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당해원방고금화보(唐解元倣古今畵譜)』와 조선후기 화단 = Tang Jie Yuan Fang Gu Jin Hua Pu and th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30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Tang Jie Yuan Fang Gu Jin Hua Pu published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nature and expression of the inserts. In addition, the aspect of accept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considered. The...

      This thesis examines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Tang Jie Yuan Fang Gu Jin Hua Pu published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nature and expression of the inserts. In addition, the aspect of accept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considered. The visual aspects of the poems of historical famous poets was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illustrated book covering landscapes, landscape with figures, figures, flowers and birds, four gentlemen, animals, and old tree-bamboo-rock paintings were analyzed in detail. Also, the editions and records transmit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acceptance aspect of each artist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I examine th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literary landscape paintings, painting of poetry, flowers and birds, animals, and figures paint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명 말기에 출판된 􋺷당해원방고금화보􋺸의 체재와 내용, 삽도의 성격과 표현을 살펴보고, 조선후기 화단에서의 수용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역대명가의 시의를 도해한 시화집�...

      이 논문은 명 말기에 출판된 􋺷당해원방고금화보􋺸의 체재와 내용, 삽도의 성격과 표현을 살펴보고, 조선후기 화단에서의 수용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역대명가의 시의를 도해한 시화집으로 산수, 산수인물, 인물, 화조, 영모, 사군자, 고목죽석을 두루 포괄한 종합 화보로서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에 전래된 판본과 기록, 화가별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남종문인화의 전개와 확산, 시의도, 인물, 화조, 영모, 사군자에 끼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예성, "현재 심사정 연구" 一志社 2000

      2 변영섭, "표암 강세황 회화연구" 一志社 1988

      3 임미현, "중국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조선후기 미인도와의 관계" 숭실사학회 (40) : 41-68, 2018

      4 조인희, "조선후기 詩意圖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5 조인희, "조선 후기의 杜甫(712-770) 詩意圖"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8 : 97-128, 2014

      6 박은순, "조선 후기 산수화와 毫生館 崔北의 시의도, 호생관 최북" 국립전주박물관 134-143, 2012

      7 강관식,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497-675, 2007

      8 유순영, "명 말기 화훼, 사군자, 蔬果 화보의 시각 이미지 연구" 미술사연구회 (39) : 263-293, 2020

      9 차미애, "공재 윤두서 일가의 회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0 박은순, "공재 윤두서 : 조선후기 선비 그림의 선구자" 돌베개 2010

      1 이예성, "현재 심사정 연구" 一志社 2000

      2 변영섭, "표암 강세황 회화연구" 一志社 1988

      3 임미현, "중국 명·청 통속문학 삽화와 조선후기 미인도와의 관계" 숭실사학회 (40) : 41-68, 2018

      4 조인희, "조선후기 詩意圖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5 조인희, "조선 후기의 杜甫(712-770) 詩意圖"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8 : 97-128, 2014

      6 박은순, "조선 후기 산수화와 毫生館 崔北의 시의도, 호생관 최북" 국립전주박물관 134-143, 2012

      7 강관식,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497-675, 2007

      8 유순영, "명 말기 화훼, 사군자, 蔬果 화보의 시각 이미지 연구" 미술사연구회 (39) : 263-293, 2020

      9 차미애, "공재 윤두서 일가의 회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0 박은순, "공재 윤두서 : 조선후기 선비 그림의 선구자" 돌베개 2010

      11 박정애, "鄭遂榮의 《之又齋山水十六景帖》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21) : 201-227, 2005

      12 "近世日本繪畵と畵譜․繪手本展 Ⅰ‧Ⅱ" 町田市立國際版畵美術館 1990

      13 김양균, "豹菴 姜世晃의 ≪豹翁先生書畵帖≫"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5) : 1-44, 2008

      14 유순영, "柳慶容(1718-1753) 所藏 『張白雲選名公扇譜』와 조선후기 회화" 한국한문학회 (64) : 371-400, 2016

      15 安永欣, "晩明畵譜綜合硏究" 中央美 2012

      16 유순영, "明末淸初의 山水畵譜 硏究" 온지학회 (14) : 367-421, 2006

      17 박민정, "明ㆍ淸代 通俗文學揷圖의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8 中田勇次郞, "文人畵粹編 12卷 池大雅" 中央公論社 129-135, 1974

      19 차미애, "恭齋 尹斗緖의 중국출판물의 수용" 한국미술사학회 264 (264): 95-126, 2009

      20 "張白雲選名公扇譜"

      21 "孫雪居百花蘭竹譜, 名古屋 蓬左文庫"

      22 "唐解元倣古今畵譜"

      23 "唐解元倣古今畵譜" 中國文聯出版公司 1997

      24 "和刻本書画集成 第五輯" 汲古書院 1975

      25 박정애, "之又齋 鄭遂榮의 山水畵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35 : 87-123, 2002

      26 兪劍華, "中國美術家人名辭典" 上海人民美術出版社 1981

      27 王伯敏, "中國版畵通史" 河北美術出版社 2002

      28 "中國古畵譜集成 6" 山東美術出版社 2002

      29 윤두서, "中國古畵譜集成 2" 山東美術出版社 2000

      30 上海 點石齋書局, "中國古畵譜集成 11" 山東美術出版社 2000

      31 차미애, "中國 花鳥畵譜의 類型과 系譜" 한국미술연구소 (22) : 131-165, 2006

      32 하향주, "『唐詩畵譜』와 朝鮮後期畵壇" 동악미술사학회 (10) : 29-58, 2009

      33 Cahill James, "Vernacular Painting in High Qing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34 Pegg, Richard, "Tang Poetry in Late Ming Painting: An Album by Sheng Maoye" 43 (43): 31-39,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78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