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리와 염소 주성분 녹색 안료 코퍼 트리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Copper Trihydroxychloride)에 대한 고찰 = Review of Copper Trihydroxychloride, a Green Pigment Composed of Copper and Chlor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7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pper trihydroxychloride (atacamite, botallackite, paratacamite, etc.), the first green pigment used in MogaoGrotto’s mural paintings of China, has been known as “copper green”, “green salt”, and “salt green”, etc. and hasbeen used as a...

      Copper trihydroxychloride (atacamite, botallackite, paratacamite, etc.), the first green pigment used in MogaoGrotto’s mural paintings of China, has been known as “copper green”, “green salt”, and “salt green”, etc. and hasbeen used as an important green pigment with malachite. At first, the natural mineral atacamite was employed,but after the Five Dynasties (907~960 CE), synthetic copper trihydroxychloride was primarily used. In Chineseliterature, copper green, green salt, and salt green are recorded as being made via reaction with copper powder,Gwangmyeongyeom (natural sodium chloride), and Yosa (natural ammonium chloride), and the prepared materialwas analyzed to be copper trihydroxychloride. Copper trihydroxychloride pigment was not found in paintingsprior to the Joseon Dynasty (1392~1910 CE) in Korea. In analysis of the green pigments used in paintings and thearchitectural paintworks in the Joseon Dynasty, copper trihydroxychloride was also shown to have been used as animportant green pigment with malachite (Seokrok).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copper trihydroxychloride usewas high in Buddhist paintings, shamanic paintings, and dancheongs (decorative coloring on wooden buildings).
      Some of these turned out to be synthetic copper trihydroxychloride, but it is unclear whether the rest of them aresynthetic or natural pigments due to a lack of analyzed data. From literature and painting analyses, the pigment nameof copper trihydroxychloride in the Joseon Dynasty turns out to be Hayeob, a dark green pigment. It is believed tohave first been prepared by learning from China in the early Joseon period (early 15th century) and its use continueduntil the late 19th century with imported Chinese pigment. Round or oval particles with a dark core of coppertrihydroxychloride which were used in Chinese literature were similar to the synthetic copper trihydroxychloridepigments used in the Joseon Dynasty and Chinese paintings. Therefore, the synthetic copper trihydroxychloridepigments of Korea and China are believed to have been prepared in a similar w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선, "李鶴 소장 고려불화 ‘수월관음도’의 保存修復에 관하여" 1 : 45-75, 1996

      2 "金華耕讀記"

      3 국립문화재연구소, "흥국나 노사나불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65-93, 2017

      4 한민수,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통도사 영산전 벽화 안료의 과학적 성분분석" 국립문화재연구소 44 (44): 132-149, 2011

      5 유혜영, "훈증소독에 따른 서화류의 안료변색 및 pH변화 유무 조사" 1 : 43-51, 1999

      6 유혜선, "화엄사의 불교미술" 국립중앙박물관 138-152, 2010

      7 국립문화재연구소,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5-71, 2017

      8 유혜선, "화엄사 괘불" 국립중앙박물관 41-47, 2008

      9 김규호, "해학반도도 채색안료에 대한 비파괴 특성 분석" 28 : 121-147, 2007

      10 Winter, J., "한국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43 : 1-36, 1989

      1 박지선, "李鶴 소장 고려불화 ‘수월관음도’의 保存修復에 관하여" 1 : 45-75, 1996

      2 "金華耕讀記"

      3 국립문화재연구소, "흥국나 노사나불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65-93, 2017

      4 한민수,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통도사 영산전 벽화 안료의 과학적 성분분석" 국립문화재연구소 44 (44): 132-149, 2011

      5 유혜영, "훈증소독에 따른 서화류의 안료변색 및 pH변화 유무 조사" 1 : 43-51, 1999

      6 유혜선, "화엄사의 불교미술" 국립중앙박물관 138-152, 2010

      7 국립문화재연구소, "화엄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5-71, 2017

      8 유혜선, "화엄사 괘불" 국립중앙박물관 41-47, 2008

      9 김규호, "해학반도도 채색안료에 대한 비파괴 특성 분석" 28 : 121-147, 2007

      10 Winter, J., "한국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43 : 1-36, 1989

      11 국립문화재연구소, "통도사 석가여래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3-72, 2015

      12 국립문화재연구소, "통도사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1-69, 2015

      13 경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통과학기술실용화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14 유혜선, "천은사의 불교미술" 국립중앙박물관 63-70, 2009

