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춘문예 제도의 명칭과 기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ame and origin of the Sinchunmuny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6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신춘문예의 명칭 성립 과정과 그 기원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초기의 신춘문예는 그 정체성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채 시행되어 왔었고, 구체적인 제도가 정착된 ...

      이 논문은 신춘문예의 명칭 성립 과정과 그 기원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초기의 신춘문예는 그 정체성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은 채 시행되어 왔었고, 구체적인 제도가 정착된 것은 1925년 무렵이었다. 신춘문예는 그 명칭도 다양하게 변모되었는데, 연구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는 가정 먼저 그 정의가 필요했다. 본고에서는 ‘여러 부문의 문학 신인 선발을 목적으로 신문사에서 매년 행하는 문예행사’로 정의했다.
      신춘문예의 출발점으로는 ‘각지기문(各地奇聞), 속요(俗謠), 소화(笑話), 시(詩), 단편소설(短篇小說), 서정서사(敍情敍事)’의 6개 부문에서 작품을 모집했던 1912년의 현상모집을 들 수 있다. 새해에 당선작을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신춘문예의 요건을 대부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인 선발제도로서 신춘문예 명칭이 최초로 사용된 것은 1919년 12월 2일의 『매일신보』 현상모집이었다. ‘신춘’이라는 용어는 새해라는 의미와 희망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데, 새해부터 5월까지 사용되었다. 이후 1925년에『동아일보』가, 1927년에『조선일보』가 신춘문예 명칭을 사용하면서 신춘문예 용어는 보편화되었으며, 몇 번의 변화를 겪다가 점차 정립되었다.
      우리나라의 신춘문예가 성립 초기에 일본 제도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이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언급된 바는 없었다. 일본에서는 1900년대 초기에 신문사 중심의 현상문예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1945년 이전에는 46개 신문사에서 신춘문예를 시행하고 있었다. 『매일신보』 가 신춘문예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내선일체를 강조하는 친일신문이었다는 점에서 일본 영향설은 설득력이 있다. 등단제도로서의 일본 신춘문예와 우리나라의 신춘문예를 비교분석하는 일이 과제로 남아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Sinchunmunye debut is a typical course in Korea. This thesis is how the name was established in Sinchunmunye and trace the origin of this system. Sinchunmunye was conducted in the early to state that identity is not ...

      As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Sinchunmunye debut is a typical course in Korea. This thesis is how the name was established in Sinchunmunye and trace the origin of this system. Sinchunmunye was conducted in the early to state that identity is not clearly defined. By the time 1925 was established as a specific system. Name of Sinchunmunye is necessary that came home changed variously, in order to determine the scope of the study is first defined. In this thesis, it was defined as “the purpose of the new writers starting many sectors of newspaper literary events conducted each year”.
      It is the first time you use this name as a writer selection system December 2, 1919 Maeilsinbo prize literlature. The term “New Year” can find its traces, etc. Goryeosa, Taejongsillok, Sunjosillok, had a sense of meaning and hope the New Year at the same time. The name was used mainly from the New Year until May. Dongailbo 1925 was used in the Sinchunmunye name, after years Chosunilbo 1927 with the name Sinchunmunye undergo a term was common, few changes were gradually established.
      In previous studies of Sinnyeonmunye years Maeilsinbo 1915 became the center of this it is the opinion of a Sinchunmunye origin. The tradition of the winning entry announced on January 1 were derived, where recruitment was the work of 10 sectors, because there was a specific contribution regulations. However, according to the definition presented earlier Sinchunmunye prize literature is the recruitment of 1912. The event was organized a work in "bizarre rumors, a popular song , funny, poem, short story, essay. Although not announced the winning entry in the new year, because they had the condition of Sinchunmunye. It is the task of the future to compare the Sinchunmunye of Korea and Jap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신춘문예의 정의
      • Ⅲ. 명칭의 성립
      • Ⅲ. 신춘문예의 기원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신춘문예의 정의
      • Ⅲ. 명칭의 성립
      • Ⅲ. 신춘문예의 기원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태수, "현대 時調詩의 史的 硏究 : 신춘문예 당선 작품을 중심으로"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3

      2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 1990

      3 박헌호, "한국근대문학의 작가의식" 깊은샘 2006

      4 박현수, "한국 근대문학의 재생산 과정과 그 의미―方定煥을 中心으로" 대동문화연구원 (53) : 41-75, 2006

      5 김춘희, "한국 근대문단의 형성과 등단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6 文鍾昱, "최근 신춘 문예 소설 작품에 나타난 어휘 빈도수 조사 연구 : 1993년도 발표 7작품의 用言 어휘 사용 빈도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7 "청춘"

      8 "조선일보"

      9 "조선문단"

      10 강영심, "일제 시기 근대적 일상과 식민지 문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1 서태수, "현대 時調詩의 史的 硏究 : 신춘문예 당선 작품을 중심으로"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3

      2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 1990

      3 박헌호, "한국근대문학의 작가의식" 깊은샘 2006

      4 박현수, "한국 근대문학의 재생산 과정과 그 의미―方定煥을 中心으로" 대동문화연구원 (53) : 41-75, 2006

      5 김춘희, "한국 근대문단의 형성과 등단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6 文鍾昱, "최근 신춘 문예 소설 작품에 나타난 어휘 빈도수 조사 연구 : 1993년도 발표 7작품의 用言 어휘 사용 빈도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7 "청춘"

      8 "조선일보"

      9 "조선문단"

      10 강영심, "일제 시기 근대적 일상과 식민지 문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11 이재복, "신춘문예의 문학제도사적 연구- 근대적인 제도로서의 발생과정과 그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29) : 365-391, 2006

      12 임원식, "신춘문예의 문단사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3

      13 이은진, "신춘문예 동화의 문학 교육적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4 이민재, "신춘문예 동시의 문학 교육적 연구 : 동아·조선일보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5 김영철, "신문학초기의 현상및 신춘문예제의정착과정" 국어국문학회 98 : 1987

      16 김석봉, "식민지 시기 <<조선일보>> 신춘문예의 제도화 양상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16) : 185-220, 2004

      17 "소년"

      18 장호병, "문인등단 매체와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19 "매일신보"

      20 "동아일보"

      21 金眞慶, "국민학교 동화교재에 관한 분석 연구;교과서작품과 신춘문예 당선작품 대비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22 김동식, "개화기의 문학 개념에 관하여" 국제어문학회 (29) : 89-118, 2003

      23 "개벽"

      24 李秉坤, "韓國 Sports 文學에 關한 考察 : Sport 新春文藝 當選作을 중심으로" 慶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25 盧尙奎, "新春文藝作品의 社會的 選擇에 관한 一 연구 :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0

      26 최수일, "『개벽』의 ‘현상문예’와 ‘신경향파문학’" 상허학회 20 : 29-51, 2007

      27 정영숙, "2000년대 이후 신춘문예에 발표된 동화의 특성 분석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2015

      28 이봉범, "1950년대 등단제도 연구 - 신춘문예와 추천제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소 (36) : 365-435, 2009

      29 차혜영, "1920년대 초기 동인지 문단 형성과정" 상허학회 7 : 2001

      30 상허학회, "1920년대 문학의 재인식" 깊은샘 2001

      31 이희정, "1920년대 <매일신보>의 독자문단 형성과정과 제도화 양상" 한국현대문학회 (33) : 97-133,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1 1.36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