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문학을 통해 되돌아보는 삼한통일(三韓統一)의 역사(Ⅱ) : 조선 시대 한시에 나타난 신라의 삼한통일을 중심으로 = The History of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Hans Looking Back through Sino-Korean Literature(Ⅱ): Focused on the Unification by Shilla Expressed in Sino-Korean Poetry Created in J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6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 시대 한시에 나타난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의 삼한통일에 대한 인식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삼한통일의 주체가 고려 시대에는 대부분 태조 왕건으로 한정되어...

      이 글은 조선 시대 한시에 나타난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의 삼한통일에 대한 인식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삼한통일의 주체가 고려 시대에는 대부분 태조 왕건으로 한정되어 나타났는데, 조선 시대에는 신라의 태종 무열왕, 김유신, 문무왕 등으로 확대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는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이루어진 신라에 대한 재조명 작업과 관련되어 있다. 조선조 지식인들이 신라의 업적 중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것은 단연 삼한통일이었다.
      조선조 지식인들은 태종 무열왕이나 문무왕이 김유신과 같은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여 군신 간에 화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삼한통일의 대업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삼한통일의 진정한 영웅, 신라 시대 최고의 인물은 단연 김유신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김유신은 삼한통일의 업적으로 인해 민간전승의 설화 속 주인공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유자 지식인들에게도 영검한 신앙의 대상으로까지 숭앙을 받았다. 김유신의 삼한통일은 민족사 오천 년의 제일이자 우리 민족과 중국의 역사를 통틀어서도 미증유의 업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정리하자면 조선조 지식인들이 보기에 태종 무열왕이나 문무왕이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여 군신 간의 화합을 통해 삼한통일의 대업을 이룰 수 있었고, 그러한 인재 중에서도 최고의 인물은 다름 아닌 민족의 영웅 김유신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조선조 지식인들의 인식에는 실상 자신들이 활동하던 시대에도 태종 무열왕이나 문무왕과 같은 임금이 나와서 김유신과 같은 인재를 등용하여 군신 간에 화합을 통해 태평성대를 구가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반영되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is to inspect the conception aspect of the intellectuals in Joseon dynasty about the unification of three Hans by Shilla dynasty. The prime mover of the unifi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ly King Taejo Wang Geon in Goryeo dynasty, but the...

      This essay is to inspect the conception aspect of the intellectuals in Joseon dynasty about the unification of three Hans by Shilla dynasty. The prime mover of the unifi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ly King Taejo Wang Geon in Goryeo dynasty, but the mover has been considered as not only King Taejo Wang Geon of Goryeo but also King Taejong Muyeol, General Kim Yusin and King Munmu of Shilla dynasty in Joseon dynasty. That is related with the revaluation of Shilla dynasty made in Joseon dynasty. It was the unification that the intellectuals in Joseon considered as the best achievement of Shilla.
      They thought that King Taejong Muyeol and King Munmu had picked up the great person like Kim Yusin so the three persons could made the cooperation by sovereign and subject and unified three Hans. Therefore they thought that the true hero of unification and the best man in Shill is Kim Yusin. Kim Yusin has become the main character of folklore legend by the achievement of unification, furthermore trusted as the object of holy religious belief even by Confucian intellectuals. The unification by Kim Yusin has been accepted as the unprecedented achievement in our and Chinese five thousand history.
      In conclusion, Joseon intellectuals thought that King Taejong Muyeol and King Munmu had picked up the great person and through the cooperation by sovereign and subject, the three persons could unified three Hans. The best man of great persons and subjects is none other than Kim Yusin. And the intellectuals hoped that magnificent king such as King Taejong Muyeol and King Munmu showed up and the king picked up the great persons like Kim Yusin to make the peaceful period through the cooperation by sovereign and subject in Joseon dynasty when they liv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신사 (주) 뉴시스[Newsis], 2006년 9월 20일자 기사 참조"

      2 윤경진, "신라 통일기 금석문에 나타난 天下觀과 歷史意識: 三韓一統意識의 성립 시기 고찰" 수선사학회 (49) : 177-216, 2014

      3 윤경진, "신라 神武-文聖王代의 정치 변동과 三韓一統意識의 출현" 신라문화연구소 46 : 207-242, 2015

      4 이민수,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1983

      5 신호열, "삼국사기Ⅰ․Ⅱ" 동서문화사 1977

      6 권덕영, "고대 동아시아의 삼한-삼국 계승의식의 정립 과정" 부산경남사학회 (99) : 37-73, 2016

      7 李元培, "龜巖集"