      15 문선영, "채색분석으로 알아본 <이재면 초상> 제작 상황" 13 : 57-78, 2016

      16 김수경, "창덕궁 대조전 적의본의 채색안료 성분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379-388, 2013

      17 전유근,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5 (25): 383-398, 2009

      18 한민수, "창녕 관룡사 약사전 단청안료의 과학적 분석" 국립문화재연구소 47 (47): 18-31, 2014

      19 김범준,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모사"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100-120, 2014

      20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창덕궁" 문화재청 270-426, 2015

      21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예산 수덕사 대웅전" 문화재청 157-189, 2014

      22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문화재청 92-100, 2013

      23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문화재청 92-100, 2013

      24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영암 도갑사 해탈문" 문화재청 84-90, 2014

      25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순천 송광사 하사당" 문화재청 77-87, 2014

      26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순천 송광사 영산전" 문화재청 190-243, 2014

      27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순천 송광사 약사전" 문화재청 157-189, 2014

      28 사찰문화재보존연구소,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순천 송광사 국사전" 문화재청 203-229, 2014

      29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보은 법주사 팔상전" 문화재청 324-413, 2013

      30 한국문화재보존연구원,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 - 김제 금산사 미륵전" 문화재청 270-319, 2013

      31 국립문화재연구소, "죽림사 세존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0-64, 2017

      32 김순관, "조선후기기록화 『왕세자입학도(王世子入學圖)』의 제작기법 연구" 7 : 86-115, 2010

      33 차병갑, "조선후기 김인신 초상화의 보존과학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8

      34 장연희, "조선중기 조경영정 보존 및 제작기법 연구" 9 : 85-93, 2008

      35 문선영, "조선중기 이후 회화의 채색안료 연구 : 17~20C 초상화, 기록화, 장식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36 김규호, "조선의 원당1-화성 용주사" 국립중앙박물관 203-230, 2016

      37 윤은영, "조선의 원당1-화성 용주사" 국립중앙박물관 231-263, 2016

      38 유혜선, "조선시대 초상화 Ⅰ" 국립중앙박물관 241-267, 2007

      39 유혜선, "조선시대 초상화 III" 국립중앙박물관 226-275, 2009

      40 유혜선,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62-299, 2008

      41 신현옥, "조선시대 채색재료에 관한 연구 : 의궤에 기록된 회화의 채색재료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

      42 문선영, "조선시대 기록화 채색안료" 서울역사박물관 52-129, 2009

      43 유혜선, "조선시대 궁중행사도Ⅰ" 국립중앙박물관 187-225, 2010

      44 오수원, "조선시대 공신초상화의 회화사적 특성과 모사복원 연구 - 申叔舟肖像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2018

      45 고민정, "조선시대 개인일기 4; 충청, 강원, 전라, 경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

      46 고민정, "조선시대 개인일기 4; 충청, 강원, 전라, 경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

      47 정두희, "조선 후기 어진의 제작기법 연구 : 의궤 및 현존 유물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48 도진영, "전통 안료로 사용된 구리함유 녹색광물의 광물학적 특성과 산지추정" 한국광물학회 31 (31): 123-135, 2018

      49 한민수, "일월오악도 안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 26 : 165-188, 2005

      50 오준석, "의기(義妓) 계월향(桂月香) 초상화 채색 재료 고찰" 25 : 129-157, 2009

      51 윤은영, "은조사 구장복의 채색안료 분석" 15 : 66-76, 2014

      52 문선영, "우학재단 소장 감로왕도 안료 분석" 11 : 206-215, 2007

      53 국립문화재연구소, "용봉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2-76, 2017

      54 유혜선, "외규장각 의궤 연구 흉례 Ⅰ" 국립중앙박물관 242-285, 2015

      55 유혜선, "왕의 초상" 국립전주박물관 242-260, 2005

      56 김용선, "완주 위봉사보광명전백의관음벽화의 재료학적 특성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0 (30): 55-65, 2014

      57 홍종욱, "완주 송광사 나한전 단청안료 분석" 102-108, 2013

      58 김옥경, "영광 불갑사소장 <영산회상도>의 재료와 채색기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59 국립문화재연구소, "안심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4-81, 2018

      60 노지현, "안성 청룡사" 국립중앙박물관 147-168, 2017

      61 장연희, "심희수 초상의 재료와 제작기법에 대한 과학적 조사" 15 : 96-121, 2014

      62 이한형,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채색안료의 자연과학적 분석 - 서방광목천왕상 채색안료를 중심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소 45 (45): 122-147, 2012

      63 국립문화재연구소, "수도사 노사나불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6-64, 2016

