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전기 문학 연구의 쟁점과 과제 -시가 연구 위주- = Issues and Tasks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6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discussed concretely the issues and tasks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 mainly in the study of Korean poetry ―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issues in the study, I listed ⑴ whether the akjang in the 15th century is a ...

      In this paper, I discussed concretely the issues and tasks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 mainly in the study of Korean poetry ―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issues in the study, I listed ⑴ whether the akjang in the 15th century is a single genre or not, ⑵ the generic character of Yongbieocheonga, ⑶ the time of occurrence of sijo genre and gasa genre, ⑷ the artistic nature of sijo.
      As the tasks, in the study of poetry, I emphasized ⑴ the studies standing on credible poems, ⑵ the more acquisition of the materials about poems, ⑶ the deep research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words in poems, ⑷ the investigation of the artistic value of poems and its significance, ⑸ the discover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ree-line form of sijo, ⑹ the study about the achievements and influences of Jeong, Cheol’s poems, ⑺ and so on. And in the study of prose, I emphasized ⑴ the consideration on the influences of Chinese dramas, ⑵ the interest in the literature for amus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문학사 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 전기 문학 연구의 쟁점과 과제에 대하여 시가 연구 위주로,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에 현실적으로 도움 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논한 것이다. ‘연...

      이 글은 문학사 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 전기 문학 연구의 쟁점과 과제에 대하여 시가 연구 위주로,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에 현실적으로 도움 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논한 것이다.
      ‘연구의 쟁점’으로는 시가 연구에서 ⑴ 조선 초기 악장이 단일 장르인지의 여부, ⑵ <용비어천가>의 장르적 성격, ⑶ 시조 장르와 가사 장르의 발생 시기, ⑷ 시조의 예술적 본질을 들었다.
      ‘연구의 과제’로는 시가 연구에서 ⑴ 신빙성 있는 작품들에 의거하는 연구, ⑵ 작품 관련 자료들의 확충, ⑶ 시어에 대한 깊은 천착과 바른 이해, ⑷ 시가 작품들의 문학성(예술성)과 그 의의 구명, ⑸ 시조의 3행 형식이 지닌 특성 구명, ⑹ 정철 시가의 성과와 영향에 대한 연구, ⑺ 기타 몇 가지를 강조하였다. 산문문학 연구에서는 ⑴ 중국희곡의 영향에 대한 고려, ⑵ 유희문학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창돈, "李朝語辭典" 연세대학교출판부 261-, 1979

      2 김종우, "향가문학연구" 이우출판사 319-352, 1974

      3 강전섭, "한국시가문학연구" 대왕사 143-151, 1986

      4 강전섭, "한국시가문학연구" 대왕사 16-36, 1986

      5 강전섭, "한국시가문학연구" 대왕사 70-103, 1986

      6 김대행, "한국시가구조연구" 삼영사 226-235, 1976

      7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350-359, 1970

      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269-, 1983

      9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10-, 1986

      10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視角" 창작과비평사 51-62, 1978

      1 유창돈, "李朝語辭典" 연세대학교출판부 261-, 1979

      2 김종우, "향가문학연구" 이우출판사 319-352, 1974

      3 강전섭, "한국시가문학연구" 대왕사 143-151, 1986

      4 강전섭, "한국시가문학연구" 대왕사 16-36, 1986

      5 강전섭, "한국시가문학연구" 대왕사 70-103, 1986

      6 김대행, "한국시가구조연구" 삼영사 226-235, 1976

      7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350-359, 1970

      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269-, 1983

      9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10-, 1986

      10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視角" 창작과비평사 51-62, 1978

      11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문화사 101-, 1963

      12 양태순, "한국고전시가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4-, 2003

      13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48-249, 1977

      14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속" 이우출판사 135-195, 1975

      15 정병욱, "한국 시가문학의 탐구" 신구문화사 269-279, 1976

      16 성호경, "한국 고전시가의 존재방식과 노래" 한국고전문학회 12 : 59-89, 1997

      17 성호경, "한국 고전시가 총론" 태학사 84-, 2016

      18 성호경, "한국 고전문학 탐구" 태학사 335-390, 2021

      19 성호경,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국어국문학회 (161) : 63-89, 2012

      20 권순회, "필사본 『불우헌유고(不憂軒遺稿)』의 발굴과 <상춘곡(賞春曲)>의 작자 문제" 한국시가학회 56 : 5-41, 2022

      21 성호경, "조선전기시가론" 새문사 5-174, 1986

      22 조윤제, "조선시가의 연구" 을유문화사 174-200, 1948

      23 김사엽, "정송강연구" 계몽사 351-, 1950

      24 이능우, "이해를 위한 李朝時調史" 이문당 9-10, 1956

      25 조흥욱, "월인천강지곡의 문학적 연구" 국민대학교 출판부 4-, 2008

      26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4. 옛말과 이두" 어문각 5019-, 1992