      8 李楨, "龜巖集"

      9 安鼎福, "順菴集"

      10 申箕善, "陽園遺集"

      1 "통신사 (주) 뉴시스[Newsis], 2006년 9월 20일자 기사 참조"

      2 윤경진, "신라 통일기 금석문에 나타난 天下觀과 歷史意識: 三韓一統意識의 성립 시기 고찰" 수선사학회 (49) : 177-216, 2014

      3 윤경진, "신라 神武-文聖王代의 정치 변동과 三韓一統意識의 출현" 신라문화연구소 46 : 207-242, 2015

      4 이민수,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1983

      5 신호열, "삼국사기Ⅰ․Ⅱ" 동서문화사 1977

      6 권덕영, "고대 동아시아의 삼한-삼국 계승의식의 정립 과정" 부산경남사학회 (99) : 37-73, 2016

      7 李元培, "龜巖集"

      8 李楨, "龜巖集"

      9 安鼎福, "順菴集"

      10 申箕善, "陽園遺集"

      11 崔溥, "錦南集"

      12 申欽, "象村稿"

      13 鄭麟趾等, "譯註高麗史(第八, 列傳一)" 태학사 1987

      14 박대재, "謝承 『後漢書』 東夷列傳에 대한 예비적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55) : 39-70, 2009

      15 朱熹撰, "詩經集傳(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

      16 曺夏望, "西州集"

      17 吳光運, "藥山漫稿"

      18 안동림, "莊子" 현암사 1993

      19 李睟光, "芝峯類說"

      20 兪漢雋, "自著"

      21 洪良浩, "耳溪集"

      22 申用漑, "續東文選"

      23 韓運聖, "立軒集"

      24 衞湜撰, "禮記集說(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

      25 鄭玄注, "禮記注疏(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

      26 成海應, "硏經齋全集"

      27 申光洙, "石北集"

      28 南景羲, "癡庵集"

      29 丁若鏞, "牧民心書"

      30 남재철, "漢文學을 통해 되돌아보는 三韓統一의 역사(Ⅰ)-高麗 시대까지의 漢詩에 나타난 三韓과三韓統一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76) : 135-198, 2019

      31 權相一, "淸臺集"

      32 宋秉璿, "淵齋集"

      33 李學逵, "洛下生集"

      34 周世鵬, "武陵雜稿"

      35 金時習, "梅月堂集"

      36 洪直弼, "梅山集"

      37 具鳳齡, "栢潭集"

      38 權宇, "松巢集"

      39 徐居正, "東文選"

      40 蘇軾撰, "東坡全集(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

      41 杜預注, "春秋左傳注疏(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

      42 李瀷, "星湖全集"

      43 윤경진, "新羅 太宗(武烈王) 諡號 논변에 대한 자료적 검토 - 原典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역사실학회 (51) : 5-41, 2013

      44 李荇等, "新增東國輿地勝覽"

      45 任弘亮, "敝帚遺稿"

      46 李萬敷, "息山集"

      47 曺兢燮, "巖棲集"

      48 孫武撰, "孫子(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

      49 李匡師, "圓嶠集"

      50 徐居正, "四佳詩集"

      51 朴承任, "嘯皐集"

      52 朴世堂, "南華經" 학민문화사 1993

      53 嚴昕, "十省堂集"

      54 張湛注, "列子(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

      55 李令翊, "信齋集"

      56 전진국, "三韓의 용례와 그 인식" 한국사연구회 (173) : 1-38, 2016

      57 노태돈, "三韓에 대한 認識의 變遷" 한국사연구회 38 : 129-156, 1982

      58 윤경진, "三韓一統意識의 성립 시기에 대한 재론 - 근거 자료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75) : 33-85, 2016

      59 윤경진, "三韓 인식의 연원과 통일전쟁기 新羅의 天下觀" 국학연구원 (167) : 95-131, 2014

      60 姜浚欽, "三溟詩"

      61 一然, "三國遺事" 대제각 1987

      62 金富軾, "三國史記" 대제각 1987

      63 전진국, "「청주운천동신라사적비」의 제작 연대 검토- 서체와 주변 환경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84) : 147-176, 2019

      64 윤경진, "「청주운천동사적비」의 건립 시기에 대한 재검토" 수선사학회 (45) : 107-140, 2013

      65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 근대문학 해제집 II - 문학잡지(1896~1929) 참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