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승계계획’의 측면에서 본 조선시대 세자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rown Prince during Joseon Period in Terms of Succession Plann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role of investiture of Crown Prince during the Joseon period in terms of succession planning. In the Joseon Dynasty, the throne was inherited to the ‘jeokjangja (嫡長子: the eldest son of the legitimate wife)’ as a rule....

      This paper analyzes the role of investiture of Crown Prince during the Joseon period in terms of succession planning. In the Joseon Dynasty, the throne was inherited to the ‘jeokjangja (嫡長子: the eldest son of the legitimate wife)’ as a rule. Accordingly, the Crown Prince was determined without verifying the ability of the Prince or the process of internal competition. In order to realize successful succession of leadership, it is necessary to first find a candidate with the best qualities, and second, make the candidate the best heir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The first condition, however, could not be met in the Joseon Dynasty.
      Ironically, Confucianism, the ruling ideology of Joseon, considers ideal for the wisest and most capable person with good character to become the king. Therefore, during the Joseon Dynasty,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were spent on educating the Crown Prince so that he could obtain the qualification as the successor to the throne. That is why ‘Sigangwon,’ the institution specializing in educating the Crown Prince was established. However, when a Crown Prince fails to obtain the qualifications necessary for the position in the end even with these efforts, he was replaced by the King despite of political burden. Such was the case of Prince Yangnyeong dethroned by King Taejong and Prince Sado, who was killed by King Youngjo.
      In addition, the practical cases related to Crown Prince during the Joseon period are informing and meaningful in terms of succession planning in that they prevented the risk of leadership gap, created the environment for successors and provided practical training opportunities through daeri-cheongjeong (代理聽政: regency of the prince). This study aim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royal succession and governing leadership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careful examination of the institution of Crown Pri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승계계획(Succession Planning)’이라는 측면에서 조선시대 세자 책봉과 그 역할을 분석하였다. 조선에서 왕위는 ‘적장자(嫡長子)’에게 계승하는 것이 원칙이었기 때문에 내부경쟁...

      본 연구는 ‘승계계획(Succession Planning)’이라는 측면에서 조선시대 세자 책봉과 그 역할을 분석하였다. 조선에서 왕위는 ‘적장자(嫡長子)’에게 계승하는 것이 원칙이었기 때문에 내부경쟁이나 능력에 대한 검증이 없이 세자가 정해졌다. 리더십의 성공적인 승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첫째, 최적의 자질을 가진 후보자를 찾아야 하고 둘째, 교육과 훈련을 통해 그 후보자를 최상의 후계자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는 첫 번째 조건을 충족시킬 수가 없었다.
      그런데 조선의 지배이념이었던 성리학은 구성원 중에서 가장 현명하고 능력이 뛰어나며 인품이 훌륭한 사람이 왕이 되는 것을 이상으로 여긴다. 따라서 조선에서는 세자가 왕위계승자로서의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세자 교육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했다. 세자전문교육기관인 ‘시강원(侍講院)’을 설치한 것은 그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자가 필요로 하는 자질을 끝내 갖추지 못했을 때는, 정치적 부담을 무릅쓰고 세자를 교체한 경우도 있었다. 양녕대군을 폐위한 태종과 사도세자를 죽인 영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밖에도 리더십 공백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고, 후계자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대리청정(代理聽政)을 통한 실무 실습기회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세자와 관련한 실행 사례들은 ‘승계계획’의 측면에서 많은 교훈을 준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왕위계승과 통치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진, "효명세자의 상장례와 代理聽政 세자의 위상" 동양고전학회 (75) : 333-387, 2019

      2 김문식, "효명세자의 대리청정" 태학사 56 : 2011

      3 임혜련, "조선후기 ‘대리정치’의 권한 범주와 왕권" 호서사학회 (85) : 157-186, 2018

      4 이한수, "조선초기 ‘가(家)’와 ‘국가(國家)’에 관한 논쟁: 양녕대군의 폐세자와 세종의 즉위과정을 중심으로" 국제문화학회 28 : 2002