      27 김학성, "용비어천가의 짜임과 시적 묘미" 국어국문학회 (126) : 169-191, 2000

      28 조규익, "용비어천가의 장르적 성격" 국어국문학회 (103) : 83-106, 1990

      29 김승우, "용비어천가의 성립과 수용" 보고사 46-57, 2012

      30 성기옥, "용비어천가의 문학적 성격" 진단학회 (68) : 143-170, 1989

      31 조흥욱, "용비어천가에 대하여" 국립국어원 13 (13): 213-228, 2003

      32 박재연, "왕시봉뎐"

      33 임기중, "역대가사문학전집(전 50권)" 동서문화사․여강출판사․아세아문화사 1998

      34 권두환, "시조의 발생과 기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8 : 21-45, 1993

      35 조동일, "시조의 넓이와 깊이" 대한민국학술원 3-, 2017

      36 성호경, "시조문학" 서강대학교출판부 1-463, 2014

      37 김수업, "시조론" 일조각 1-24, 1978

      38 이태극, "시조개론" 새글사 1-452, 1959

      39 김대행, "시조 유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350, 1986

      40 조윤제, "시가의 연구" 정음사 258-270, 1984

      41 김사엽, "송강가사" 문호사 114-, 1959

      42 조규익, "선초악장문학연구" 숭실대학교 출판부 30-31, 1990

      43 김문기, "불교계 경기체가 연구" 성곡학술문화재단 22 : 1863-1899, 1991

      44 성기옥, "백영정병욱선생 환갑기념논총" 신구문화사 416-435, 1982

      45 정학성, "고전소설의 양식과 비판정신" 월인 103-128, 1999

      46 이능우, "고시가논고"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381-414, 1983

      47 김신중, "고반원: 신자료 소개, 남언기의 가사 <고반원가>" 한국가사문학관 (여름) : 59-63, 2015

      48 성호경, "고려시가 <後殿眞勺>(<北殿>)의 복원을 위한 모색" 국어국문학회 (90) : 213-245, 1983

      49 최강현, "가사문학연구" 정음사 64-78, 1974

      50 최강현, "가사문학론" 새문사 157-212, 1986

      51 조규익, "가곡창사의 국문학적 본질" 집문당 71-, 1994

      52 權踶, "龍飛御天歌" 아세아문화사 1973

      53 金宗瑞, "高麗史" 아세아문화사 1972

      54 曺友仁, "頤齋集" 민족문화추진회 2006

      55 許筠, "許筠全書" 아세아문화사 1980

      56 李睟光, "芝峰類說" 을유문화사 1975

      57 安瑋, "經國大典註解" 단국대학교 출판부 1979

      58 李穀, "稼亭集" 민족문화추진회 1990

      59 李穡, "牧隱詩藁" 민족문화추진회 1990

      60 "燕山君日記" 국사편찬위원회 1980

      61 洪萬宗, "洪萬宗全集 上" 태학사 1980

      62 민영규, "江華學 최후의 광경" 우반 123-, 1994

      63 심재완, "校本 歷代時調全書" 세종문화사 1-1341, 1972

      64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민족문화추진회 1990

      65 조윤제, "朝鮮詩歌史綱" 동광당서점 120-, 1937

      66 정병욱, "時調文學事典" 신구문화사 1-862, 1966

      67 이능우, "崔鉉培先生還甲記念論文集" 사상계사 221-232, 1954

      68 최재남, "士林의 향촌생활과 시가문학" 국학자료원 1-391, 1997

      69 鄭澈, "國譯 松江集 下" 삼안출판사 1974

      70 장사훈, "國樂論攷" 서울대학교출판부 83-, 1966

      71 이병기, "國文學全史" 신구문화사 108-109, 1957

      72 김흥규, "古時調大全"

      73 宋純, "俛仰集" 민족문화추진회 1998

      74 "中宗實錄" 국사편찬위원회 1980

      75 권영철, "不憂軒歌曲硏究" 효성여자대학 국어국문학과 2 : 39-91, 1969

      76 심경호, "『五倫全傳』에 대한 고찰" 애산학회 8 : 111-130, 1989

      77 Wellek, René, "Theory of Literature" Peregrine Books 231-, 1970

      78 Lee, Peter H., "Songs of Flying Dragons" Harvard University Press vii-, 1975

      79 Preminger, Alex,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Macmillan Press 446-449, 1979

      80 Fussell, Paul, "Poetic Meter and Poetic Form" Random House 129-133, 1979

      81 Lessing, Ferdinand D., "Mongolian-English Dictionary" Routledge 294-, 2015

      82 Poppe, Nicolas, "Grammar of Written Mongolia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1-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7-10-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KCI등재
      2017-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3 2.12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