悠然堂集 目錄
悠然堂集
유연당집
悠然堂先生文集
悠然堂先生文集
|
|
金大賢
김대현
|
|
|
解題和凡例
조선 시대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 1553~1602)의 문집이다. 본집은 서발(序跋)이나 지(識) 등이 없어 문집의 간행 경위와 시기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8대손 김종탁(金宗鐸)이 지은 〈도림추원사이건기(道林追遠祠移建記)〉에 1804년 추원사의 공역을 시작해서 1806년에 마쳤다고 하였는데, 이 기사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1806년 이후에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목록(目錄)이 있다. 권1은 시(詩)와 서(書)이고, 권2는 소(疏)와 논(論)이다. 그중에서 〈척화소(斥和疏)〉는 오늘의 정세를 보면 이적(夷狄)의 환란(患亂)과 살육이 어느 때보다도 심하니 일본과 강화하지 말 것을 청한 상소(上疏)이다. 권3은 서(序), 기(記), 발(跋), 잡저(雜著), 제문(祭文), 상량문(上樑文)이다. 권4는 부록이다. 김상헌(金尙憲)이 1635년에 지은 유사를 비롯하여 정경세(鄭經世)가 지은 묘갈명(墓碣銘), 김응조(金應祖)가 지은 행년기(行年記), 사제문(賜祭文), 신경진(辛慶晉)이 지은 만사(輓詞), 김굉(金㙆)이 지은 구호서원(鷗湖書院)에 봉안하는 글 등이 있다.
查看詳細釋放
-
○本集은 悠然堂 金大賢(1553 : 明宗8 ~ 1602 : 宣祖35)의 文集이다.
○本集은 19世紀에 活字로 印行된 初刊本이다.
○分量은 4卷 2册으로 總 130板이다.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 : 奎5472)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0.6×16.9(cm)이다.
○本 影印底本은 卷1의 第2板은 卷次가 「2」로, 第12ㆍ14板은 卷次가 「4」로, 卷3의 第2板은 卷次가 「2」로, 第27板은 板次가 「26」으로 誤記되어 있다.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吳虎泳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相關文集
文集名 | 著者 | 出版年 | 著作時代 | DB |
---|---|---|---|---|
유연당선생문집(悠然堂先生文集) | 김대현(金大賢) | - | 朝鮮時代 中期 | 韓國歷代文集DB |
창석집(蒼石集) | 이준(李埈) | 1631 | 朝鮮時代 中期 | 韓國文集叢刊DB |
우복집(愚伏集) | 정경세(鄭經世) | 1657 | 朝鮮時代 中期 | 韓國文集叢刊DB |
취사집(炊沙集) | 이여빈(李汝馪) | 1831 | 朝鮮時代 中期 | 韓國文集叢刊DB |
구와집(龜窩集) | 김굉(金㙆) | 1846 | 朝鮮時代 後期 | 韓國文集叢刊DB |
학호집(鶴湖集) | 김봉조(金奉祖) | - | 朝鮮時代 中期 | 韓國文集叢刊DB |
記事
要看原文,請雙擊目次。
|
按風格過濾文章。
|