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菴集 目錄

大菴集
대암집
大菴先生文集
大菴先生文集
朴惺
박성
1693
  • 韓國文集叢刊(續)第6集
  • -
  • 한국고전번역원
  • 此文檔集合是通過公共數據門戶構建的服務。

解題和凡例


  • 조선 시대 대암(大菴) 박성(朴惺, 1549~1606)의 문집이다. 저자의 시문은 졸한 뒤 70여 년이 지나 증손 박세희(朴世煕)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유문을 수집 편차하고 1679년에 이윤우(李潤雨)의 손자인 이원정(李元禎)에게 서문을 받는 등 간행을 준비하였고 1693년에 박세희가 조원기(趙遠期)의 협조를 받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본집은 6권 4책이고 권수에는 1679년에 이원정이 지은 서문과 목록이 실려 있다. 권1에는 오언절구, 오언사운, 오언고시, 칠언절구로 차운한 시, 왜란과 관련된 시 등이 있고, 권2에는 제문, 잡저, 서(序), 통문이 실려 있는데 특히 〈소모밀양사민통문(召募密陽士民通文)〉은 김성일(金誠一)의 종사관으로 있을 때, 밀양의 백성들에게 당시의 위급한 상황을 설명하고 임금과 부형을 위해 의병에 참여할 것을 권면하는 내용이다. 권3은 서(書)와 묘지명이고 권4에는 소(疏) 3편이 실려 있으며 권5~6은 부록으로, 장현광(張顯光)이 1632년에 지은 행장과 정구(鄭逑)ㆍ조호익(曺好益) 등이 지은 만사 12편, 장현광(張顯光)ㆍ이후경(李厚慶) 등이 지은 제문 35편, 김세렴이 1641년에 지은 묘비명이 실려 있다.

    查看詳細釋放


  • ○本集은 大菴 朴惺(1549 : 明宗4 ~ 1606 : 宣祖39)의 文集이다.
    ○本集은 著者의 曾孫 世煕가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淸道郡守 趙遠期의 協助로 1693年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分量은 6卷 4册으로 總 239板이다.
    ○本 影印底本은 延世大學校 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 : 811.98/박성/대-판)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19.0×16.0(cm)이다.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吳虎泳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關文集

文集名 著者 出版年 著作時代 DB
지산집(芝山集) 조호익(曺好益) 1883 朝鮮時代 中期 韓國文集叢刊DB
귀암집(歸巖集) 이원정(李元禎) 1871 朝鮮時代 後期 韓國文集叢刊DB
해월집(海月集) 황여일(黃汝一) 1776 朝鮮時代 中期 韓國文集叢刊DB
역양집(嶧陽集) 문경호(文景虎) 1811 朝鮮時代 中期 韓國文集叢刊DB
낙재집(樂齋集) 서사원(徐思遠) 1843 朝鮮時代 中期 韓國文集叢刊DB


記事
要看原文,請雙擊目次。

文體
按風格過濾文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