4 김응렬, "재한일본인의 생활사" 1996

      5 김석란, "재한일본인아내의 국적에 관한 연구- 해방이전 결혼자를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36) : 339-352, 2007

      6 Furukawa, Ayako., "재한 일본인의 문화 충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2006

      7 서선자, "재한 일본인 유학생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이명관, "재한 일본인 유학생들의 학교 및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통일교회 신앙을 지닌 중·고생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9 최경린, "자아구성이 문화변용전략에 미치는 영향: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185-204, 2011

      10 송석원, "일본정부의 일계인(日係人) 정책 : JICA의 해외일계인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37) : 103-119, 2009

      11 조현미, "일본인 국제결혼여성의 혼성적 정체성" 일본어문학회 (45) : 521-544, 2009

      12 이덕구, "일본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 충남의 농촌지역(홍성, 예산, 청양)을 대상으로" 11 (11): 2009

      13 임영언, "일계인디아스포라 브라질 이주사와 전시 문화콘텐츠 고찰" 한국일본문화학회 (50) : 345-368, 2011

      14 임영언, "일계인(日系人:닛케이진)디아스포라: 초민족공동체 형성과정 연구" 한국일본문화학회 (46) : 455-476, 2010

      15 임영언, "일계인(日系人)디아스포라의 귀환과 브라질타운형성에 관한 연구: 군마겐 오이즈미초 일계브라질인타운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6 (16): 267-291, 2011

      16 보건복지부, "여성결혼이민자 가족사회통합지원 대책" KDI경제정보센터 2006

      17 정진경,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 23 (23): 101-136, 2004

      18 윤인진, "문화교육인력 양성사업 로드맵 구축 연구" 18 : 2008

      19 유진이,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5 (5): 89-100, 2007

      20 보건복지가족부,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서비스" KDI 경제정보센터 2008

      21 김경아, "다문화가정지원정책의 성격" 111

      22 이재분, "다문화가정자녀의 학교교육 현황과 과제 :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2008

      23 박남수, "다문화 사회에 있어 시민적 자질의 육성: 사회과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모색, In 출입국․외국인정책통계연보" 사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10

      24 설동훈,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25 정명희,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 스트레스 발생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국제지역학회 15 (15): 451-481, 2011

      26 김은실,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응"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7

      27 설동훈, "결혼이민자 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6

      28 伊藤考司, "日本人花嫁の戦後 韓国․ナザレ園からの証言" LYU工房 1996

      29 金春男, "文化的背景に配慮した在韓․在日外国人高齢者の老後生活の支援 : 在韓 日本人と在日コリアンのための老人ホームをとおして" 59 : 2010

      30 인곡지웅, "在韓日本人妻의 形成과 生活適應에 關한 硏究 : 生活史硏究를 中心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4

      31 宋美虎, "ナザレ園-金龍成先生との約束" 株式会社喜田寛総合研究所 1994

      32 김지영, "「조국」문화로서의 「한류」 재일한국․조선인의 「한류」미디어 접촉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41) : 197-212, 2009

      33 Barth, Fredrick., "Introduction, In Ethnic Groups Boundaries" Allen & Unwin 1969

      34 Berry, J. W,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46 (46): 1997

      35 Cohen, Robin, "Global Diasporas : An introduction" UCL Press 1997

      36 Marcus Banks, "Ethnicity : Anthropological Constructions" Routledge 1996

      37 Safran, William,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1 (1): 1991

      38 Cohen, Abner, "Custom and Politics in Urban Af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39 Ashim C. Uwaje, "Culture shock, Re-Integration and Re-Entry culture shock: Managing Cultural Differences" Munich Business School 2009

      40 Oberg, K., "Culture Shock: Adjustment to New Environment" Practical Anthropology 7 : 1960

      41 윤인진, "2007년 다문화가정자녀교육지원계획" 21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