      64 국립문화재연구소,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9-70, 2016

      65 국립문화재연구소, "선석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4-82, 2018

      66 문선영, "석파산장 편액 안료 및 섬유 분석" 2 : 127-132, 2005

      67 이찬희, "서울 동관왕묘 소조상 채색안료의 정밀분석 및 동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8 (28): 101-112, 2012

      68 오준석, "삼국지연의도" 국립민속박물관 132-173, 2016

      69 이경민, "사찰벽화 재질 및 상태에 대한 과학적 분석·조사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14 : 181-205, 2012

      70 송유나, "비파괴 성분 분석을 통한 18세기 초상화의 채색 특성 비교 고찰 - 유언호 초상화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2 (32): 89-100, 2016

      71 김소진,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화 안료의 과학적 분석" 국립문화재연구소 45 (45): 214-225, 2012

      72 국립문화재연구소,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2-70, 2015

      73 송유나, "봉정사 영산회괘불도화기에 기록된 안료명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0 (30): 13-25, 2014

      74 조남철, "봉정사 극락전 벽화 안료의 재질 분석 연구 (II)" 21 : 119-143, 2000

      75 오준석, "복개당 자료 안료 성분 분석" 26 : 103-112, 2010

      76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살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7-72, 2018

      77 국립문화재연구소, "법주사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4-63, 2016

      78 국립문화재연구소, "미황사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2-82, 2017

      79 안지윤,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의 보존과 채색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9 (29): 149-159, 2013

      80 문환석, "무량수전 실측조사 보고서" 365-402, 2002

      81 국립문화재연구소, "만연사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4-65, 2016

      82 국립문화재연구소, "마곡사 석가모니불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67-90, 2015

      83 국립문화재연구소, "도림사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4-64, 2016

      84 이장존, "대련사 괘불탱에 사용한 채색 안료의 과학적 분석" 39 : 103-114, 2018

      85 국립문화재연구소, "대련사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2-63, 2016

      86 국립문화재연구소, "다보사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61-88, 2017

      87 남도현,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고분벽화의 잔존안료 입자분석을 통한 안료 분포양상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9

      88 강규성, "녹색 무기안료의 재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89 국립문화재연구소, "내소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9-74, 2016

      90 국립문화재연구소, "남장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3-73, 2017

      91 국립문화재연구소,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3-75, 2018

      92 국립문화재연구소, "김천 직지사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1-80, 2018

      93 강지은, "김제 금산사 미륵전 벽화 채색안료의 성분 분석 및 특성 해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94 하누리, "김제 금산사 미륵전 단청 안료에 대한 특성 분석" 공주대학교 2015

      95 국립문화재연구소, "금탑사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48-72, 2018

      96 천주현, "금당사 괘불" 국립중앙박물관 31-38, 2010

      97 안지윤, "궁중 장식화의채색 분석과 장황 고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0 (30): 39-53, 2014

      98 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적의본과 폐슬본 채색 안료 및 염료 분석" 13 : 13-22, 2012

      99 정기영, "국내 녹색-청색계열 무기안료의 산출과 광물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 31 (31): 33-46, 2018

      100 문환석, "괘불조사보고서 제Ⅲ집 경상남·북도" 국립문화재연구소 187-210, 2004

      101 국립문화재연구소,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55-81, 2018

      102 한민수,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연구 - 쌍계사 탱화 안료를 중심으로 -" 24 : 131-152, 2003

      103 문환석, "고대 벽화안료 재질분석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35) : 160-184, 2002

      104 안병찬, "고구려 고분벽화의 안료 분석" 180-218, 2006

      105 조남철, "경복궁 근정전 단청안료의 성분분석" 22 : 93-114, 2001

      106 국립문화재연구소, "개암사 영산회괘불탱" 문화재청, 성보문화재연구원 66-86, 2016

      107 "高麗史"

      108 廣川守, "高麗仏画-香りたつ装飾美" 泉屋博古館, 根津美術館 122-128, 2016

      109 유혜선, "靑綠山水畵 16帖" 국립중앙박물관 205-215, 2006

      110 李蔓, "铜绿颜料的分析探究" 西北大学 2013

      111 早川泰弘, "銅系緑色顔料の多様性とその使用例" 48 : 109-117, 2009

      112 "醫林撮要"

      113 徐位业, "莫高窟壁画、彩塑无机颜料的X射线剖析报告" 187-197, 1983

      114 "芥子園畫譜"

      115 "經國大典"

      116 "神仙養生秘術"