      5 김문식,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6 육수화, "조선의 왕과 왕세자" 민속원 2017

      7 심재우, "조선의 세자로살아가기" 돌베개 2013

      8 정재훈, "조선의 국왕과 의례" 지식산업사 2010

      9 김영수, "조선왕조의 권력 이양과 승계: 양녕대군의 폐세자와 충녕대군에의 전위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58) : 409-441, 2014

      10 육수화, "조선시대 왕위계승교육의 변화양상" 동양고전학회 (44) : 313-350, 2011

      1 이현진, "효명세자의 상장례와 代理聽政 세자의 위상" 동양고전학회 (75) : 333-387, 2019

      2 김문식, "효명세자의 대리청정" 태학사 56 : 2011

      3 임혜련, "조선후기 ‘대리정치’의 권한 범주와 왕권" 호서사학회 (85) : 157-186, 2018

      4 이한수, "조선초기 ‘가(家)’와 ‘국가(國家)’에 관한 논쟁: 양녕대군의 폐세자와 세종의 즉위과정을 중심으로" 국제문화학회 28 : 2002

      5 김문식,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6 육수화, "조선의 왕과 왕세자" 민속원 2017

      7 심재우, "조선의 세자로살아가기" 돌베개 2013

      8 정재훈, "조선의 국왕과 의례" 지식산업사 2010

      9 김영수, "조선왕조의 권력 이양과 승계: 양녕대군의 폐세자와 충녕대군에의 전위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58) : 409-441, 2014

      10 육수화, "조선시대 왕위계승교육의 변화양상" 동양고전학회 (44) : 313-350, 2011

      11 김학재, "조선 초기 태종의 호학과 세자 교육" (사)율곡학회 35 : 357-396, 2017

      12 김순남, "조선 세종대 말엽의 정치적 추이 – 세자의 대리청정과 국왕 · 언관 간의 갈등"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61 : 2005

      13 강지혜, "정조 즉위년 소론의 사도세자 신원소 제기와 정조의 대응-『친국일기(親鞫日記)』의 심문기록을 중심으로-" 전북사학회 (51) : 57-82, 2017

      14 함규진, "왕이 못 된 세자들" 김영사 2009

      15 김문식, "왕세제 영조의 대리청정" 태학사 39 : 2007

      16 김문식, "왕세자의 입학식" 문학동네 2010

      17 김문식, "왕세자 경종의 대리청정" 태학사 38 : 2007

      18 한국학중앙연구원, "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19 신덕정, "승계계획이 조직의 혁신변화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 및 인력계획과 경영전략 연계성의 매개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6 (26): 51-63, 2019

      20 최병권, "승계계획" LG경제연구원 2001

      21 김문식, "세손 정조의 대리청정" 47 : 2009

      22 김영민, "사도세자의 생애와 ‘임오화변’의 정치적 의의" 역사문화연구소 4 : 2008

      23 김문식, "사도세자의 대리청정" 태학사 45 : 2008

      24 최성환, "사도세자 추모 공간의 위상 변화와 永祐園 천장" 조선시대사학회 (60) : 139-181, 2012

      25 이욱, "사도세자 관련 만인소의 정치적 의미" 남도문화연구소 (35) : 171-196, 2018

      26 사마천, "사기본기" 민음사 2015

      27 김준태, "군주의 조건" 민음사 2013

      28 "石潭日記"

      29 김지영, "正祖代 思悼世子 追崇 典禮 논쟁의 재검토" 한국사연구회 (163) : 337-377, 2013

      30 "朝鮮王朝實錄"

      31 金鍾源, "朝鮮朝 侍講院 敎育에 關한 硏究" 圓光大學校 大學院 1986

      32 "孟子"

      33 "大學章句"

      34 "大典通編"

      35 "周易傳義"

      36 김준태, "Case Study朝鮮: 충녕대군의 세자책봉" (217) : 2017

      37 김준태, "Case Study朝鮮 : 왕위 승계 프로세스" (241) :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2-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es -> Academia Korean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1 1.13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