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종이 생산과 所 生産體制 = The Production of Paper and “So(所) Production System” of Goryeo Dynasty(918-1392.A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0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produced in Goryeo Dynasty, was very popular to the East Asian world including China because of the good quality. Goryeo Dynasty had the good production system, which was called to “So system(所制度)”. This system which was made and ...

      The paper, produced in Goryeo Dynasty, was very popular to the East Asian world including China because of the good quality. Goryeo Dynasty had the good production system, which was called to “So system(所制度)”. This system which was made and managed by the government produced the several kinds of manufactured goods, for example ceramic ware, paper, knife and ink stick etc. The manufactured goods produced by this system was supplied to the Royal House, the noble class and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Also the goods was paid tribute to the foreign countries or exported to the foreign merchants because of the good quality. The paper, consumed by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nd the private sector, was produced by the private manufacturing system. Especially the “So(所) Production System” which is the unique system in Goryeo Dynasty enabled to produce the manufactured goods of good qu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高麗紙의 주재료는 楮, 즉 닥나무이다. 이 점은 중국의 종이 원료가 麻紙였던 점과 다르다. 중국의 경우 漢代부터 唐代 이전 종이의 80% 이상이 麻紙였고, 민간에 전래된 唐나라 이전 서예 회...

      高麗紙의 주재료는 楮, 즉 닥나무이다. 이 점은 중국의 종이 원료가 麻紙였던 점과 다르다. 중국의 경우 漢代부터 唐代 이전 종이의 80% 이상이 麻紙였고, 민간에 전래된 唐나라 이전 서예 회화에 쓰인 종이도 대부분 麻紙였다.
      제작방법에서도 앞에서 언급한 8세기 통일신라기 종이 유물을 분석한 결과, 종이 표면을 두드려 가공함으로써 먹의 번짐을 막는 도침법(搗砧法)을 사용한 흔적이 확인되었다. 搗砧은 종이 위에 먹을 떨어뜨리면 먹이 스며드는 속도가 느려질 뿐 아니라, 또 먹이 옆으로 번지지도 않는다. 특히 寫經을 할 때 글씨의 획을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生紙가 아닌 熟紙가 필요했고, 닥피(楮皮)의 특성이 長皮纖維이기 때문에 도침(搗砧) 가공법이 熟紙를 제작하는데 가장 적합한 기술이었고, 우리나라에서 搗砧 가공법이 꽃피우는 원인이 되었다. 이 기술은 신라에서 조선시대까지 꾸준하게 계승된 기술이다.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은 고려시기 종이 생산의 주재료인 닥나무의 분포와 종이 공납의 실태를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지만, 당시 상황을 정확하게 전해주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고려와 조선 초기에 닥나무의 식생조건을 갖춘 군현뿐만 아니라 종이를 공납한 군현은 <표 1>의 수치보다 훨씬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닥나무가 한반도 대부분 지역에 식생이 가능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자연조건 때문에 닥나무가 종이의 주재료로 이용될 수 있었던 것이다.
      고려시기 종이 생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정리할 수 있다. 왕실이나 중앙 관청과 朝貢品으로 사용된 질 좋은 고급종이는 소 생산체제에 편제된 紙所를 통해 대부분 공급되었다. 그러나 지소를 통해 공납되는 종이만으로 전체의 수요를 채울 수 없었다. 지방 관청에 종이 먹 등의 사무용품을 구입하기 위해 지급된 紙田의 존재가 바로그러한 사정을 잘 보여주는 예가 된다. 공납제 방식으로 관청의 종이 수요를 감당하지못했기 때문에 관청에 紙田을 지급하여 그 소출에서 나온 비용으로 민간에서 생산된종이를 구매하여 수요를 충당하게 했던 것이다. 따라서 종이가 생활의 필수품에 가까운 민간의 경우 주로 사원이나 가내수공업과 같은 민간수공업을 통해 생산된 종이를구매하여 그 수요를 충당했다. 따라서 고려시기 종이는 크게 두 가지 경로를 생산 유통된 것으로 판단된다. 조공품, 대내외 문서용 종이와 동아시아 세계에서 호평을 받은高麗紙와 같은 고도의 기술수준을 보여주는 질 좋은 종이는 대체로 소 생산체제의 일부인 紙所에서 생산되었다. 반면에 지방 관청, 사원과 민간에서 소비되는 종이는 사원이나 가내수공업 형태의 민간수공업에서 생산되었다. 이같이 고려시기 종이의 생산과유통과정은 소 생산체제하의 지소와 민간수공업의 2중적인 구조 속에서 전개되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