      117 王军虎, "甘肃东千佛洞二窟和七窟壁画使用颜料的研究" 8 (8): 9-16, 1996

      118 "永寧殿修改都監儀軌"

      119 成瀬正和, "正倉院宝物に用いられた無機顔料" 26 : 13-60, 2004

      120 조창록, "楓石 徐有榘의 <金華耕讀記>" 한국실학학회 (19) : 287-307, 2010

      121 "林園經濟志"

      122 "本草綱目"

      123 朝鮮總督府地質調査所, "朝鮮鑛物誌" 三省堂 1941

      124 "朝鮮王朝實錄 燕山君日記"

      125 "朝鮮王朝實錄 太宗實錄"

      126 "朝鮮王朝實錄 世宗實錄"

      127 문환석, "朝鮮時代 佛腹藏 織物의 銘文顔料 材質分析" 1 (1): 68-80, 2002

      128 "昌慶宮修理所儀軌"

      129 "昌德宮萬壽殿修理都監儀軌"

      130 "昌德宮昌慶宮修理都監儀軌"

      131 "昌德宮修理都監儀軌"

      132 小口八郎, "日本画の着色材料に関する科学的研究" 5 : 27-82, 1969

      133 "新修本草"

      134 王进玉, "敦煌石窟铜绿颜料的应用与来源" 74 (74): 23-28, 2002

      135 王进玉, "敦煌石窟艺术应用颜料的产地之谜" 15 (15): 47-56, 2003

      136 山崎一雄, "平等院大観 第3巻 絵画" 岩波書店 171-175, 1992

      137 "天工開物"

      138 "大典通編"

      139 "大典會通"

      140 "墨娥小录"

      141 "典錄通考"

      142 "儲承殿儀軌"

      143 于非闇, "中國畫顔色的硏究" 新華書店 1955

      144 Takami, M., "The Conservation of a Korean painted silk banner, c. 1800 : Paint analysis and support via solvent-reactivated acrylic adhesive" ICOM-CC II : 747-754, 2002

      145 Kerber, G, "Studies of blue-green alterations in Austrian medieval wallpainting" ICOM-CC 1972

      146 Needham, J.,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 5 Chemistry and Chemical Technology, Part 3: Spagyrical Discovery and Invention: Historical Survey, from Cinnabar Elixirs to Synthetic Insul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5-, 1976

      147 Martens, W., "Raman and infrared spectroscopic study of the basic copper chloride minerals -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the copper and brass corrosion and “bronze disease”" 178 (178): 197-215, 2003

      148 Winter, J., "Pigments in later Japanese Paintings (Studies Using Scientific Methods), Freer Gallery of Art Occasional Papers, New Series Vol. 1" Freer Gallery of Art, Smithsonian Institution 2003

      149 Merrifield, M. P., "Original treatises on the arts of painting, Vol. II" Dover Publications 236-, 1967

      150 "IRUG"

      151 Naumova, M. N., "Green copper pigments of old Russian frescoes" 35 : 81-88, 1990

      152 Winter, J., "East Asian Paintings, Materials, Structures and Deterioration Mechanisms" Archetype Publications 27-28, 2008

      153 Lei, Y., "Copper trihydroxychloride as pigments in China" 57 : 106-111, 2012

      154 Scott, D. A., "Copper and Bronze in Art: Corrosion, Colorants, Conservation" Getty Trust Publications 415-, 2002

      155 Sancho, N., "Colorimetric measurements of different variants of verdigris: powder and bound pigments" 5 : 2017

      156 Gettens, R. J., "Azurite and blue verditer" 11 : 54-61, 1966

      157 He, L., "Authenticity identification of pigments in ancient polychromed artworks of China" 9 (9): 814-825, 2017

      158 Van’t Hul-Ehrnreich, E.H., "A new kind of old green pigment found" ICOM-CC 1972

      159 Scott, D. A., "A Review of Copper Chlorides and Related Salts in Bronze Corrosion and as Painting Pigments" 45 : 39-53, 2000

      160 오준석, "19~20세기 무신도 등에 사용된 구리-비소 녹색 안료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1 (31): 193-214, 2015

      161 김정현, "19C 아미타불 탱화의 복원모사를 위한 과학적 분석 연구 : 충청북도 청원군 월리사 소장 아미타불 탱화"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162 문선영, "1910년대 채용신필 초상화 채색 분석 추가 고찰" 14 : 81-101, 2017

      163 문선영, "1910년대 채용신필 초상화 채색 분석 - <박만화 초상>을 중심으로 -" 12 : 75-91, 2015

      164 안지윤, "16세기 감로도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 14 : 13-22,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